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무협백과

무협에 관련된 지식백과



유수(중국무술)에 관하여

작성자
Lv.23 바둑
작성
03.11.09 17:02
조회
1,929

◆ 우슈운동의 작용

1. 체질강화작용

우슈의 투로 동작에는 굴신(屈伸), 회전(回環), 평형, 도약, 공중제비, 구르기의 다양한 동작이 포함된다. 산수는 비교적 힘이 있고 기교적이며 투지와 대항적인 성격이 강하다.

인체 각 부위가 거의 쓰이며 각 근육군의 운동중추사이의 협조관계가 많이 요구되는 동시에 운동중추와 식물성중추사이의 협조도 많이 요구된다.

따라서 체계적으로 무술을 단련하면 각 중추사이의 협조관계가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태극권은 의식에 의해 인도되는 동작을 중시하기 때문에 억제과정을 강화할 수 있고 신경조직의 균형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만성질병에 좋은 치료효과가 있다.

우슈 단련은 심장혈관계통의 기능이 개선될 수 있고 인체의 산소성신진대사능력과 무산소성신진대사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호흡계통의 기능을 발전시키며 폐활량을 높일 수 있음이 조사를 통해 나타났다. 또한 힘, 민첩함, 유인(柔靭)성의 체질강화에 골고루 좋은 영향을 미친다.

2. 자기방어능력

우슈의 투로와 격투운동은 공격과 방어동작을 중심내용으로 한다. 따라서 훈련을 통해 체질강화뿐 아니라 공격방어의 기술체계를 익힐 수 있으며 이는 자기방어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다.

3. 수신양성(修身養性)작용

중국의 수 천년 역사에서 우슈는 예의와 도덕을 중시하고 강조하여 왔다. "예의를 먼저 배우고 기예를 배우며 도덕을 익히고 무술을 익힌다.(未曾學藝先學禮, 未曾習武先習德)", "덕성이 부족한 자에게 배우지 말아야 하며 이치를 모르는 자는 가르칠 수 없다. (缺德者不可與之學, 喪理者不可敎之)는 모두 귀중한 격언이다. 무덕(武德)은 무술을 배우고 가르치는데 필요한 선결조건으로 여기는데 이는 중국무술의 전통이다. 이렇게 하여 무술을 배우는 자는 공격방어술과 도덕규법을 배우고 결합함으로써 인류와 사회를 이롭게 해야 한다.

산수와 투로훈련은 용감하고 완강하고 강인한 의지를 기를 수 있다. 따라서 무술훈련을 통해 전조를 수양할 수 있고 수신양성의 작용을 할 수 있다.

4.오락, 감상의 기능

우슈는 높은 감상가치를 지닌 운동으로 형신(形神)으로 표현하는 공력(功力)과 기교를 투로뿐 아니라 두 사람이 지혜와 용맹을 겨루어 격렬히 대항하는 산수도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 문화생활을 풍부히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서로의 기예를 토론하고 연구할 수 있고 사상을 교류하고 우의를 증진시키는 훌륭한 방법이 될 수 있다.

◆ 우슈의 내용과 분류

우슈는 운동형식에 따라 투로와 격투운동으로 크게 양분된다.

가. 투로운동 투로운동은 , 打, 拿, 擊, 刺의 공격수비동작이 공수진퇴(攻守進退), 동정질서(動靜疾徐), 강유허실(剛柔虛實)의 격투규율에 따라 이루어진 권술, 기계술과 대련투로의 연만종목이다.

(가) 권술 사권, 화권등 유형의 장권,태극권,남권,형의권,팔괘장,팔극권,통비권,번자권,벽괘권,소림권,육각권,지당권,형상권

㉮ 사권(査拳), 화권(華拳)유형의 장권(長拳): 권(拳), 장(掌), 구(勾)의 3가지 수형(手形)과 궁(弓), 마(馬), 복(僕), 허(虛), 헐(歇)의 5가지 보형이 있고 편안한 자세, 민첩한 동작, 신속한 강인함, 선명한 박자를 특징으로 하며 도약, 구르기의 동작을 갖춘 권술, 사권, 화권, 등 각종 권술에는 또한 각자의 기술특징과 운동풍격이 있다.

㉯ 태극권: 부드럽고(柔和) 완만하고 경쾌한 권술, 동작이 둥글고 곳곳에 활모양을 이루며 운동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앞뒤가 일관된다. 각식 태극권도 대가(大架), 소가(小架), 개합(開合), 강유(剛柔)의 겸비의 특징들을 지니고 있다.

㉰ 남권: 남권은 광동(廣東), 푸치엔(福建)등 남부 각지에서 유행하는 권술종류, 권술의 종류와 유파가 꽤 많아 광동남권은 홍가(洪家), 유가(劉家), 채가(蔡家), 이가(李家), 막가(莫家)로 푸지앤남권은 영춘(永春), 오조(五祖)의 유파로 나뉜다. 각 유파마다 풍격과 특징이 있고 공통적인 특징은 강한 발력(發力), 견고하고 안정적인 보법(步法), 명쾌한 동작, 어느방향에서 오는 공격에도 반응할 준비가 되있는 훌륭한 신체위치 등이다. 남권표연때는 자주 기압을 넣고 발력(發力)할 때는 근육을 부풀린다.

㉱ 형의권(形意拳): 삼체식(三體式)을 기본자세로 하여 벽권(劈拳), 붕권(崩拳), 찬권(鑽拳), 포권(砲拳), 횡권(橫拳)을 기본권법으로 하고, 용, 호랑이, 원숭이, 말, 거북이, 닭, 제비, 뱀, 독수리, 매, 곰의 11종의 동물동작을 따서 만든 권술, 간단한 동작, 침착한 발력, 간결하고도 치밀한 투로가 특징이다.

㉲ 팔괘장(八卦掌):독특한 발놀림과 몸의 회전을 주요특징으로 하고 推, 托, 帶, 領, 穿, 截, 着, 의 장법(掌法)을 내용으로 하는 권술, 특징은 재빠른 몸놀림, 유연한 발놀림, 계속적인 방향의 변화이다.

㉳ 팔극권(팔극권): (애), 傍(방), (제), (고)의 신체밀착공격동작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짧은 타격류의 권술 발력이 강하고 맹렬하며 운각(雲脚)이나 틈보(闖步)로 발력(發力)을 돕는다.

㉴ 통비권(통비권):率, 拍, 穿, 劈, 贊 의 5가지 기본장법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권람구겁삭마발선(圈攬勾劫削摩撥扇)의 팔법의 운용을 통하여 이루어진 권술, 특징은 손을 내밀 때는 장(掌)이고 손을 흔들 때는 권(拳)이며 마무리는 다시 장이 된다.

㉵ 번자권(飜子拳): 짧고 빠르고 힘이 넘치는 동작, 치밀하고 잘 짜인 투로와 빠른 발력을 자랑한다. 번자권은 손동작과 발동작의 빠른 연결을 특징으로 하고 보통 몇 가지 기술들이 격렬한 방식으로 동시에 사용된다.

㉶ 벽괘권(劈 拳):주로 장거리 공격전술로 접근술과 병행하는 광범위하고 강력한 공격을 특징으로 한다. 격렬한 확장과 수축, 자르기와 슬쩍피함이 표연을 이룬다. 기술을 쓸 때 허리는 비틀고 엉덩이는 끌어들이며 팔은 이완하여 엇갈리게 하고 힘은 어깨와 팔에 집중되도록 한다.

㉷ 소림권(少林拳): 대홍권(大紅拳), 소홍권(小紅拳), 포권(砲拳), 매화권(梅花拳), 칠성권(七星拳), 나한권(羅漢拳)이 포함된다. 현재 숭산의 소림사에서 전수되는 권술로 곧고 작고 치밀하며 매우 강력한 동작을 특징으로 한다. 주먹을 쓸 때 팔을 구부리거나 완전히 펴서는 안되는 것이 하나의 특색이다. 동작은 주로 콧김을 내쉬며 끝난다.

㉸ 육각권(戮脚拳): 퇴법(腿法)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권술, 기본퇴법에는 丁, 湍 , 拐, 蹶, 錯, 嶝 이 있다. 훈련 때 각 걸음마다 손동작과 발동작을 번갈아 하며 발차기를 한다. 이 권술은 퇴법이 두드러진다.

㉹ 지당권(地 拳):撲, 滾의 지당솔법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권술, 기교성이 비교적 강하고 동작의 난이도도 비교적 높다.

㉺ 상형권(象形拳): 공격방어동작으로 각종 동물형태와 인물생활형상을 결합모방하여 이루어진 권술, 응조권(鷹爪拳), 당랑권(螳螂拳), 후권(喉拳), 사권(蛇拳), 취권(醉拳)이 있다. 상형권은 대상의 모습을 모방할 뿐 아니라 우슈의 공격방어 특징을 체현하여야 한다.

(나) 기계

㉮단기계: 도(刀), 검(劍), 비수(匕首)등

㉯장기계: 창(槍), 곤(棍), 대도(大刀),박도(朴刀) 등

㉰쌍기계: 쌍도(雙刀), 쌍검(雙劍), 쌍구(雙鉤), 쌍극(쌍극), 상두쌍창(雙頭雙槍) 등

㉱연기계: 구절편(九節鞭), 쌍편(雙鞭), 단도가편(單刀加鞭), 삼절곤(三節棍), 초자곤(梢子棍), 유성수, 승표등

(다) 대련

㉮맨손대련: 대타권(對打拳), 대리나등

㉯기계대련: 대벽도(對劈刀), 대자검(對刺劍), 대찰창(對 槍), 대타곤(對打棍), 단도진창(單刀進槍), 쌍도진창(雙刀進槍), 박도진창(朴刀進槍), 삼절곤진창(三節棍進槍) 등

㉰맨손 및 기계대련: 공수탈도(空手奪刀), 공수탈장(空手奪槍), 공수파쌍창(空手破雙槍)등

(라) 단체종목 6명 이상의 맨손 또는 기계단체표연, 도안을 편성할 수 있고 표연시 대형이 가지런하고 동작이 동일하다.

나. 격투운동 일정한 조건아래 일정한 규칙을 준수하여 2인이 지혜와 기술을 겨루는 대항운동, 현재 산수(散手), 태극추수(太極推手), 단병(短兵)등이 행해지고 있다.

◆ 우슈운동 방법의 특징

중국무술은 운동방법상 독자적이고 전통적인 특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음의 6가지가 있다.

1.강유상겸(剛柔相兼) 중국무술은 주로 강하면서도 유하다. 각 유파들은 모두 "안으로 강함을 발하고 유

함으로 안을 다스린다.(剛發乎內, 柔制乎外)", "겉은 유한듯하나 안은 강하다(外若優柔, 中實剛勁)", "강함에 유함이 있고 유함중에 강함이 있다.(剛中帶柔, 柔中帶剛)", "강유가 서로 어울려 심신의 안정을 가져온다. (剛柔相濟定心神)"의 강유상겸설의 운동법을 주장한다.

2.내외합일(內外合一) 내(內)란 내재하는 의지활동을 가리키고 외(外)라 함은 손과 눈과 발과 몸체의 형체활동을 가리킨다. 손과 발이 합하여지고 팔꿈치와 무릎이 합하여 짐과 어깨와 살이 합하여짐을 "외삼합(外三合)"이라 하는데 신체동작의 완전한 조화를 요하는 것이다. 눈과 손과 몸통과 발이 조화되어야한다. 동작기세와 조화롭고 완정함에 대한 요구이다. 외재의 형체활동은 내재의 의지 활동과 긴밀히 결합되어야 하고 기와 힘이 합하여야 하는데 이를 "내삼합(內三合)"이라한다. 우슈를 수련할 때는 내외합일이 되어야만 우슈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가 있을 수 있고 더욱 높은 수준에 이를 수 있다.

3.기(氣)와 호흡의 조절 중국무술은 기와 호흡의 조절에 대한 단련을 매우 중시한다. 예를 들어 태극권은 "기를 단전에까지 가라앉힘(氣沈丹田)", "마음에 의해 기의 운행이 좌우됨(以心行氣)"을 중시하고, 소림권도 기는 단전에서 발산됨(氣自丹田吐)"을 강조하고 운동할 때 "몸과 사지는 기와 호흡의 조절된 사용을 통해 활기를 얻는다."고 강조한다. 중국무술의 각종 유파는 모두 기와 호흡의 조절을 강조하고 있다.

4.내경(內勁)을 중시한다. 우슈동작을 단련할 때는 "내경(內勁)"이 있어야 한다. 즉, 사람의 지체로 각종 우슈동작을 만들 때 몸체와 지체의 근육이 자연스러운 긴장상태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다. 동작은 외형상으로는 균형이 잡히고 정제되며 자연스러워야 하는 동시에 근육도 일정한 장력을 끝까지 유지하여 긴장을 풀지 않음으로써 동작에 충실한 내재의 힘을 나타내도록 한다.

5.움직임이 끊기지 안고 연속적이다. 중국무술은 투로에서 동작이 처음부터 끝까지 연면히 이어지고 기맥이 끊이지 않는 것을 강조한다. 태극권 및 다른 권술도 이와 같다. 다른 권술에서의 연속성은 투로 전체가 태극권처럼 중간에 끊어짐이 없이 완성해야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동작이 "형태는 끊어지나 정신이 기(氣) 또는 의(意)의 형태로 연결됨(形斷意連, 勢斷氣連)"을 실현하여 통일된 전체를 이루어야 한다. 이는 조화로운 정신운동이나 눈 운동을 통하여 이룩할 수 있다.

6.엄격한 공격법 공격법이란 우슈의 , 打, 拿, 擊의 4가지 격투기술에 대한 법칙이다. 공격방어도작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권술투로는 위의4 가지 공격법의 범주(기계투로 刺, 擊등의 공격법으로 이루어짐)를 벗어날 수 없다. , 打, 拿, 擊의 4가지 방법의 구체적인 실행법은 모두 규정이 매우 엄격하여 뒤섞이거나 분명치 않으면 안된다.

우슈는 유구한 역사를 지닌 중국의 스포츠로 그 기원이 원시 씨족 공동사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의 각저무 (角抵舞:레스링)와 간척무 (干戚舞:도끼와 방패)등은 우슈의 최초 형태로 건강 증진 질병

치료, 장수 (長壽), 투지 (鬪志)배양을 위한 수단으로 쓰였다. 상주 (商周)시대에는 무술 활동들이 나타나

는데 군사 훈련과 학교 교육 과정으로 쓰였다. 춘추 전국 (春秋戰國)시대에는 전장 (戰場)에서 격투 기술

로의 적용을 중시하였다 . 군사 선발을 위해 해마다 봄과 가을에 각시 (角試)를 실시 하였고 격검 (擊劍)이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검론 (劍論)에 대한 이론들이 【여씨춘추 (呂氏春秋)】와【장자ㆍ설검 (庄子ㆍ說劍)】에 기재되어 있다.

진한(秦漢)시대에는 도무(刀舞), 월무(鉞舞), 검무(劍舞), 쌍극무(雙戟舞) 등 투로운동과 비슷한 무련(舞

練, Dancing sports)종목들이 계속적으로 생겨났다. 맨손격투, 레슬링(각저), 격검 등 격투형식의 경기활

동에 대해【한서ㆍ예문지(漢書ㆍ禮文志)】와【한서ㆍ무제본기(漢書ㆍ武帝本記)】에 기록되어 있다.

당송(唐宋)시대에는 민간 우슈조직들이 많이 생겨났는데 "상박붕(相朴棚)", "영략사(英略社:곤술관련)"

, "상박사(相朴社:현대스모와 비슷)" 등이다. 또한 거리에서 공연하는 "로기인(路岐人)"이 있어 그들은 거

리에서 "사권(使拳)", 척퇴( 腿)", "사봉(使棒)", "농봉(弄棒)", 무도,창(武刀, 창)", "무검(武劍)", "창대패

(槍對牌)", "검대패(劍對牌)", 등의 개인종목과 대련종목을 표연하였다. 맨손격투, 상박도 인기가 있었

고"연무대"에 등장하여 경기를 진행시키는 형식을 취하였는데 이를"연무대: 도전시합"이라 하였다. 당시

의 시합에도 이미 심판과 간단한 경기규정이 있었고 우승자는 푸짐한 상품을 받았다. 조로자(調露子)는

【각력기(角力記)】에서 당시의 각저와 수박(手搏)의 시합정경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명청(明淸)시대는 우슈의 집대성기로 각종 유파들이 즐비하고 권술의 종류도 왕성히 생겨났다. 명조 (명

조 )에 나타나는 권술 및 기계술에는 32식ㆍ6보권 (六步拳)ㆍ원숭이권 (拳)ㆍ파자권 (巴子拳)ㆍ와권 (拳

)ㆍ소림권 (少林拳)ㆍ장가권 (張家拳 )등의 권술과 유대 유곤 (兪大猷棍)ㆍ청전곤 (靑田棍)ㆍ소림곤 (少

林棍)ㆍ장가권 (張家拳)등의 곤술, 양가창 (楊家槍)ㆍ마가창 (馬家槍)ㆍ이가단창 (李家端槍)ㆍ사가간자

(沙家杆子)ㆍ육합창 (六合槍)ㆍ아미창 (峨嵋槍)ㆍ소림창 (少林槍)등의 창술, 단도 (短刀)ㆍ쌍도 (雙刀)ㆍ

언월도 (偃月刀)등의 도술과 24검세 (劍勢)등이다. 청대 (淸代)에는 권술과 기계술이 널리 퍼지고 발전하

여 점차 유파를 형성하였다. 태극권 (太極拳)ㆍ형의권 (形意拳)ㆍ팔괘장 (八卦掌)과 같은 주요 권술과 유

파가 이 때에 형성되었다. 중국식 씨름도 점차저으로 체계를 이르었고 수박도 진보가 있었다.


Comment '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협백과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12 기타상식 지나(중국)의 건국신화 삼황 Lv.1 휘수(輝手) 03.12.01 1,131
511 기타상식 지나(중국)의 창조신화 Lv.1 휘수(輝手) 03.12.01 1,077
510 기타상식 동이족의 기원 +2 Lv.1 휘수(輝手) 03.12.01 1,321
509 기타상식 사대주의 Lv.1 휘수(輝手) 03.12.01 901
508 기타상식 백제의 영토 +2 Lv.1 휘수(輝手) 03.12.01 1,572
507 기타상식 한사군은 없었다. Lv.1 휘수(輝手) 03.12.01 1,098
506 기타상식 규염객전(원문포함) Lv.1 桃李不言 03.11.20 2,613
505 무공일반 환웅이 천계에서 가지고 내려온 천부경(天符經) +11 Lv.1 각형 03.11.18 2,640
504 무공일반 우리나라의 검법, 본국검법(本國劍法) +8 Lv.1 각형 03.11.18 3,098
503 무공일반 천단기공 이래요... ^^ +5 Lv.11 진마초 03.11.13 2,665
» 무공일반 유수(중국무술)에 관하여 Lv.23 바둑 03.11.09 1,930
501 병기기타 추(錘) 柳韓 03.10.26 1,667
500 병기기타 저(杵) 柳韓 03.10.26 1,553
499 중국지리 무협용 중국지도 ver 2.1 +193 낙방수재 03.10.20 28,235
498 무공일반 중국무술(유수)의 정의&명칭&종류 Lv.23 바둑 03.10.19 2,962
497 중국문화 백거이의 비파행(琵琶行) Lv.74 소닉 03.10.17 1,764
496 중국문화 백거이(白居易) 의 장한가(長恨歌) Lv.74 소닉 03.10.17 3,605
495 중국지리 수나라의 운하 개요도 Lv.74 소닉 03.10.17 1,665
494 중국지리 한무제가 설치한 13자사부의 명칭과 그 강역 Lv.74 소닉 03.10.17 1,520
493 중국지리 구주(九州) +3 Lv.74 소닉 03.10.17 2,818
492 중국역사 원의 멸망과 백련교(1) +1 Lv.74 소닉 03.10.13 1,594
491 중국지리 무협용 중국지도 이차수정본. +69 낙방수재 03.10.12 7,506
490 중국역사 중국의 역사 요약-고대부터 근대까지- +7 Lv.74 소닉 03.10.10 3,797
489 무공일반 [무공] 양가창법 +3 Lv.1 소녀로리 03.10.01 3,349
488 기타상식 상세 무협 용어 +4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5,395
487 중국지리 중국지명의 유래 +4 柳韓 03.09.30 3,343
486 기타상식 변검 +1 柳韓 03.09.30 1,708
485 병기기타 창(槍)에 대해서 +9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2,880
484 기타상식 용(龍)에 대해서 +2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1,945
483 중국지리 팔황 구주 및 중국 역대수도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3,216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