퀵바


무협백과

무협에 관련된 지식백과



무협상식...?

작성자
류한
작성
03.06.11 19:06
조회
3,682

무협에서는 인사법이 다르다 그것은 왜 그럴까?

  

홍콩영화를 보다보면 강호인들이 인사를할 때 두손을 맞잡고 인사를 한다.다른 말로 이 인사법을 주먹을 모은다는 뜻에서 포권지례라고 한다.뭐 따지고 보면 요즘에 현대인들이 하는 악수와 크게 다르지는 않다.이 인사법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빈손을 들어 보이는 것은 상대를 해치지 않겠다는 뜻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동양의 예법은 서양의 악수와는 달리 서로 신체적이 접촉 자체를 꺼리는 경향이 있어서 자연스레 조금 떨어진 곳에서 포권지례를 나타내는 것이다.포권의 예도 시대마다 조금씩 다른데 오늘날 영화에서 보는 왼손을 펴서 오른 주먹 앞에 붙여 내미는 형태는 청대 초에 퍼졌다.이민족에게 나라를 빼앗긴 중화인들이 반청복명(反淸復明,청에게 빼앗긴 明나라를 다시 찾자)의 구호를 나타내는 인사법으로 발전한 것이다.오른손주먹은 해(日)를 왼손은 달(月)을 나타내어 명(明)이라는 글자를 나타낸 것이다.이 인사법은 권법에 있어서의 개문식(開門式)으로 사용되고 있다.

무협을 읽다보면 은밀히 서로간에 정보를 주고 받는 기호나 은어가 있다.아주 간단한 표기를 그들은 어떻게 알아 보는 걸까?

암호는 집단과 집단뿐만 아니라 개인과 개인,개인과 집단여하를 막론하고 아주 중요한 의사소통의 수단이다.더욱이 무림인들의 생태를 알려면 그들이 사용하는 그들만의 언어인 흑화와 기호사용법정도는 상식으로 알고 읽어나가야 재밌다.무림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인 흑화(黑話)또는 춘전(春典)은 각 문파,각 집단마다 조금씩 틀리다.특히나 청대말에 나오는 각종 비밀결사에 이르면 그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비밀결사에 대하여 알고 싶으신 분은 자료실의 비밀결사 항목을 참조 바란다.이런 천지회나 삼합회는 아직까지도 중국에는 존재하는 집단이라는걸 염두에 두고 읽어야 재밌다.무림이 단순한 상상의 세계라고 알고 있다면 그런 넌센스도 없겠다.현재진행형으로 지금도 중국에는 이런 비밀결사가 상존한다.'영사십냥금불사일구춘(寧捨十兩金,不捨一句春열 냥의 금을 포기할지언정 한 마디의 춘전을 버릴 수는 없다)'라는 말이 전해질 정도로 은밀한 소통수단으로 사용된 것이 흑화이다.흔히 나오는 것이 주막앞에 동그라미나 세모등의 기호를 이용하는 것과 돌맹이를 나무사이에 끼워 넣는 방법을 사용한다.한자를 이용하는 방법은 더욱더 다양하여 방향으로 말하자면 陽(볕양자니 따뜻한 해가 비치는 곳)-남쪽,漠(대막을 뜻하니 당연히)-북쪽,倒-동쪽,列-서쪽이라는 뜻이다.그 외에도 羔-노인,豆兒-여인,芽兒-아이,財神-암살대상자라는 식이다.요즘 대학가나 청소년들 사이에 흔히 쓰이는 은어를 연상하면 되겠다.군에서 쓰이는 은어는 절구(切口)라고 한다.한자의 가차 즉 음만 빌려와서 쓰는 방법도 있지만 그다지 우리에게는 쉽게 다가오진 않는다.중국의 사성을 알아야만 하기 때문이다.대개는 언어적인 방법보다는 찻잔의 위치 젓가락을 十자 모양에서 山자 모양으로 바꾼다든지 하는 쉬운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요즘에도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대개 학업을 등한시하기 쉽듯이 예전에 강호인들이 문자를 아는 사람은 극히 드물었다.무협지에서 흔히들 무슨무슨 비급을 저마다 쉽게 읽고 익히는 것은 정확하게 따지자면 좀 우스운 이야기이다.무림인의 90% 이상은 문맹이라고 보아야 적당할 것이다.그렇기 때문에 무협에서는 비급보다는 구결(口訣,입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비결)로 비전절기를 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죽기 직전에 비급을 남기는 무협을 보는 것은 정말로 난센스적인 일이다.글자도 모르는 무림인들이 무슨 수로 비급을 만들고 가지고 다니는지 원...자신의 절기를 상대가 한번 보는 것만으로도 고수들의 대결에서는 치명적인데 자신이 익힌 비기를 적어놓은 책자를 가지고 다니는 것은 정말 바보같은 짓이기 때문이다.얼마나 엄밀한 무림인들인데 치명적인 비밀을 담은 약점 덩어리를 가지고 다딜까? 그들이 설령 비급을 만들었다고 하여도 은밀한 곳에 꼭꼭 숨겨놓지 가지고 다니지는 않는다.

무협고수들은 주로 언제 활동을 할까?

고수들은 은밀한 행동을 주로 합니다.그렇다고 저마다 남들 잠잘자는 삼경(밤열한시서 새벽한시까지)에 복면을 쓰고 모두들 움직이지는 않지요.협객이 그져 흔히 검을 날려 사람의 머리를 취하다고 말하는데 이것은 우스운 일입니다.무인(武人)이 검을 날리는 데에는 세가지 뜻이 숨겨져 있다고 합니다.하나는 번뇌를 끊는데 사용하고,두번짼 탐욕과 불만을 끊는데 사용하며,세번짼 색욕을 끊는데 사용한다고 한다..이것이 바로 무인의 검이랍니다..고수들의 행동도 이와 다르지 않습니다.밤에만 움직이는 강호인이 있다면 그것은 충분히 의심해봐야 합니다..도씨나 살수이기 쉽상이기 때문입니다.제발 밤중에 일어나서 살그머니 나가는 그런 무협을 이젠 지향할 때가 아닌지..

두명의 천하제일 제이를 다투면서 명성을 구가하는 고수들이 어느날 서로 마주치면 어떤 행동을 할까?

무협에서의 아주 흔한 장면이겠지요.정답부터 말하면 소문난 잔치 먹을 게 없다는게 정답입니다.천하에 제일가는 고수들이 그래 동네 깡패들처럼 만나기만 하면 싸운다고 믿지는 않겠지요..?그들은 어지간하면 싸우지 않습니다.이미 그 정도로 위명을 떨쳤다면 이미 인간적인 수양이 고도에 이르지 않았다면 이르지 못할 경지가 되기 쉽상이기 때문입니다.수양이 깊은 고승일수록 산속으로 숨어들고 정말로 깊은 도량을 닦은 진인은 평범해보는게 진리가 아닐까요?그렇지만 그들도 화나는 일은 있을 겁니다.오히려 그러한 고고한 인물들일수록 서로간의 고하를 가리고 싶은 욕망을 클 수도 있으니까요..어느날 몰래 대결을 하여 고하를 가리고는 시치미 뚝때고 천연덕 스럽게 고고연한 것은 아닌지 살혀볼일이겠지요.그것은 순전히 독자들의 상상의 몫이겠지요.

금강불괴는 가능한 걸까?

동장철벽의 인간 금강불괴..사실상 무협에서의 가장 매력적인 것은 하늘을 나는 경공술과 철벽처럼 탄탄한 피부를 갖는 것이겠지요.물론 중국무술중에는 피부를 단단하게 단련하는 철사장(鐵砂掌)이란 기법이 있습니다.손을 단련하여 쇠처럼 강하게 만느는 무술기법이 바로 철사장입니다.철사장을 익히면 실제로 바위도 깨고 상대의 살을 수도도 깨뚫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그러나 그 수련방법이 정말 장난이 아닙니다.불을 지핀 가마솥안에 처음에는 아주 고은 모래와 가는 조약돌을 넣고 달군뒤에 손을 찔렀다가 살을 데지 않을 정도로 빨리 빼냅니다.이런 식으로 단련을 하고서는 반드시 특수하게 제조한 약물에 손을 담가 치료를 합니다.이때 약 기운이 손에 스미도록 하는데 이 순간이 오히려 더 고통 스럽다고 합니다.배합하는 약재 또한 비방이겠구요.그렇게 성공한 연후에 점점 굵은 모래,굵은 자갈,나중에는 쇠구슬을 넣고 단련을 거듭하게 되는 것이지요.철사장은 손은 단련하는 것이라면 상피공,철포삼,금종조는 온몸을 단련하는 것이지요.그렇지만 금강불괴와는 달리 숨기운 즉 조문이 생겨서 치명적인 급소가 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대부분의 무협에서는 이 조문을 찾아내서 마지막 일격을 가하는 것으로 대미를 장식합니다.심삼태보횡련은 권투선수중에서 배가 약한 사람은 복부를 쇠공으로 단련하듯 육체에 계속 칠정한 충격을 가하면서 익히는 방법입니다..이것은 조문이 생기지 않는 장점이 있지요.이와 달리 금강불괴는 지구상의 가장 단단한 다이아몬드를 뜻하는 말처럼 절대 깨지지 않는 외문기공입니다.조문이 없다는 점에서 위에서 상술한 외문기공과는 다르답니다. 도검불침에 만독불침도 가능합니다 무림인에게는 거의 꿈의 경지입니다.수화불침,한서불침..그외도 수두룩 불침입니다..외문무공에 정순한 내공심법을 가미하여야만 가능하기에 거의 불가능한 경지라고나 할까요..?

천리향을 뿌리면 정말 그 냄새를 절대 지우지 못하는 걸까?

무협에서 흔히 등장하는 추격신에서 천리향을 묻히고 그뒤를 따르는 장면이 심심찮게 보입니다.물론 사람이 그 냄새를 맡고 뒤를 따르기 보다는 이물이라 칭하는 고양이가 흔히 등장하게 되지요.그렇다면 과연 정말로 그 냄새는 지워지지 않을까요?실재로 동물들의 세계에서는 페로몬이라는 유인물질을 내는데 그 향기는 수백리 밖에서도 이성의 냄새를 맡을 수 있다고 합니다.흔히 쓰이는 유인물질인 페로몬 유동제의 경우엔 수개월까지도 그 냄새가 남는다고 합니다.

무협에 있어서 초식이라는게 있는데 어떤 의미가 있기나 한걸까?

무협고수들이 펼치는 현란한 무술대결..그 비장한 생사결(生死決)!! 무협소설의 결투장면에 등장하는 초식들의 이름을 보면, 그 형상이 생동감 넘치고 다채로와 상당히 인상적이다. 구파 무협소설에 나오는 초식들은 대부분 「권술정화(拳鉥精華)」와 같은 권법교범에 근거를 둔 것이다. 이런 초식들은 전통무술로 실제로 있었던 것들이다. 그것들은 새 나 동물이 활동하는 자세를 모방한 것으로, 그 동작은 다양하다. 서 있거나 구부린 자세, 몸을 펴거나 움츠리는 자세, 앞으로 나아가거나 뒤로 물러서는 자세, 날거나 달리는 자세, 엎드리거나 드러누운 자 세, 위로 솟구치거나 아래로 떨어지는 자세, 머리와 꼬리를 흔드는 자세, 몸을 뒤집거나 움켜쥐는 자세 등이 실로 다양하게 펼쳐지는데 그 자태의 우아함은 보는 이의 감탄을 금치 못하게 한다. 정증인이나 주정목 그리고 백우의 소설들을 한번 펼쳐보기만 해도 다음과 같은 수많은 초식들을 찾아낼수 있다. 서우망월(犀牛望月) 백학량시(白鶴亮 ), 금계독립(金鷄獨立), 연자천렴(燕子穿簾), 평사낙안(平沙落雁), 백사토신(白砂吐信), 철우경지(鐵牛耕地), 영묘포서(靈猫捕鼠), 나로타곤(懶爐打滾), 어약용문(魚躍龍門), 야학반공(野鶴盤空) 이어타정( 魚打廷) 등 등 등...정말이지 천태만상으로 그 수를 헤아리기 힘들다. 이 초식들은 형태 가 다양하고 동작이 풍부하여 서로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다르고 다 른 것 같으면서도 같은, 변화가 대단히 심하다. 그래서 신파 무협소 설들은 이것들을 즐겨 사용했다. 무협소설 속의 어떤 초식들은사람의 행위나 동작을 모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태공조어(太公釣魚)' , '직녀투사(織女投 )', 야차탐해(夜叉探海)', '패왕사갑', '선인지로 (仙人指路)', 등이 그렇다. 이런 초식들의 특징은 동작이 다양하다 는데 있다. 한 사람이 하나의 동작으로 초식을 만들어내는 것이 있는 가 하면, 또 다른 유형의 동작이 있는데 이 동작을 누가 취했는지는 드러내지 않는 것으로, '와간교운(臥看巧雲), '발운견일(撥雲見日)', '추창망월(推窓望月)', '도타금종(倒打金鐘)','엽저적화(葉底摘花)', '거화요천(擧火 天)', '횡신타호(橫身打虎)' 등이 있다. 김용과 양우생은 이런 유형의 초식들을 만들어내는 데 고수들이었다. 그들이 만들어낸 무공초식들은 시간과 공간 그리고 인물들에 따라 변 화한다. 형산파의 무림인들을 묘사할 때는 그들로 하여금 '기러기가 축융봉을 맴돌고, 천주산에 떠도는 구름' 등과 같은 형산의 기이한 봉우리를 묘사하는 초식을 전개하게 하며, 빙천천녀를 등장시킬때는 '얼음층이 부서져 내린다.. 빙하가 거꾸로 쏟아진다 와 같은 빙신의 싸늘한 기운이 풀풀 날리는 초식을 펼치도록 한다. 그 중에서도 김용 이 만들어낸 초식들은 이미 자유자재의 경지에 들어섰다고 할수있을 정도다. 무술가 들의 안목으로는 내포된 의미를 가진 수많은 무공 초식을 실전에 곧바로 수용할 수 없다. 그러나 독자들은 그것이 형상 과 결합될 때, 허구와 사실이 어울려 한결 생동감 넘치고 흥미를 더 한다. 거기에 풍자와 해학까지 곁들이면, 금상첨화가 아니겠는가, 그 렇지 않다면 '금계독립', '백사토신', '일학충전' 따위가 무슨재미가 있겠는가?

무협의 초식에 대한 고수들의 의견개진 그 두번째

금오도법은 오로지 설산검법(雪山劍法)을 물리치기 위해 창안된 것이 다. 설산검법에는 '창송영객(蒼松迎客)' '암향소영(暗香梳影)' 등과 같은 초식이 있는데, 금오도법에는 바로 설산 검법의 이런 초식들을 맞상대하기 위한 '개문읍도(開門揖盜)' 나 '포오지사'와 같은 초식 들이 보인다. 문을 열고 도둑에게 인사하는 개문읍도(開門揖盜)의 초식은 점잖게 손님을 맞이한다는 창송영객(蒼松迎客) 초식과 맞서기 위한것이고, 포어지사 초식은 어물전의 비린내로 암향소영 (暗香梳影 )의 맑은 향기를 깨는 실로 보기드문 기이한 초식이 아닐수 없다. 그런데 이 두 초식은 순전히 자의적인 것으로 도대체 어떻게 구사할 수 있겠는가?신파 무협소설가의 붓끝 아래에서 무공은 왕왕 실제보다 훨씬 더 환상적이고 다채로와져 화화찬란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소설 가들의 붓 아래에서는, 비파소리가 사람의 목숨을 빼앗기도 하며, 바 둑돌로 혈도를 찍기도 하며, 떨어지는 꽃잎과 낙엽이 사람을다치게도 하며, 뿜어대는 술과 날아드는 얼음조각이 적을 죽이기도 한다.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생활용품들, 이를테면 수를 놓는 바늘, 고기 잡는 낚시대, 배 젓는 노, 물건 다는 저울추, 돈 계산하는 주판알, 바지를 매는 허리띠들이 모두 독특한 무기로 사용되기도 한다. 글씨 와 그림 안에 대단한 무공심법(武功心法)이 숨겨져 있다던가, 시 속 에 그 깊이를 헤아릴 수 없는 무학의 요지가 들어 있다는 등의 내용 에 이르면, 그 신기함은 한층 증가되어 보는 사람의 상상력으로는 도무지 헤아릴 수 없게 된다. 김용은 무공과 초식을 '아름답게 꾸미는' 방면에는 가히 고수 중의 고수라 할수 있다. 그는 옛 시문 속의 단편들을 이용하여 신기한 무 공들을 적지 않게 창안해냈다. 「사조영웅전」에서 홍칠공이 황용에 게 가르펴 준 '소요유(逍遙遊)'란 권법은 「장자」 '소요유'편에서 나온 것이며, 「서검은 구록」에서 진가락이 서북산동옥실(西北山 洞玉室)에서 깨우친 상승무공은 「장자」의 유명한 '포정해우'라는 구절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천룡팔부」에서 단예가 펼치는 신묘한 경공인 '능파미보'는 조식의 [낙 신부]에서 나왔다. 그리고 「협객행」의 석파천이 당대 무림의 제 일 고수가 될 수 있었던 것도 별 게 아니다. 그는 협객도(俠客島)의 14개 석실안에서, 석별 위에 새겨져 있던 무공도에 이태백의 [협객 행]이란 시가 적혀 있는 것을 보았는데, 마지막 석실의 괴두문자. 즉 올챙이 문자로 기록되니 한나라 때의 양웅이 지은 「태현경 (太玄經) 」이 궁극적으로는 사람 몸의 경맥과 혈도의 길과 방위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아냈기 때문이었다. 이런 예는 또 있다. 그 중에서 가장 신 기하고도 오묘한 것이라면, 「신조협려」에서 양과가 창안해낸 '암연 소혼(暗然銷魂)'이란 장법을 들수 있다. 이 장법은 그 이름에서부터 초식에 이르기까지 신기하기 이를데 없는 불가사의 그 자체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그럴 듯한 면이 없지 않다. 그 장법은 양과 가 절정곡(絶情谷) 단장애(斷腸崖)에서 소용녀와 애끓는 이별을 한 후 하루 종일 그녀 생각에 고심하다 창안해낸 것이다. 그는 이 장법 을 '암연소혼장'이란 이름 붙였는데, 이는 강엄(江淹) 의 별부에 나오는 한 구절인 '슬퍼서 넋이 빠진 것은 이별했기 때문 이다'에서 딴 것이었다.이 장법은 사용하는 사람의 마음 속에 진정한 이별의 애끓는 고통이 있어야만 제 위력을 발휘할 수있다. 양과는 이 장법을 딱 세 번 사용했다. 소상자(瀟湘子)들에게 한번 사용했고, 주 백통에게 한차례 보여 주었으며, 또 한번은 금륜법왕과 싸울 때 사용 했다. 그러나 양과가 소용녀와 재회한 후 그 동안의 고통이 사라지고 기쁨으로 가득차자 이 장법은 위력이 크게 감소되면서 자연히 소실 되었다. 이 '암연소혼장'은 18초가 아닌 17초, 다시 말해 짝수가 아닌 홀수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리는 여기에서 두 사람의 이별을 염두해 둔 김용 의 세심한 배려가 엿보게 된다. 중국 무협소설에 등장한는 무공은 오 묘함과 신비함의 극치다. 무공들이 시문과 경서속에 숨어 있기 때문에 그 무공들은 현묘막측하여 가히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이다. 그러 나 그로 인해 독자의 상상력을 광활한 천지로 내달리게 만든다. 사실 무공과 초식에 대한 '미화'는 신파무협소설가들의 큰 공헌으로 중국 무협소설사상 특이할 만한 것이다. 작품속의 인물들은 미간에서 검을 뿜어내지도 않으며 몸을 나누어 형 체를 감추는 기술도 없는, 사람들 틈에 섞여 그들과 어울려 사는 존 재들로 그려지고 있어 비교적 신빙성이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무공 이 신기함이 치우쳐 상상과 과정이 너무 끼어들어 사실속에 황당함이 섞이는 현상도 없지 않다. 예컨대 김용의 「천룡팔부」에서 천산동노가 무공을 연마할 때 어린애와 같은 모양으로 바뀐다든지, 무애자 가 눈 깜짝할 사이에 70여 년간의 공력을 모조리 허죽에게 주입시켰 다느니, 단예의 육맥신검(六脈神劍)과 구마지(鳩摩智)의 화염도 (火焰刀)는 손가락과 손바닥 사이에서 나오는 기로 적을 죽일수 있다느 니 하는 것들이다. 또 양우생의 「운해옥궁연」의 주인공 김세유가'천둔전음(天遁傳音)' 이란 신공으로 빙천천녀(氷川天女)에게 양적부를 물리칠 수 있도록 알려 주었는데 곁에 있던 사람은 아무도 그 목소리를 듣지 못했다는 장면도 들수 있다. 그런가 하면 고룡의 대표작인 「초류향」에서 주 인공 초류향이 입이나 코가 아닌 피부와 털구멍으로 숨을 쉴수 있는 기이한 무공을 연마했다는 것이나, 「천잠변(天蠶變)」의 운비양이 천잠공(天蠶功)을 터득하여 누에 모양으로 껍질을 벗고 환골탈태 했 다는 것, 또한 「고루화」의 십천수가 그의 호루병 속에 '육무잠형사 (六戊潛形絲)'를 감추어 두고 필요할 때 커다란 그물처럼 쏟아내어 사람을 묶어는데 그 형체를 전혀 알수 없었다는 것도 있다.

무협의 초식에 대한 고수들의 의견개진 그 세번째

무협은 치고 받는 손발의 쿵푸를 주로한다. 때로 무공이 지나치게 신기한 면을 보이기도 하지만 황당무계하다고는 할 수 없는 기본적인 사실형에 속한다. 그러나 검협(劍俠)은 사정이 좀 다르다. 비검법술(飛劍法術), 현공변화(玄功變化), 장신입복(藏身入腹), 윤회 전생(輪廻轉生)한 것이 낭만적 황당무계형에 속한다. 이런 구분에 의하면, 당나라때의 전기 속에 나오는 규염객, 곤륜노, 황삼객, 허준 등은 모두 무협에 속한다. 반면 섭은랑, 홍선, 공공아, 등은 검협에 속한다고 할수 있다. 중국의 무협소설은 당나라때의 전기로부터 시작 하여 무협과 검협이 라는 두 노선에 따라 나란히 발전해 왔다. 명나라와 청나라 두 시대의 무협단편 역시 이에 따라 두 종류로 나누 어지다. 청나라 때의 정관응(鄭官應)은 명나라와 청나라 때 필기 소설에서 이런 고사들을 수집하여 「속검협전(續劍俠傳)」이란 책을 펴 낸 바 있다. 이 책에서 [대철추전(大鐵椎轉)], [위남자(偉男子)], [ 비파고녀], [모생(毛生)], [공공아(空空兒)], [갈의인(葛衣人)], [말 좌객(末座客)], 등은 무협류에 속해 있는데, 이 작품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무예는 사실에 가깝고 지나치게 괴이하고 황당한 묘사는 없다. 반면 검협류에 포함된 작품들의 내용은 대단히 황당하다. 적지 않은 무공들이 이미 무공의 경지를 초월하여 갈수록 현묘해지고 신비스러워져서, 신파 무협소설가들은 기상천외한「촉산검협전」에서 도움을 청하여 그 속의 법보와 법술들의 명칭을 따와 자기 나름대로 가동하고 개조하기도 했다. 이를테면 아까 말한 '천둔전믕'이니 '건곤대나이', '천마해체대법(天魔解體法)', '금강불괴신법 (金剛不壞 神法)', 태을오련나(太乙五煉羅)' 등과 같은 것들은 모두 「촉산」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다른 작가들이 따다가 써먹고 난후는 신묘한 무공심법으로 등록되어 버렸다. 그 모습을 일부 바꾼 '천일신수(天一 神水)'니 '적영신광(赤影神光)' 등은 모두 지독히 살인적인 효능을 갖춘 무공이 되었다. 신파 무협소설에서 초무공(超武功)이 출현함에 따라 점차 검협의 색채를 띠기 시작했다. 초월적 무공을 묘사하는 정 도가 입으로 흰 빛을 뿜어내는 '구토백광(口吐白光)' 과 같은 비검법 술(飛劍法術)은 아니었지만 그 기상천외한 발상은 이미 비검법술과 마찬가지로 황당무계를 향해 달리고 있었다. 상식을 벗어나는 신공( 神公)은 거의 검협을 방불케 하는 것이었다. 세상이 깜짝 놀랄 신공 이 등장하는 '초일류 무협'은 무협과 검협이 합류함으로써 탄생한 것 이라고도 볼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본래 무협과 검협, 사실과 황당의 경계선은 애매 모호해 져 버렸다. 그러나 검협의 요소를 갖춘 무협은 시종 '협(俠)'이었지 '선(仙)'은 아니었기 때문에 전통적인 검협과는 같을 수 없었다 .왜 냐하면 검협의 최고경지는 누가 뭐라해도 검선(劍仙)으로, 무협으로 는 이러한 경지에 이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신파 무협 소 설들은 무협의 사실적 요소와 검협의 황당무계한 요소가 한 곳에 녹 아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그 경계선은 뚜렷할 수 밖에 없었다.

무협의 초식에 대한 고수들의 의견개진 그 네번째

고대에는 도상에서 군사작전을 논하는 '지상담병(紙上談兵)'이란 이 야기가 있다. 그 이야기에 나오는 유명한 인물은 조괄(趙括)이다. 「사기」[염파곽상여열전]의 기록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전국 시대 조나라 명장의 아들 조괄은 어려서부터 병법을 즐겨 읽고 군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길 매우 좋아했다고 한다. 그래서 명장인 그의 아버지조차도 병법에 관한 한 조괄을 당할수 없었다. 뒷날 조괄은 염파의 뒤를 이어 조나라 장군이 된다. 그런데 조괄은 오로지 병서에만 의존해서 작전을 펼칠 뿐 임기응변이라고는 전혀 몰랐다. 그 결과 장평(長平) 전투에서 진나라 장군 백기(白起)에게 패하고 말 았다. 조괄 자신은 화살에 맞아 전사하고 그가 이끄는 40만 대군은 포로로 잡히거나 구덩이에 산 채로 묻혀 개죽음을 당하였다. 후세 사가들은 이 이야기를 놓고, 실전을 모르고 입으로만 떠드는 것을 '종이 위에서 군사작전을 논한다.' 라 한다. 역사 속에서 '종이 위에서 군사작전을 논하는' 것은 비극이지만, 무협소설 속에서의 이 경우는 대단히 흥미롭기만 하다. 「서검은구록」에는 화수판관(火手判官) 장 소중(張召重)이 서북 가욕관 밖에서 천지괴협(天地怪俠) 원사소(袁士 宵)를 만나 '지상담병' 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때 원사소는 낙타, 말 , 양을 몰아 이리떼를 찾아 나선다. 말하자면 가축들을 이용하여 이리떼를 함정에 몰아 섬멸하려는 것이었다. 바로 이때 이리떼를 맞지만, 위기에서 벗어난 장소중 일행을 만난 것이다. 원사소는 장소중의 일행에게 함께 이리떼를 잡으러 가자고 권한다. 장소중은 원사소를 모르기 때문에 선뜻 나서지 못하고, "소인 원대 협의 고명하신 가르침을 받아 확실히 고인임이 밝혀지면 당연히 명에 따르죠." 라고 말한다. 원사소는 웃으며 다음과 같이 답한다. "하하 하, 그대가 나를 시험하려 드는구나! 이 몸 평생에 남을 시험해 본 적은 있으나 남에게 시험을 받아본 적은 없는데." 그리고는 아래와 같이 '입으로 병법을 논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가히 흥미 진진하다. 원사소가 말했다. "묻겠는데, 방금 그대가 구사한 '홍운탁월(洪雲托 月)' 이 뒤에 가서는 '설옹남관(雪擁藍關)' 으로 변하는데, 나는 왼쪽으로 '하산참호(下山斬虎)'의 초식으로 공격하고 오른쪽으로는 그대의 '신정혈(神庭穴)'을 찍고, 오른발로는 동시에 그대의 무릎 아래 세치 지점을 차면, 그대는 어떻게 대응하겠는가?" 장소중은 잠시 멍 하니 있다가 대답한다. "저는 아래로 '반궁사조(般弓射雕)'를 구사하 고 두 손으로는 금나(擒拿) 수법으로 선배님의 맥문(脈門)을 움켜쥐 겠습니다." 원사소는 장소중의 대답을 듣고는, "수비를 하면서 동시에 공격을 한다.? 그렇다면 그대는 무당파의 고수임이 분명하겠군." 하고 말한다. 원사소는 또 다음과 같이 말한다. "오른쪽으로 '명이(明夷)'로 나아가 '기문혈(期文穴)'을 취한다." 장소중은 즉각 이렇게 대답한다. "중부 (中莩)"로 물러서 봉안수로 타개해 나가지요." 원사소는 계속해서, "기제(旣濟)"로 나가서 '환도혈(環跳穴)'를 찍고, 또 왼손바닥으로 '곡원혈(曲垣穴)'을 누르면? 하고 몰아쳐 나갔다. 장소중의 안색이 긴장되더니 한참을 생각한 다음, "진방(震方)"으로 물러나고, 다시 '복방(復方)'으로 물러나며, 재차 '미제(未濟)'로 물 러서지요." 라고 응수했다. 두사람의 말은 갈수록 빨라졌다. 원사소 는 껄걸 웃으며 태연자약하고 있으나, 장소중은 쉴새 없이 땀을 흘리고 있다. 어떤 때는 초식 하나를 한참이나 생각한 다음 간신히 타개 해 나갔다......두 사람의 입에서는 또 몇 초가 교환되고 장소중은, "소축(小畜)'으로 비켜나서 허수중반(虛守中盤)의 초식을 전개합니 다." 하고 말한다. 그러자 원사소는 손을 내저으며, "이 초식은 좋지 않는데, 자네가 진 것 같군." 라고 말했다. 장소중이 가르침을 청하자 원사소는, "내가 '뢰(賚)'로 파고들어 발로 '음시혈(陰市穴)'을차고, 또 '신봉혈(神封穴)'을 찍으면, 자네는 꼼짝할수 없게 되지." 하고 말한다. 그러자 장소중은, "말씀은 옳습니다만, 선배님게서 '뢰'방위 에 있는 마당에 팔꿈치로 어떻게 저의 '신봉혈'을 찾을 수 있단 말입 니까?" 라고 의의를 제기하자 원사소는, "팔꿈치를 쓸 필요가 있나? 못 믿겠으면 한번 해보게, 자!" 하고 응수한다. 그리고는 오른쪽 발을 날려 장소중의 무릎 위 세 치 '음시혈'을 내질렀다. 장소중은 몸 을 돌려 뛰어 오르면서 고함을 질렀다. 그러다 다치기라도 하면 어쩌시려구..........." 말이 끝나기도 전 에 원사소의 오른손은 이미 장소중의 가슴팍 '신봉혈'을 짚고 있었다. 실로 절묘하기 짝이 없는 이 '입싸움' 장면은 다른 작품들에서는 좀 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여기에 보이는 '명이', '붕부', '기제', '진 ', '복', '미제', '소축', '뢰' 등은 「역경」에 나오는 쾌이름들로, 작품에서는 발을 옮기는 방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기문', '환 도', '곡원', '음시', '신봉' 등은 인체의 혈을 가리킨다. 원사소와 장소중이 입으로 무예를 겨루는데 쾌의 방위와 혈의 방위가 연속 나 타나자, 옆에서 이 싸움 아닌 '싸움'을 구경하고 있던 관동이마(關 東二魔)는 그들이 무슨 암호를 교환하는 줄로 착각했다. 하니 그럴 만도 하다. 이 뿐이 아니다. 「신조협려」에도 말로 무예를 겨루는 장면이 나온다. 북개 홍칠공과 서독 구양봉이 화산 꼭대기에서 우연 히 만나 내공을 서로 겨룬 다음 모두 기력을 다 소모하고 더 이상 싸 우지 못하고 쉬게 된다. 이때 두 사람은 여전히 승부를 내고 싶은 마음에서 서로 번갈아 자 신들의 봉법(捧法)과 장법(掌法)을 양과에게 전수하여 양과로 하여금 그것을 펼치게 함으로써 승부를 겨룬다. 홍칠공이 '타구봉법 (打拘棒 法)'중에서도 가장 지독한 '천하무구(天下無拘)'라는 초식을 펼치게 하여 구양봉으로 하여금 밤새 그 초식을 깰 수 있는 절초를 생각 해 내도록 한다. 양과가 그 절초를 홍칠공 앞에서 펼쳐 보이자 홍칠공도 크게 탄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홍칠공과 구양봉이 입으로 초식을 전 개하고 이것을 받아 양과의 행동으로 전개해 서로의 무공을 겨루는 이 장면은 자못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진짜 신기한 초식이어서 독자 의 눈을 번쩍 뜨이게 한다. 원사소, 장소중, 홍칠공, 구양봉 등이 비록 입으로 병법을 말했다. 하지만 그것은 진짜 무림고수의 말이었다. 그런데 「천룡팔부」중의 왕어언의 경우는 입만 놀릴 줄 알았지 진짜 무예는 전혀 할 줄 모르 는 그야말로 '구두무술가(口頭武術家)'였다. 왕어언은 사촌 오빠 모 용복을 사랑했기 때문에, 그를 만나면 그를 즐겁게 해줄 수 있는 대화거리를 찾다가 천하의 무학비급을 모조리 독파하여 다 외워 버린 다.그래서 각 문파 무공의 특징과 초식변화 및 각종 초식을 깨는 방법, 각 문파만의 독특한 무기와 암기의 식별, 각 무공의 장점과 단점 등등을 모두 손바닥 들여다 보듯이 훤하게 알게 되었다. 실로 무학의 일대 대가라 하지 않을수 업삳. 만타산장(蔓陀山莊)에서 아주 (阿朱) 가 모용복에게, 개방의 '타구봉법'은 대단히 경쾌하여 그 처음과 끝 이 마치 구름과 물이 흐르는 것 같다는 말을 옆에서 듣고, 그녀는 ' 아니여'라고 가볍게 일축하면서 다음과 같이 타구봉법에 대해 혼자 생각하는 대목이 있다. '타구봉법의 심법은 내가 비록 잘 알 수는 없지만, 봉법으로 보아하니 느리면 느릴수록 좋은 것이 있고, 또 어떤 것은 갑자기 빨라지거나 또 갑자기 느려지는 것이 있는 것 같다. 빠른 가운데 느리고 느린 가운데 빠름이 있다고 할까. 이건 의심할 바 없이 분명해, 그...., 그가 만약 개방의 고수의 손에 걸린다면 아마.........아마도....... 모용복이 만약 개방의 타구봉법이 쾌속함에 주목하여 그 심법을 이해 하지 못한 상태라면, 개방의 고수와 맞닥뜨릴 때 패할 것이라는 의미이다.그러나 왕어언은 존경하는 외종 오빠이기 때문에 차마 '패배 '라는 말을 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훗날 왕어언 무석성(無石城)에서 개방 방주 교봉(喬 )이 단숨에 풍파악과 포부동 두 사람을 물리치는 것을 직접 눈으로 보고는, 내심 강호에서는 비록 '북교봉(北喬 ) 남 모용(南慕容)' 이라고 하지만 무공은 모용복이 교봉을 따르지 못함을 직감했다. 왕어언의 이러한 판단은 훗날 사실로 증명되었으니 그녀의 판단력이 어떠한가를 넉넉히 짐작할 수 있다. 모용복은 소림사밖에 서 처음로 교봉을 만나 무예를 겨루다 교봉에게 패했던 것이다. 왕어언은 전혀 칼을 쓸 줄도 봉을 휘두를 줄 모르는 무학의 기재었다. 내공도 없고 무공도 없었다. 그러나 무학을 전하는 책을 통해 천하의 모든 무학의 기이한 초식과 절개들을 상세히 알고 있었다. 뿐만 아니 라 비상한 기억력으로 그것들을 모조리 외우고 있었다. 그녀는 사람 들이 싸우는 동작만 보면 한눈에 어떤 문파인지 알아낼수 있었음은 물론 상대가 다음에 어떤수를 쓸 것인지 지적해 내서, 싸우는 사람 들을 깜짝놀라게 만들었다. 그녀가 만타산장을 떠나 아주가 머무르 고 있는 청향수사(聽香水謝)에 들렀을 때, 그녀의 이러한 진면목이 가장 잘 드러났다. 당시 청향수사에는 원수를 찾아온 험한 두 패거리 가 몰려 있었다. 진가채(秦家寨) 사람들과 청성파(靑城派) 사람들이었다. 왕어언은 이 들 앞에서 담담하게 무예에 관한 자신의 학식을 펼쳐 보임으로써 주위를 경악시켰다. 그녀는 진가채의 오호단문도(五虎斷門刀)가 본디 모두 64초였는데 후인들이 5초를 잊어버리는 바람에 59초만 전해져 내려오게 되었다고 단정하였다. 절전된 그 5초는 '백호도 간(白虎跳 癎)', '복상승사(伏象勝獅)'라고 지적하여 진가채의 채주 요백당을 지절초풍케했다. 뿐만 아니라 청성파의 장문인 사마림(司馬林)이 손잡이가 둘인기이한 병기를 꺼냈을 때 그녀는 한눈에 그것이 청성파의 독문병기(獨門兵器) '뇌공굉(雷公轟)'임을 알아냈다. 그리고 청성파에서 '청(靑)'자 구타 (九打)와 성(城)자의 십팔괴의 그 근거가 충분치 않다고 지적하여 청 성파 사람들을 아연 긴장시킨다. 그녀는 청성파 장문 사마림에게 다 음과 같이 말한다. "제가 보기에 '청'자 9타는 10타가 타당할 것 같 아요. 철보리(鐵菩利)와 펄련자는 겉모습은 비슷하지만 그 사용범은 크게 달라 함께 논할 수는 없죠. '성'자 18파에서 '파갑(破盾)', '파 패(破牌)', 이 세 초식은 별다른 특이한 곳이 없는데 그저 18이라는 숫자를 맞추기 위해 갖춘 것 같아요, 그래서 없애버리거나 한데 합쳐 15파나 16파로 하는 것이 훨씬 나을걸요."왕어언의 이 말에 장문인 사마림은 말도 못하고 멍하니 그녀의 얼굴만 쳐다보고 있었다. 왜냐하면 그 자신도 '청'자의 7타밖에는 배우지 못했고, 철련자와 철보 리를 전혀 구별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파갑, 파순, 파배, 이 세종류의 무공은 원래 평생을 두고 배워야 하는 청성파의 독문절기인데, 뜻밖에도 왕어언이 없애버리는 쪽이 낫다고 하니 경악스러울 수밖에..또 왕어언은 암기를 사용하는 수법을 보고 사마림의 사제 제보곤(諸保昆)이 사용한 암기가청성파의 ' 청봉정(靑蜂釘)'이 아니라 봉래파에 얽힌 역대의 은원관계를 애기한 다. 사마림 등이 청성파에 잠입한 제갈곤을 주살하려고 할 때, 그녀 는 또 제갈곤이 사용하는 봉래, 청성 두 파의 무공을 지적해 줌으로 써 겁난을 피했다. 왕어언은 여러 차례 무림고수들의 면전에서 무예 에 관한 그녀의 깊은 조예를 발휘하여 각 무예에 대해 논하고 평가했 다. 그러나 그녀는 부는 바람에 날아갈 듯한 연약하고도 아름다운 여인일 뿐이다. 무공이란 전혀 할줄 모르는, 참으로 무협소설에서는 찾아보 기 힘든 기인이었다. 김용은 다른 사람과는 다른 인물를 잘 만들어 냈다. 이 아름답기 짝이 없고 애교 넘치는 왕어언을 통해 무협소설에 참신한 - 무공은 전혀 못하는 무학의 기재로서 - 전형을 그려내었다. 각종 무학에 대해 박학다식한 그녀는 독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다 .


Comment ' 2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협백과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92 의술기타 혈도 지도 7 +12 Lv.1 宋河沅 03.06.16 5,119
391 의술기타 혈도 지도6 Lv.1 宋河沅 03.06.16 3,304
390 의술기타 혈도 지도5 Lv.1 宋河沅 03.06.16 3,108
389 의술기타 혈도 지도 4 Lv.1 宋河沅 03.06.16 3,107
388 의술기타 혈도 지도3 Lv.1 宋河沅 03.06.16 3,072
387 의술기타 혈도 지도2 Lv.1 宋河沅 03.06.16 3,803
386 의술기타 혈도 지도1 +9 Lv.1 宋河沅 03.06.16 9,187
385 문파일반 해남파(海南派) +2 류한 03.06.15 3,108
384 문파일반 보타문(普陀門) 류한 03.06.15 2,189
383 문파일반 동정십팔채(洞庭十八寨) 류한 03.06.15 1,905
382 중국문화 미인의 조건-중복아님... 류한 03.06.15 1,553
381 기타상식 무예 신보(武藝 新譜) 류한 03.06.12 1,572
380 기타상식 무예와 역사 류한 03.06.12 843
379 기타상식 기란 무엇인가? +1 류한 03.06.12 1,592
378 기타상식 띠별 성격-신유술해(원숭이띠에서 돼지띠까지) +3 Lv.11 향비 03.06.11 1,507
377 기타상식 때별 성격-진사오미(용띠에서 양띠까지) +1 Lv.11 향비 03.06.11 1,642
376 기타상식 띠별 성격-자축인묘(소띠에서 토끼띠까지) +1 Lv.11 향비 03.06.11 1,604
» 기타상식 무협상식...? +2 류한 03.06.11 3,682
374 기타상식 삼십육계(三十六計) 개요 류한 03.06.11 1,258
373 기타상식 불자(佛者)가 지켜야 할 계문(戒文) 류한 03.06.11 989
372 기타상식 무인의 눈 류한 03.06.11 1,167
371 중국지리 지역 +2 류한 03.06.11 3,073
370 문파일반 전진교 류한 03.06.11 2,547
369 병기기타 검을 이용한 공격 방법의 종류』 류한 03.06.11 1,696
368 병기기타 『검 관리 방법』자료입니다.... 류한 03.06.11 2,221
367 기타상식 사신(四神)에 대해서 류한 03.06.11 1,417
366 기타상식 천부경 자료입니다 류한 03.06.11 1,368
365 무공일반 무협 경공자료... +1 류한 03.06.11 3,123
364 기타상식 오대 존명왕에대한 자료... 류한 03.06.11 1,209
363 무공일반 태극권에 대하여.. +2 Lv.79 루칼리스 03.06.11 1,532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