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무협백과

무협에 관련된 지식백과



작성자
Lv.1 각형
작성
03.11.18 20:58
조회
3,097

본국검법

조선 정조(正祖) 때 편찬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 이십사반무예(二十四般武藝)의 한 종목으로 수록된 본국검의 검법(劍法)은,

1) 지검대적세(持劍對賊勢),

2) 진전격적세(進前擊賊勢),

3) 금계독립세(金몬獨立勢),

4) 후일격세(後一擊勢),

5) 맹호은림세(猛虎隱林勢),

6) 안자세(雁字勢),

7) 직부송서세(直符送書勢),

8) 발초심사세(撥艸尋蛇勢),

9) 표두압정세(豹頭壓頂勢),

10) 조천세(朝天勢),

11) 좌협수두세(左挾獸頭勢),

12) 향우방적세(向右防賊勢),

13) 전기세(展旗勢),

14) 좌요격세(左腰擊勢),

15) 우요격세(右腰擊勢),

16) 후일척세(後一刺勢),

17) 장교분수세(長蛟噴水勢),

18) 백원출동세(白猿出洞勢),

19) 우찬격세(右鑽擊勢),

20) 용약일척세(勇躍一刺勢),

21) 향전살적세(向前殺賊勢),

22) 시우상전세(串牛相戰勢) 등의 22법(法)이다.

위에꺼 설명?

본국검보[本國劍譜]

1. 지검대적세(持劍對賊勢)

글자 그대로 검을 들고 상대와 마주한 자세다. 일본의 북진일도류(北辰一刀流)라는 대표적 유파가 있는데 그 유파의 좌음세가 이와 똑같다. 현대 검도에서는 이 자세를 별로 취하지 않는다.

2. 내략(內掠)

이것은 정해진 자세가 아니라 대적세에서 상대의 공격을 방어하며 다음의 동작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방어법으로는 매우 특이하다. 칼날을 밑으로 하여 안으로 스쳐 몸을 돌리며 그 힘의 반작용을 이용하여 곧 공격에 들어가는 자세이다.

3. 진전격적세(進前擊賊勢)

앞으로 나아가며 상대의 상체를 위에서 아래로 치는 자세이니 현대 검도의 정면치기가 바로 이것이다. 그림은 중단에서 멈춰 있는데, 위에서 내려 오는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중간 동작이라고 보면 된다. 이 자세야말로 검으로 상대를 치는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그림에서는 정면을 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4. 금계독립세(金鷄獨立勢)

금계(날짐승)가 한 발로 섰다가 곧 날아가려는 듯한 자세이다. 상대를 공격할 때 중단에서 하는 것 보다는 더욱 위력적이다. 일본에서는 북진일도류의 음도세가 왼발로 들지 않고 가볍게 땅에 대고 이런 자세를 취하는데 후일 발전하여 팔상세(八相勢)가 되었다. 옛날의 왜검보(倭劍譜)를 보면 <본국검법>에 있는 자세가 단순화된 듯한 느낌을 받아 '신라와 왜국은 가까이 있으므로 무기(칼)와 검술이 반드시 서로 전했을 것이다' 라는 글이 실감난다. 이 자세는 실전에서 가장 많이 쓰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5. 후일격세(後一擊勢)

진전격적세(進前擊賊勢)와 같이 상대의 머리를 정면으로 치는 자세이다. 뒤쪽의 적을 친다는 뜻으로 후일격세라 했을 뿐이다. 오른발을 앞으로 내며 왼발로 몸을 밀면서 오른발이 땅을 구르는 순간 치는 것이다.

6. 맹호은림세(猛虎隱林勢)

맹호가 숲에 숨어 있다가 뛰어 나오는 듯한 자세를 말한다. 이 자세는 자칫하면 칼을 든 손이 시야를 가릴 수도 있게 되어 약간의 문제가 있다. 또 왼손을 펴면 다음의 공격에 지장이 있으므로 수정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여기서 취할 것은 그 기세이다.

7. 안자세(雁字勢)

기러기 안자(雁字)의 변인 엄 자와 같이 몸을 기울이며 직선으로 찌르는 자세이다. '엄자세'라 하지 않고 '안자세'라 한 이유는 확실하지 않으나 기러기의 질서나 절도 그리고 겨울 철새의 꿋꿋한 기상들을 보아 그렇게 일컫는 것 같다.

8. 직부송서세(直符送書勢)

역시 찌르는 자세이다. 대부분의 자세가 동물의 움직임과 관계가 있는 것인데 이 자세는 특이하다. '符'란 병부(兵符)를 말하는데 군대를 동원할 때 표로 썼던 것이니, 화급을 다투는 것이기 때문에 지체없이 신속하게 찌르라는 뜻인 것 같다.

9. 발초심사세(撥艸尋蛇勢)

풀을 헤쳐 뱀을 찾는다는 뜻인데 언뜻 보면 정면을 치는 형태인 것 같으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옆을 치는 자세이다. 즉 조심스럽게 풀을 헤쳐 뱀을 찾는 즉시 옆에서 후려치는 것이다. 그런데 그림에 도신이 잘못 그려져 있다. 틀어잡은 양손의 모양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10. 표두압정세(豹頭壓頂勢)

표범의 정수리를 칼끗으로 겨누는 듯한 자세이다. 깊이 찌르는 것과 달리 뛰어 오르는 표범의 정수리를 눌러 이를 제압하는 형태이다. 발을 구르지 않고 힘있게 눌러 뛰어드는 상대의 힘을 역이용하는 듯한 자세를 말하는 것이다.

11. 조천세(朝天勢)

아침 하늘에 해가 떠오는 듯, 검을 높이 쳐든 자세이다. 오른발을 들어 올려 칠 듯한 기세를 보인다. 요즘의 상단세와 같다. 단, 이 그림에서는 양손이 내려와 있는데 본래는 양손이 이마 위에 올려져 있어야 한다. 본국검총도(本國劍總圖)의 그림이나 다른 검법에는 그렇게 되어 있다.

12. 좌협수두세(左挾獸頭勢)

짐승의 머리를 왼쪽 겨드랑이에 낀 듯한 자세란 뜻인 것 같다. 오른발을 들었을 뿐 지검대적세와 유사한 조천세에서 검을 끌어 당기듯 힘있게 왼쪽 어깨에 둘러맨다는 뜻에서 그 순간 동작을 강조하기 위해 좌협수두라 한 것으로 보인다.

13. 향우방적세(向右防賊勢)

내략(內掠)과 대조적으로 외략(外掠)이라고도 한다. 밖으로 스쳐 막되 칼끝을 밑으로 하여 막는 것이 아니고 칼끝이 어깨에서부터 거의 수평이 되게 하여 돌아서며 옆을 후려치듯 하면서 왼발을 들고 다음 동작으로 들어간다.

14. 전기세(展旗勢)

기(旗)를 펴 앞으로 벌리는 듯한 자세이다. 내략(內掠)과 같은 방적세(防賊勢)의 일종으로 보면 된다.오른발을 들고 안으로 스쳐 취한 자세이다.

15. 좌요격세(左右腰擊勢)

왼쪽 허리를 치는 자세이다. 그러나 <본국검법>에서는 세법(洗法)으로 목을 베라 하였으니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목덜미를 옆으로 후려치듯 베라는 뜻인 것 같다.

16 우요격세(左右腰擊勢)

좌요격(左右腰)한 후 반대로 왼쪽에서 오른쪽 목을 씻어 베는 자세이다. 이때는 왼발을 구르며 오른발을 들어친다. 그림에 칼을 등에 멘 듯한 것은 친 후 칼끝이 돌아간 모양이다.

17. 후일자세(後一刺勢)

뒤로 돌아 상대의 목부분을 찌르는 자세이다. <본국검법>의 격법은 대개 오른발을 구르며 치게 되어 있고 자법은 오른발과 왼발을 고루 사용하여 찌르는데 총검술에서 길게 찔러의 자세가 이와 비슷하다고 본다. 칼날이 위로 향한 것은 틀어 찌르는 것을 나타낸다.

18. 장교분수세(長蛟噴水勢)

외형적인 모습은 진전격적세나 후일격세, 향전살적세와 같다. 그리고 실제 상대의 머리를 위에서 아래로 내려치는 자세이다. 여기서 교(蛟)란 교룡(蛟龍)을 말하며 전설상의 용으로 때를 얻지 못하고 물속에서만 지낸다는 것이다. 교룔은 가끔 물을 입으로 품어 내는데 자연 포물선을 그리게 되니 칼끝을 그와 같이 큰 원을 그리며 오른발을 내어 치라는 뜻이다.

19. 백원출동세(白猿出洞勢)

흰 원숭이가 동굴을 뛰어 나오려는 준비 자세라 할 수 있겠다. 백원은 희고 큰 원숭이로 성성이(猩猩), 고릴라 같은 지능이 매우 높은 유인원으로 중국의 서만지방에 많이 살고 있으며 성이 나면 표범도 찢어 죽일 만큼 힘이 세다고 한다. 이런 짐승이 동굴을 뛰어 나오려는 찰라를 모방해서 이자세를 취하라는 뜻이다.

20. 우찬격세(右鑽擊勢)

글에서 격세라 하였으나 실제는 찬자(鑽刺)이니 오른발을 향하여 송곳으로 찌르듯 비비어 찔러가는 자세이다. 본국검법 중에서 가장 형태와 실제가 모호한 자세이다. 그림을 보면 오른발로 앞을 구르며 오른쪽을 찌르게 되어 있는데, 이는 劍理에 어긋나서 무리가 생긴다. 더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나 다른 검법에서도 확인할 만한 자료가 없다.

21. 용약일자세(勇躍一刺勢)

표두압정세(豹頭壓頂勢)와 비슷하다. 용감하게 뛰어 즉시 상대의 가슴을 찌르는 자세이다. 이때는 왼발을 굴러 몸을 안정시키며 칼끝이 멈추도록 한다.

22. 시우상전세(串牛相戰勢)

외뿔소가 서로 머리를 숙이고 받는 듯한 자세이다. 이에앞서 향전살적세를 두 번 하여 상대의 정면을 진전격적세와 같이 두 번 치는데 그후 이 시우상전세를 취하고 끝을 맺는다. 이 법은 존심의 뜻을 가지고 있으니 두 번 연속 공격한 후 넘어진 상대를 꼭 다시 찌른다기 보다는 만약의 경우에 대비하여 스스로 마음의 준비를 하는 것이니 이는 현대 검도에서는 매우 중요시 하는 검도정신의 백미이다. 이런 마음가짐은 왜검에는 물론 기타 <무예도보통지>에 실려 있는 아홉 가지 도검보에도 없는 유일한 것이다. 예도의 것이 수두로 끝나나 이 시우상전세와는 큰 차이가 있다. 방심하지 않는 심신의 자세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본국검법>이 이미 한 경지에 이르렀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세법(稅法)

 

①안법(眼法-눈싸움하는 법)

②격법(擊法-치는 법)의 다섯 가지

표두격(豹頭擊) : 정면치기

과좌격(跨左擊) : 왼쪽으로 걸어치기

과우격(跨右擊) : 오른쪽으로 걸어치기

익좌격(翼左擊) : 왼쪽으로 올려치기

익우격(翼右擊) : 오른쪽으로 올려치기

③세법(洗法-베는 법)의 세가지

봉두세(鳳頭洗) : 정면베기

호혈세(虎穴洗) : 훑어베기(확실치 않음)

등교세(騰蛟洗) : 올려베기

④자법(刺法-찌르는 법)의 다섯 가지

역린자(逆鱗刺) : 목 찌름(내려찌름)

탄복자(坦腹刺) : 배 찌름

쌍명자(雙明刺) : 명치 찌름(확실치 않음)

좌협자(左夾刺) : 왼편을 끼고 찌름(오른쪽으로)

우협자(右夾刺) : 오른편을 끼고 찌름(왼쪽으로)

⑤격법(格法-대적하는 법)의 세가지

거정격(擧鼎格) : 위의칼

선풍격(旋風格) : 어깨칼

어거격(御車格) : 가운데칼

세법설명?

1. 거정세

거정세는 즉 솥을 드는 격이다. 법이 능히 솥을 드는 격으로 위로 들어 살하고 왼발 오른손으로 평대세로 앞을 향하여 당겨쳐서 가운데를 살하고 퇴보군란세를 한다.

2. 점검세

점검세는 즉 칼을 점하여 찌르는 것이다. 법이 능히 한편으로 번득이고 빠르게(달려) 나아가 훑어올려 살하고 오른발 오른손으로 발초심사세를 하고 앞을 향하여 당겨걸어 어거격을 한다.

3. 좌익세

좌익세는 즉 왼쪽날개로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위로 돋우고 아래로 눌러 곧바로 손아귀를 살하고 오른발 오른손으로 직부송서세를 하되 앞을 향하여 당겨 걸어 역린자를 한다.

4. 표두세

표두세는 즉 표범의 머리를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벽력같이 위로 들어 살하고 왼발 왼손으로 태산압정세를 하되 앞을 향하여 당겨 걸어 돋우어 찌른다.

5. 탄복세

탄복세는 즉 배를 평평하게(크게) 찌르는 것이다. 법이 능히 다질러 찔러 가운데를 살하고 나아가기를 산이 무너지듯하여 오른발 오른손으로 창룡출수세를 하되 앞을 향하여 나아가 허리를 친다.

6. 과우세

과우세는 즉 오른쪽을 걸쳐 넘어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돋우어(삐쳐) 갈겨 아래로 살하고 왼발 오른손으로 작의세를 하되 앞으로 향하여 나아가 가로친다.

7. 요락세

요락세는 즉 돋우어 훑어베는(스쳐베는) 격이다. 법이 능히 막고 받아 아래로 살하되 왼쪽을 가리며 오른쪽을 호위하고 왼발 왼손으로 장교분수세를 하되 앞을 향하여 당겨 걸어 비벼친다.

8.. 어거세

어거세는 즉 수레를 어거하는 격이다. 법이 능히 메워 어거하여 가운데를 살하고 두 손을 깎아살하고 왼발 오른손으로 충봉세를 하되 앞을 향하여 물러 걸어 봉두세를 한다.

9. 전기세

전기세는 즉 기를 펴듯하여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갈겨 마하여(문질러) 위로 살하고 왼발 왼손으로 탁탑세를 하되 앞을 향하여 당겨 걸어 점검 한다.

10. 간수세

간수세는 즉 보고 지켜지는 것이다. 법이 능히 보며 지켜 모든 병기가 치고 찌르면 지켜 정하고 모든 병기가 나아가기 어려우면 기회를 보고 형세를 따라 굴러(솟아) 살하고 왼발 오른손으로 호준세를 하되 앞을 향하여 나아가 허리를 친다.

11. 은망세

은망세는 즉 은구렁이 격이다. 능히 네 녘으로 돌아보아 몸을 두르고 또 능히 사면으로 훑어베어 살하니 앞을 향하여는 왼손 왼발로 뒤를 향하여 오른손 오른발로 치고 움직인즉(돌면서)좌우로 선풍하여 번개치듯 살한다.

12. 찬격세

찬격세는 즉 비비어 끊어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비비는 격으로 훑어 살하고 거위 형용과 오리 걸음으로 달려(빨리)찌르고 왼발 왼손으로 백원출동세를 하고 앞을 향하여 당겨 걸어 허리를 친다.

13. 요격세

요격세는 즉 허리를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비껴(옆으로) 쳐(충돌하듯) 가운데를 살하되 몸과 걸음과 손과 칼이 빠르기가 급한 우레와 같으니 이 일격은 칼쓰는 것 가운데 으뜸으로 치는 것이다. 오른발 오른손으로 참사세를 하고 앞을 햐하여 나아가 역린한다.

14. 전시세

전시세는 즉 날개를 펴서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꼬는 격으로 위로 살하고 돋우어 훑어베어 아래로 살하고 오른발 오른손으로 편섬세를 하되 앞을 당겨 걸어 거정격을 한다.

15. 우익세

우익세는 즉 오른쪽 날개로 치는 것이다. 손으로 안자세를 하되 앞을 향하여 당겨걸어 허리를 친다.

16. 게격세

게격세는 즉 들어치는 것이다. 능히 갈기는 격으로 위로 살하고 걸음 걷는 투로 나아가 왼발 왼손으로 호좌세를 하고 앞을 향하여 물러걸어 찔러 씻는다. (문질러 벤다)

17. 좌협세

좌협세는 즉 왼편으로 껴서 찌르는 것이다. 법히 능히 다질러(문질러 비벼)찔러 가운데를 살하고 오른발 오른손으로 수두세를 하고 앞으로 향하여 나아가 허리를 친다.

18. 과좌세

과좌세는 즉 왼편으로 걸쳐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쓸어 아래로 살하고 오른발 오른손으로 제수세를 하고 앞을 향하여 걸음을 나아가 쌍으로 갈긴다.

19. 흔격세

흔격세는 즉 치켜 흔들어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치켜들고 돋우어 위로 살하고 훑어 걸어 비비어 살하고 왼발 오른손으로 조천세를 하고 앞을 향하여 걸음을 물러 탄복자를 한다.

20. 역린자

역린자는 즉 비닐을 거슬어 찌르는 것이다. 법이 능히 곧바로 목구멍 목을 찌르고 오른발 오른손으로 탐해세를 하고 앞을 향하여 당겨 걸어 좌익세를 한다.

21. 염시세

염시세는 즉 날개를 거두고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거짓으로 쫓기고 꾀어 속여 좌우손발로 발사세로 거꾸로(뒤집어) 물러나고 걸음을 나아가 허리를 친다.

22. 우협세

우협세는 즉 오른편을 껴 찌르는 것이다. 법이 능히 다질러(비벼꼬아) 찔러 가운데를 살하고 왼발 오른손으로 분층세를 하고 앞을 향하여 걸음을 들어 거정격을 한다.

23. 봉두세

봉두세는 즉 봉의 머리로 씻어 베는 것이다. 법이 능히 씻어 찔러 갈겨 살하고 오른발 오른손으로 백사농풍세를 하고 앞을 향하여 당겨걸어 들어친다.

24. 횡충세

횡충세는 즉 가로질러 치는 것이다. 법이 능히 빨리 달려 숨어 번득이고 굴러(끊어) 살하고 진퇴하여 양손 양발로 형세를 따라 찔러 나아가 당겨걸어 요략한다.

심법?

1.검도의 마음가짐

상대와 마주했을 때 표출되는 마음, 그 미묘한 상태를 필설로 다할 수는 없다. 다만 경기에 임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먼저 스스로를 믿어야 한다. 경기는 남이 대신하는 것이 아니며 어찌 보면 상대보다도 먼저 자신과의 싸움이 더 어렵기 때문인데, 이 자신과의 싸움이 바로 마음가짐이다. 자신을 가지고 떳떳하게 맞서야 하는데, 쉽고도 어려운 다음 몇 가지를 유의해야 한다. 이는 물론 오랜 경험이 쌓여야 되는 것이다.

① 속이지 말 것

② 서두르지 말 것

③ 망설이지 말 것(지나치게 재지 말 것)

④ 두려워하지 말 것

⑤ 놀라지 말 것

⑥ 끌려들지 말 것

⑦ 얕보지 말 것

다시 말하지만 자신도 어쩔 수 없는 불안감.초조, 어떤 때는 잘 나가고 어떤 때는 전혀 몸이 움직여주지 않는 그럴 때를 위해 무엇보다 먼저 자신감을 키워야 한다.

2.공부와 계고

우리가 흔히 쓰는 말에 '공부'란 단어가 있다. 이는 글을 배우고 익힌다는 뜻으로 쓰이는 것이다. 그러나 '공부'의 원뜻은 마음공부, 몸공부 즉 심신의 단련을 위하여 힘쓰는 일이다. 의지를 바르게 하는 모든 행위가 공부의 근본인 것이다. '계고'란 《서경(書經)》의 첫 구절에 나오는 글로 원뜻은 옛 도(道)를 상고하고 이를 좆아 학습한다는 의미이다. 옛 것은 낡은 것이 아니며 바른 것을 뜻한다. 바른 것은 변하는 것이 아니며 지켜서 전해야 하는 보편타당의 근본이다. 우리 나라, 중국, 일본에서는 같은 뜻으로 이 계고란 용어를 사용하여 왔으나 지금은 거의 쓰지 않고 있다. 다만 일본에서는 무도나 기예의 수련을 계고라 하며 현재에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공부나 계고는 모두 옛부터 내려오는 바른 기본을 옳게 배우는 방폭(方幅)이니 검도인은 그 뜻을 새겨 부지런히 익혀야 한다.

3.담력정쾌

첫째가 담(膽)이니 이는 곧 바르고 씩씩한 마음이라고 할 것이다. 두려움이 없는 곧은 마음(옛사람들은 이런 마음이 담에서 생긴다고 했다.)을 일컫는다.

둘째가 역(力)이니 힘을 말한다. 신체적인 힘만이 아니고 수련을 통해 얻은 칼을 쓰는 힘이다.

셋째가 정(精)이니 정수(精髓), 정밀(精密)을 뜻한다. 빈틈 없이 제자리를 찾아 들어가는 기술이다.

넷째가 쾌(快)이니 빠름이다.

우리가 기(氣)․검(劍)․체(體) 일치라고 하는데 담(膽)은 바로 기(氣), 력(力)은 체(體), 정(精)은 검(劍)을 뜻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보면 기(氣)․검(劍)․체(體)가 아니라 기(氣)․체(體)․검(劍)이라는 표현이 옳은 것이 된다. 기(氣)와 체(體)가 본(本)이고 검(劍)은 따라가는 것이 된다. 검(劍)은 도구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이다. 요즘 수련을 할 때 경기에서 이기는 것을 첫째로 생각하고 쓸데없이 상대를 힘으로 밀어붙이거나 빈틈도 없는데 무턱대고 헛칼질만 가르치는 것은 크게 잘못된 것이다. 먼저 바르고 씩씩한 마음을 가지고 수련을 통해 힘을 얻어 정밀한 기술로 빠르게 공격하는 것, 그것만이 올바른 무예의 길이다.

4.동선시

움직임에는 '때'가 있다는 뜻이다. 움직임의 때를 잘 알아야 한다 함은 본래는 처신의 의미로 쓰여진 것이다. 그러나 먹을 때는 나아가고 일할 때는 물러선다는 얄팍한 이기심과는 거리가 멀다. 검도에서 본다면 치고 들어가야 할 때 물러서고, 물러서야 할 때 앞으로 나아간다면 이는 때를 모르는 것이다. 검도는 한순간에 승패가 결정나는 생사의 갈림길에서 찰나에 공격의 때를 포착해야 하는 무술로 시작된 경기로서 한 호흡, 한 칼에 생명을 걸었던 절박함이 그대로 이어져 내려오는 스포츠이다. 함부로 덤벼들어도 안 되고 겁을 내고 물러서면 더욱 위험한 지경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대를 속이려는 등의 경망스러운 몸짓은 손이 될지언정 득이 되지 못한다. 나아갈 때 나아가고 물러설 때 물러설 줄 알며 과감하게 공격하되 함부로 날뛰지 않는 절제된 격자(擊刺)를 할 수 있다면 이는 때를 알고 검도를 아는 것이다.

5.유정유일

오직 한 가지 일에 마음을 쏟아 최선을 다하는 것을 유정유일이라 한다. 바른 길을 전일(專一)하게 지킨다는 뜻으로 줄여서 정일(精一)이라고도 한다. 검도는 특히 정신집중을 요하는 까닭에 정일의 마음새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낙수가 돌에 구멍을 내는 것은 한결같음을 이르는 것으로 떨어지는 물방울도 중요하지만 돌 역시 한 곳에 있어야 구멍이 생기는 것이다. 마음이 물이면 몸이 돌이 되어야 하고 몸이 물이면 마음이 돌이 되어야 하는 묘한 이치가 함께 어울려야 성취가 있는 것이니 일이관지(一以貫之)도 같은 맥락의 뜻이 된다.

6.존심

치고 난 후 마음을 남기는 것으로 치고 난 후에도 방심하지 않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상대를 쳤을 때는 유감없이 치고 공격이 무효가 되면 연속하여 칠 수 있도록 조금의 방심도 없는 대비를하여 언제나 상대의 공격에 대응 할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7.효학반

학업의 반은 남을 가르치면서 얻는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가르치는 일이 바로 배우는 일이 된다는 뜻이다. 이 글은 《서경》에 나오는 것으로 효학상장(斅學相長)도 비슷한 뜻이라 할 것이다. 검도와 같이 체육적 운동과 정신수양이 병진되는 무도에서는 특히 지도자가 이 점을 명심해야 한다. 나는 사범이고 지도자이니 나에게 배우는 사람에게는 배울 것도 없고 오직 일방적으로 전수만 시키면 된다는 생각은 매우 위험한 것이다. 가르치는 것이 곧 배우는 것이며 어린 사람에게도 나에게 없는 좋은 자세나 기술이 나오면 주저없이 배워야 한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좋은 지도자가 되며 또 스스로 얻는 것이 생기게 마련이다. 배울 것은 윗사람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아랫사람에게도 있는 것이다. 이것은 겸손해야 한다는 뜻과는 다른 의미이며 공부하는 사람의 기본인 것이다.

8.후발선지

《장자》의 〈설검편〉에 '夫孝劍者示之以虛開之以利 後之以發 先之以至ꡑ란 내용이 있다. 후발선지는 여기서 따온 글이다. 《기효신서(紀效新書》에도 후발선지야말로 무예의 극치를 설명한 요체라 했다. 나중에 떠나서도 먼저 이르는 것, 즉 나중에 빼어 먼저 치는 것이야말로 검술의 백미인 셈이다. 그러나 나중에 뺀다는(동작을 일으킨다는 뜻) 것은 외형적인 움직임일 뿐 실은 상대로 하여금 심리적인 압박을 받아 어쩔 수 없이 먼저 덤비게 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렇게 되어야 여유를 갖고 나중에 움직이고도 먼저 이르게 되는 것이다. 이는 오랜 수련을 쌓아 몸이 마음을 따를 수 있는 경지에 이르러야 가능한 것으로 기의 싸움에서 상대에게 눌리면 오히려 선발후지(先發後至)가 될 수도 있으니 특히 유의해야 할 것이다.

----------------------------------------------------------------------

검법[柳彼流]

유피류보

1. 수검정립 - 우협장검에서 좌협장검으로 바꾼 뒤, 중단 정립을 취한다.

2. 우수우각 우협 전일자 - 오른발 나가며 오른편에 끼었다가 찌른다.

3. 진좌족 좌수검 - 왼발 나가며 수검으로 내려친다.

4. 퇴좌족 우수검 - 오른발이 뒤로 물러나며 수검으로 내려친다.

5. 퇴우족 좌수검

6. 우하장 - 발은 움직이지 않고, 칼을 오른편 아래로 늘어뜨린다.

7. 우수우각 대검 / 우수좌각 전일타

8. 우수우각 우장 - 오른발 나가 정립하며, 장검우협.

9. 우수우각 우협 전일자

10. 진좌족 우장 - 왼발을 앞으로 당겨 정립하며, 우협장검

11. 우수우각 우협 전일자

12. 진좌족 역 좌수검 - 왼발 나가며 칼등으로 내려친다.

13. 퇴좌족 우수검

14. 퇴우족 역 좌수검

15. 우하장

16. 우수우각 대검 / 우수좌각 전일타

17. 장검우협정립

18. 착검

---------------------------------------------------------------------

천유류[千柳流]

천유류보

장검우협정립

초도수세 우각우수 좌일타

우수우각 우일추

우수좌각 전일타

우수우각 대검 일도 - 오른발 나가며 대검

재롱 우수우각 도보 쌍전일타 - 오른발 뛰어나가며 들어친 후 오른발 끌고 나가며 들어친다.

좌수좌각 집인 - 왼발을 뒤로 한 걸음 끌어당며 물러나 왼손으로 칼날을 받쳐든다.

좌수좌각 좌외략 - 왼발 나가며 왼손으로 칼등을 받쳐들고 스쳐올린다.

좌수좌각 압검 일자 - 왼손으로 칼등을 누르며 나아가 배를 찌른다.

우수우각 대검 - 오른발 나가며 칼을 이마 위로 올려 받아낸다.

우수좌각 전일타

우수우각 대검 / 우수좌각 전일타

.우수우각 우장 - 오른발 나가며 우협정립을 취한다.

좌수좌각 대검진좌 후고 - 왼발 나가고, 뒤를 돌아보며 대검을 취하며 견적한다.

우수우각 전일타

좌수좌각 대검진좌 후고 / 우수우각 전일타

우하장 - 왼발 나가며 칼을 오른쪽 뒤로 늘어뜨린다.

우수우각 대검 / 우수좌각 전일타

우수우각 대검 좌우악재우수완 - 오른발 나가며 대검을 취하되,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잡는다.

우수좌각 전일타

우수우각 우장 - 오른발을 나가 정립하며 우협장검.

우수조각 전일타 좌수향후 - 왼발 나가며 왼손은 뒤로 펴고, 오른손으로 앞을 향해 내려친다.

우수우각 재고 - 오른발 나가며 전일타, 다시 오른발 끌고 나가며 전일타

우하장

우수우각 대검 / 우수좌각 전일타

장검정립 - 오른발 나가며 정립하며 우협장검.

우수우각 좌출 도보 좌타 - 왼 앞으로 뛰며 전일타.

우수우각 대검 / 우수좌각 전일타

우수우각 우장 - 우협정립

우수우각 유성출 좌일타 - 빠르게 오른발 나가며 좌일타.

우수좌각 전일타

착검

----------------------------------------------------------------------

운광류[運光流]

운광류보[運光流譜]

천리 장검정립 - 우협장검(=장검정립)

과호 우수우각 양수 전일타

- 오른발을 앞으로 내딛어 두 무릎을 구부려 앉으며 땅과 아주 가깝게 내려벤다

우수좌각 전일타 - 왼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타 - 오른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도 전일타 - 오른발 도보(발은 그대로 하여 앞으로 뛴다) 전일타

속행 양수 횡검 - 칼끝은 적을 향하고 칼날은 위를 향하게 하여, 검을 자신의 눈높이로 땅과

수평하게 든다

과호 양수 전일타 - 오른발을 앞으로 내딛어 두 무릎을 구부려 앉으며 땅과 아주 가깝게

내려벤다

우수좌각 전일타 - 왼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타 - 오른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도 전일타 - 오른발 도보(발은 그대로 하여 앞으로 뛴다) 전일타

산시우 우수우각 - 칼끝은 적을 향하고 칼날은 위를 향하게 하여, 검을 자신의 눈높이로 땅과

수평하게 든다('속행'과 동일)

과호 양수 전일타 - 오른발을 앞으로 내딛어 두 무릎을 구부려 앉으며 땅과 아주 가깝게

내려벤다

우수좌각 전일타 - 왼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타 - 오른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도 전일타 - 오른발 도보(발은 그대로 하여 앞으로 뛴다) 전일타

수구심 우장 - 오른어깨에 검을 기댄다

과호 양수 전일타 - 오른발을 앞으로 내딛어 두 무릎을 구부려 앉으며 땅과 아주 가깝게

내려벤다

우수좌각 전일타 - 왼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타 - 오른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도 전일타 - 오른발 도보(발은 그대로 하여 앞으로 뛴다) 전일타

류사 의검우견 - 오른손으로 손잡이를 꼭잡고, 검날이 위로 오도록 손목을 틀고 왼손으

로 손잡이를 받쳐 잡는다

과호 양수 전일타 - 오른발을 앞으로 내딛어 두 무릎을 구부려 앉으며 땅과 아주 가깝게

내려벤다

우수좌각 전일타 - 왼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타 - 오른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전일도 전일타 - 오른발 도보(발은 그대로 하여 앞으로 뛴다) 전일타

----------------------------------------------------------------------

토유류[土由流]

토유류보 [土由流譜]

(초진)장검 우협정립 - 우협장검

우수우각 좌일타 - 오른발 진보 좌일타

거좌족 우장 - 왼무릎을 들며 칼날로 오른쪽 아래를 막고, 왼발을 내리며 우협장검

우수좌각 좌일타 - 왼발 진보 좌일타

진좌 장검우각 - 적을 겨누며 오른발 진보로 나아가 진좌(두발을 구부려 자세 낮춤)

우수우각대검 전일타 - 자세를 높여 대검을 하고 오른발 앞으로 전일타

거우각 좌장 - 오른발을 들며 날이 몸쪽으로 오게 왼어깨에 검을 둔다(=좌협장검?)

우수우각 추우 - 오른발로 전진하며 적의 검을 자신의 오른쪽으로 밀쳐낸다

우수좌각 전일타 - 왼발 진보 전일타

(재진)장검정립 - 오른발을 당겨 왼발과 나란히 놓으며 우협장검

우수우각 좌일타 - 오른발 진보 좌일타

진좌 장검우각 - 적을 겨누며 오른발 진보로 나아가 진좌(두발을 구부려 자세 낮춤)

우수우각 우일추 - 오른발로 전진하며 적의 검을 자신의 오른쪽으로 밀쳐낸다

우수좌각 좌장 - 왼발을 오른발의 약간 앞에 두고 좌협장검(칼날은 몸 바깥쪽)

우수우각 우일추 - 오른발로 전진하며 적의 검을 자신의 오른쪽으로 밀쳐낸다

우수좌각 우장 - 왼발을 오른발의 약간 앞에 두고 우협장검

우수우각 좌일타 - 오른발 진보 좌일타

우수좌각 전일타 - 왼발 진보 전일타

(삼진)장검정립 - 오른발을 당겨 왼발과 나란히 놓으며 우협장검

우수우각 신도일타 축도일타 신도일타 - 도보 전일타 3회

(오른 앞굽이로 착지, 나란히 서서 착지, 오른 앞굽이로 착지)

우수우각 대검 - 대검

우수좌각 전일타 - 왼발 진보 전일타

우수우각 재고(구) - 오른발 진보 전일타, 오른발 체보 전일타)

우수우각 대검 - 대검

우수좌각 전일타 - 왼발 진보 전일타

----------------------------------------------------------------------

예도검법[銳刀劍法]

예도겁법 1번

1준비

2오른발 나가면서 발도와 동시에 소도세 우수 좌올려베고(거정세) [기 합]

3왼발 빠지면서 범세 검감아 우비켜내려베고

4오른발 전진 소도세로 정면찌르고(탄복세)

5왼발 전진 좌내려베고, 오른발 전진 우내려베고

6우상단 방어 왼발, 오른발 전진 소도세로 좌내려베고

7왼발 축으로 좌로 180° 뒤돌아 오른발 소도세로 우내려베고

8감아 좌로 180°뒤돌아 왼발 역소도세로 우내려베고

9우방 45° 우상단 막고 오른발 전진 소도세 좌내려베고

10좌방 45° 좌상단 막고 왼발 전진 소도세 우내려베고

11오른발 전진 소도세로 정면찌르고, 횡단일검 자세로 일어나

왼발 전진 우로 360° 돌아 오른발 전진 소도세 우수 횡단 좌허리베고

(오른손 한손으로)

12왼발앞으로 나가서 왼손을 정면으로 향하게 검등을 받치고

13오른손은 머리위로 올린 자세로 막고(향상방적세)

14좌방 45°왼발 전진 소도세 우내려베고

15우방 45°오른발 전진 소도세 좌내려베고

16좌방 45°왼발 전진 소도세 우내려베고

17우방 45°오른발 전진 소도세 좌내려베고

18왼발이 앞으로 나가면서 칼 치켜올려 조천세

19왼발 구르며 짧게 정면베고, 오른발 전진 소도세 정면내려베고

20좌로 180° 돌아 소도세 우내려베고

21우로 180° 돌아 오른발 소도세 크게 좌에서 우로 벤다.

22앉아서 검 감아 올리면서 착검

예도검법 2번

1준비

2오른발이 대도세로 나가면서 수평발도

3검감아 우상단 방어, 좌내려베고

4왼발이 앞으로 나가면서 조천세

5왼발 구르며 짧게 정면베고, 오른발 전진 소도세 정면내려베고

6좌로 180°뒤돌아 왼발 전진 소도세 좌비켜내려베고

7왼발이 뒤로 빠지면서 범세로 검감아 우비켜내려베고

8우검 걷어 올리면서 왼발 전진 우로 360°돌아 오른발 전진 소도세 우수 횡단 좌 허리베고 (오른손 한손으로)

9왼발 전진 검 감아 올리면서, 오른발 전진 소도세 좌내려베고

10왼발앞으로 우상단 방어 우로 180°돌아 지하세

11앞으로 빠르게 전진하면서

☞ 왼발 전진 대도세 우상단 방어, 오른발 전진 대도세 검감아 좌비켜내려베고,

☞ 왼발 전진 대도세 우상단 방어, 오른발 전진 대도세 검감아 좌비켜내려베고,

☞ 왼발 나가면서 검은 좌측 옆구리로, 오른발 전진 소도세로 좌비켜올려베고(표두압정세)

12왼발 뒤로 빠지면서, 오른발 당기면서 범세로 검감아 우비켜내려베고,

13오른발 뒤로 빠지면서, 범세로 검감아 좌비켜내려베고,

14오른발 나가면서 왼발 들어올려 금계독립팔상세로 뒤로 접고 동시에 오른손 한손으로 검감아 우목베고

15검 한 바퀴 돌려 착검.

16왼발 내려 차렷

예도검법 3번

1준비

2오른발을 뒤로 밀면서 우로 180°돌아 오른발 대도세 수평발도(오른손으로)

[기 합]

3왼발 앞으로 우상단 방어 우로 180°돌아 지하세

4좌로 검 걷어 올리면서 오른발 전진 소도세 우비켜내려 베고

5왼발 전진 소도세 좌비켜내려 베고

6왼발을 뒤로 천천히 빼면서 오른발 좌반세로 하단방어

7왼발이 앞로 나가면서 좌상단 걷어올려 우로 180°뒤돌아 범세로 우비켜내려베고

8상대검 걷어내면서 왼발전진 우로 360°돌아 오른발 대도세 횡단일검

9우상단 방어 왼발 전진 소도세 좌비켜내려베고

10칼 날을 밑으로 손잡이 바꿔잡고 왼발 욱으로 우로 180°돌아 오른발 들어 금계독립세로 역검 후방 찌르고

11오른발 앞으로 내딛으면서 검자루로 상대의 명치를 치고

12역검 잡아 오른발 전진 소도세 낭심 크게 올려베고(오른손 한손으로)

13왼발 좌반세 앞으로 역검 우비켜내려 베고

14오른발 전진 소도세로 역검 좌비켜올려베고

15좌로 180°돌아 향상방적세

(왼손은 정면으로 검등을 받치고 오른손은 머리위로 올린 자세로 막고)

16왼발, 오른발 빠지면서 오른발 소도세로 역검 좌비켜올려베고

17좌로 오른발, 왼발 360°돌아 역검 횡단일검

18착검

예도검법 4번

1준비

2오른발이 대도세로 나가면서 수평발도 [기 합]

3다리 꼬아서기로 소도우팔상세

4왼발 나가며 범세 우팔상세 견적, 오른발 나가면서 다리 꼬아 소도우팔상세

5오른발 빠지면서 범세로 소도우팔상세

6좌검 걷어올리면서 좌로 45°돌아 오른발 전진 대도세 검감아 낭심 올려베고

7좌검 걷어올리면서 좌로 90°돌아 오른발 전진 대도세 검감아 낭심 올려베고

8좌검 걷어올리면서 좌로 90°돌아 오른발 전진 대도세 검감아 낭심 올려베고

9좌로 180°돌아 오른발 전진 대도세 낭심 올려베고

10오른발이 뒤로 빠지면서 우로 180°돌아 오른발 소도세 좌비껴내려베고

11왼발 나가면서 좌검 걷어올려 오른발 나가면서 소도세 우비껴내려베고

12우상단 막고 오른발 빠지면서 범세 좌비껴내려베고

13오른발 나가면서 대도세로 허리를 뒤로 젖혀 뒤에 있는 상대의 가슴을 찌르고

14찌른 칼을 뽑아 오른발 자연세로 정면내려베고

15오른발이 뒤로 빠지면서 우로 180°돌아 오른발 대도세 우검쳐내고 검감아 좌내려베고

16왼발전진 우로 360°돌아 오른발 소도세 우수횡단 좌허리베고(오른손 한손으로)

17앉아서 착검

예도검법 5번

1준비

2오른발 나가며 신속하게 검 뽑아 오른발 전진 소도세 정면 찌르고

3왼발 오른발 뒤로 빠지면서 다리는 범세를 취하고 우상단 비꺼막고, 오른발 전진 소도세 좌비껴내려벤다.

4좌로 180° 돌아 오른발 나가며 상대의 검 걷어내며 좌로 180° 돌아 왼발 빠져 범세 우비켜내려벤다.

5횡단일검 자세로 오른발 전진 소도세 우상사직 올려벤다.

6오른발을 축으로 좌로 180° 돌면서 상대의 검 걷어내 왼발 뒤로 빠지며 범세로 우비껴내려벤다.

7횡단일검 자세로 오른발 전진 소도세로 우상사직 올려벤다.

8오른발을 축으로 왼발 나가며 역검잡아 우로 180° 돌아 범세로 뒤에있는 상대의 하복부를 뒤로 찌른다.

9오른발 나가며 범세로 비껴올려벤다.

10왼발 나가면서 오른발 들어올려 금계독립팔상세로 뒤로 접고 동시에 왼손 한손으로 검감아 머리베고

11우로 오른발, 왼발 나가 360° 돌면서 왼손 한손으로 수평으로베고

12우로 180° 뒤돌아 오른발 소도세 나가면서 좌비껴내려베고, 우상단방어 왼발 소도세로 좌비껴내려베고

13왼발 축으로 우로 180° 돌아 범세로 검털어 오물을 제거

14그대로 왼발 나가며 조천세 오른발 나가며 자연견적세

15왼발전진 검을 좌측으로 약간 걷어 오른발전진 상대방의 검을 우로 걷어 올리면서 공중도약하여 우로 180°돌아 오른손 한 손 뒤후려 베고 착지하며 우하단 방어

16그대로 상대의 검 걷어내어 좌상단 비껴막으며 오른발 앞으로 소도세로 나가며 오른손 한 손으로 우비껴내려벤다.

17검을 상단으로 휘들러 올려 8자 형태를 그리며 오물을 제거

18왼손검집 위에 칼을 얹어 착검.

예도검법 6번

1준비

2오른발 나가며 신속하게 검 1/3 정도 뽑아 검자루로 명치를 친다.

(상대를 베기에는 거리가 근접하고 시간이 촉박할 때)

3왼발 나가며 우로 180° 돌아 대도세로 검을 뽑아 횡단일검 허리벤다.

4좌로 180° 돌아 왼발 빠지며 검날의 2/3 정도를 검집에 넣으며 경계

5자연세로 앞으로 1보 전진, 뒤로 1보 후진, 좌로 1보

6우로 90°방향으로 두 발이 동시에 빠져나가 다리 꼬아서며 정면으로 들어오는 상대의 목 벤다. (반원을 그리며 좌측에서 우측까지 크게 후려벤다)

7좌측 90°방향으로 몸틀어 상대의 검을 걷어내며

8왼발, 오른발 소도세로 우비켜 내려벤다.

9왼발, 오른발 동시에 나가며 소도세 전진 우상사직 올려베고

10좌로 90°방향으로 왼발나가며 검 치켜올려

11오른발 왼발 동시에 나가며 소도세 전진 좌하단 비켜 내려벤다.

12우로 180°돌아 소도세 횡단일검

13좌로 180°돌아 오른쪽 허리에 후적세를 하고

14오른발 나가며 우올려베고 좌올려베고

15그대로 우측으로 180°범세 우상단 방어하며 소도세전진 좌비켜내려베고

16좌측으로 180°돌아상대의 검 걷어올리고 검을 한바퀴 돌려

17그대로 소도세 정면내려베고

18동시에 공중도약하여 공중에서 발 바꾸며 좌비켜내려베며 착지

19좌로 180°돌아 왼발 빠지며 검 한바퀴 돌려 착검

----------------------------------------------------------------------

쌍검[雙劍]

쌍검(雙劍)보

1. 맨처음 지검대적세를 하되 오른손 칼은 오른쪽 어깨에 지고, 왼손의 칼은 이마 위로 들고 바로 선다.

2. 즉시 견적출검세(見賊出劍勢)를 하되 오른손 왼발 한 걸음 뛰어 비진격적세(飛進擊賊勢)를 하되 오른손 오른발로 한번 치고

3. 초퇴방적세(初退防賊勢)를 하되 오른손 칼을 왼쪽 겨드랑이에 끼고 오른편으로 세 번 돌아 물러간다.

4. 즉시 향우방적세(向右防賊勢)를 한다.

5. 인하여 향좌방적세(向左防賊勢)를 한다.

6. 오른편으로 돌아 휘검향적세(揮劍向賊勢)를 하되 좌우로 씻어 앞으로 나간다.

7. 인하여 향우방적세를 하고

8. 또 향좌방적세를 한다.

9. 오른편으로 돌아 진전살적세(進前殺賊勢)를 하되 왼손 칼을 오른쪽 옆구리에 끼고 오른손 오른칼로 앞을 한번 친다.

10.왼편으로 뒤를 한번 돌아보고 즉시 오화전신세를 세 번하되 원자리에 이른다.

11. 향후격적세를 한다.

12. 몸을 돌려 앞을 향하여 지조염익세( 鳥 翼勢)를 하되 오른손 칼을 왼쪽 옆구리에 끼고 왼손 칼을 오른쪽 옆구리에 끼고 한소리 부르짖고 오른편으로 돈다.

13. 인하여 장검수광세(藏劍收光勢)를 하되 왼손 칼을 오른쪽 옆구리에 끼고 오른손 칼로 오른발을 들고 안으로 스쳐 한걸음 뛰어 좌우로 씻어 오른발을 들어

14. 오른발을들었다가 왼손 왼발로 앞을 한번 찌르고

15. 왼손 왼발로 앞을 찌르고, 이어서 오른손 오른발로 앞을 찔렀다가 다시 왼손 왼발로 또 다시 찔렀다가 인하여 항장기무세(項莊起舞勢)를 하되 왼손 칼로 왼편을 한번 씻어 대문을 하고 마친다.

----------------------------------------------------------------------

쌍칼은 남이 만일 일복호세로 나의 머리와 다리를 쳐오면 왼손으로 막고 오른손으로 한번 쓸어버린다.

만일 남이 곤봉으로 부숴오면 피하였다가 몸을 뒤집어 칼로 한번 쓸어버린다.

남이 만일 일수평창으로 내 다리를 빼러 오면 오른손으로 막고 왼손으로 한번 쓸어 버린다.

남이 만일 일독구세로 내 다리를 찍어오면 왼손으로 막고 오른손으로 손아귀를 찍는다.

남이 만일 일단제세로 나의 겨드랑이를 쳐오면 좌우를 불구하고 한손으로 막고 한손으로 쓸어버린다.

남이 만일 노승타장세로 나의 다리를 쓸어오면 왼손으로 막고 오른손으로 한번 쓸어버린다.

만일 곤봉으로 부숴오면 피하였다가 곧 손아귀를 꺾는다.

남이 만일 일횡룡창세로 나를 빼러 오면 왼손으로 막고 오른손으로 한번 쓸어버린다.

남이 만일 일선인교화세로 나를 찍어 오면 왼손으로 막고 오른손으로 한번 쓸어버린다.

남이 만일 일로관함식세로 내 다리를 찍어오면 칼로써 십자로 얽어막고 한 칼로 손아귀를 찍는다.

남이 만일 일편포세로 나를 쳐오면 오른손으로 막고 왼손으로 한번 쓸어버린다.

남이 만일 일거수조천세로 칼로 나를 쳐오면 왼손으로 막고 오른손으로 한번 쓸어버린다.

남이 만약 일호헐세로 나를 쳐오면 좌우를 불구하고 한손으로 막고 한손으로 쓸어버린다.

칼을 사용하는데 법이 있다.

마상쌍검[馬上雙劍]

마상쌍검(馬上雙劍)보

1. 맨처음 항우도강세를 하되, 오른손으로 고삐를 잡고 왼손으로 두 칼을 아울러 잡되 하나는 세우고 하나는 끼고 말을 몬다.

2. 손책정강동세를 하되, 오른손으로 즉시 낀 칼을 가져 왼쪽을 향하여 펼쳐 열고 오른손으로 앞으로 정하고 왼손은 뒤로 정한다.

3. 인하여 한고환패상세를 하되, 왼손 칼을 오른쪽 겨드랑이에 껴지고 오른손 칼로 향후격적한다. 뒤를 향하여 후려친다.

4. 운장도패수세를 하되, 오른손 칼을 왼쪽 겨드랑이에 왼손 칼로 향후격적한다.

5. 비전요두세를 하되, 왼손 칼을 오른쪽으로 휘둘러 방신하고 오른손 칼을 왼쪽으로 휘둘러 방신한다.

6. 인하여 향전일격을 한다.

7. 벽력휘부세를 하되, 오른손 칼을 왼쪽으로 휘두르고 왼손 칼을 오른쪽으로 휘둘러 방신한다.

8. 인하여 앞을 향하여 일격한다.

9. 왼쪽을 보고 방신하되 오른손 칼을 왼쪽으로 휘두른다.

10. 오른쪽을 보고 방신하되 왼손 칼을 오른쪽으로 휘두르기를 세번 하여 항우도강세로 끝낸다. 또 말을 돌려 한고환패상세를 하고, 또 운장도패수세를 정한 수 없이 하여 항우도강세로써 마친다.

----------------------------------------------------------------------

제독검[提督劍]

제독검총보 (提督劒總譜)

http://myhome.shinbiro.com/~jinro/sword/jedok1.gif

起(동작개시)

1. 對敵出劒(칼을 빼어 오른쪽 어깨에 올리면서 적과 맞선다)

2. 進前殺賊(칼로 정면을 치면서 나아가 적을 무찌른다)

3. 向右擊賊(칼과 몸을 오른쪽으로 돌리면서 적을 친다)

4. 向左擊賊(왼쪽으로 돌려 적을 친다)

5. 向右擊賊(오른쪽으로 돌려 적을 친다)

6. 向左擊賊(왼쪽으로 돌려 적을 친다)

7. 揮劒向賊(왼쪽 칼을 오른쪽 위로 휘두르며 적을 향한다)

http://myhome.shinbiro.com/~jinro/sword/jedok2.gif

8. 進前殺賊(올린 칼로 정면을 치면서 전진한다)

9. 初退防賊(칼을 어깨 위로 올려 오른쪽 발을 뒤로 한 발 물러서면서 적을 막는다)

10. 再回防賊(왼쪽으로 한 번 돌아 칼을 앞으로 치면서 두번째 적을 막는다)

11. 三回防賊(다시 한번 왼쪽으로 돌아 칼을 앞으로 내밀면서 적을 막는다)

12. 向後擊賊(방어동작 이전의 원위치로 돌아가 오른발을 디뎌 좌로 돌리면서 뒤쪽의 적을 친다)

13. 向右防賊(오른쪽으로 돌아 오른발을 내디디면서 적을 막는다)

14. 向左防賊(왼쪽발을 내디디면서 좌로 향하여 적을 막는다)

http://myhome.shinbiro.com/~jinro/sword/jedok3.gif

15. 向右防賊(다시 같은 동작으로 오른쪽의 적을 막는다)

16. 向左防賊(되풀이해서 왼쪽으로 향하여 적을 막는다)

17. 進前殺賊(이어 오른손과 오른발을 한 발 앞으로 내디디면서 한 칼로 앞의 적을 무찌른다)

18. 勇躍一刺(한 번 돌아 날세게 뛸 듯이 오른발을 앞으로 내디디면서 수평으로 적을 찌른다)

19. 向左擊賊(이어 왼발을 한 발 뛰면서 왼쪽의 적을 친다)

20. 揮劒向賊(이은 동작으로 오른쪽으로 돌아 오른발을 돌면서 왼편에서 오른편으로 칼을 휘두른다)

21. 進前殺賊(다시 오른발을 내디디면서 정면으로 한 번 친다)

http://myhome.shinbiro.com/~jinro/sword/jedok4.gif

22. 初退防賊(왼발을 뒤로 물러서 칼을 오른쪽 어깨에 올리면서 적을 막는다)

23. 再回防賊(오른쪽으로 돌아 오른발을 앞으로 내디디고 칼을 앞으로 내밀면서 적을 막는다)

24. 三回防賊(다시 오른쪽으로 돌아 같은 동작으로 적을 막는다)

25. 進前殺賊(원위치에서 한 번 돌아 오른발을 내디디면서 정면으로 한 번 친다)

26. 進前殺賊(같은 동작을 되풀이한다)

27. 拭劒伺賊(오른쪽의 칼을 거두어 왼손으로 옮겨 적을 살핀다)

28. 藏劒賈勇(두 손을 수평으로 벌려 왼손에 쥔 칼을 등에 일직선으로 감추고 오른발을 내디디면서 오른손 주먹을 한 번 내리친다)

----------------------------------------------------------------------

권법[拳法]

권법(拳法)보

1. 두사람이 각 좌우로 허리 옆에 손을 끼고 쌍으로 섰다가

2. 처음으로 탐마세(探馬勢)를 하되 오른손으로 오른쪽 어깨를 쳐 벗긴다.

3. 즉시 요란주세(拗鸞 勢: 팔굽을 비튼다는 뜻)를 하되 왼손으로 오른손 어깨를 쳐 벗긴다.

4. 오른발 나가면서 왼손으로 받고 오른 주먹을 지른다. 앞으로 나가며 현각허이세(縣脚虛餌勢: 다리를 들어 거짓 먹이를 준다는 뜻)를 하되 오른발로 오른손을 차고 왼손으로 왼발을 차고, 오른발로 오른손을 찬다.

5. 앞으로 나가며 왼손으로 어르치되 오른발을 차고, 즉시 오른발을 회수하면서 오른 주먹을 지른다.

6. 이어서 오른손 어르면서 왼발을 차고, 왼발 즉시 회수하면서 왼주먹을 지르고, 곧이어서 왼손 어르면서 오른발 차고, 오른발 회수 하면서 오른 주먹을 지른다.

7. 즉시 순란주세(順鸞 勢)를 하되 왼편으로 한번 돌아 왼손으로 오른발을 한번 친다.

8. 인하여 칠성권세(七星拳勢)를 하되 좌우편으로 감아서 고사평세(高四平勢)를 하되 오른손 왼발로 앞을 한번 지른다.

9.오른손으로 낭심을 보호하고 왼손을 어르며, 왼발로 한번 찬다.

10. 이어서 도삽세(倒揷勢)를 하되왼발 뒤로 빼면서 양손을 높이 들고 뒤를 본다. 왼쪽으로 왼주먹을 내려친다. 이때 오른 주먹은 낭심 앞을 스치며 이를 보호한다.

11. 몸을 둘러 (回身向後) 일삽보세(一 步勢)를 하되 먼저 오른손을오른쪽 겨드랑이에 끼웠다가 즉시 몸을 오른쪽으로 돌려서 왼발 나오면서 왼주먹으로 지르고, 또 교차 지른다.

12. 인하여 요단편세( 單鞭勢)를 하여 한 걸음 뛰어차되 먼저 오른손으로 오른쪽 엉덩이를 딱 치고 이어 발을 찰때는 양손 주먹도 동시에 나간다.

13.인하여 복호세(伏虎勢)를 하되 나아가 앉으며 오른쪽으로 오른다리를 쭉 펴서 돌린다.

14.일어서면서 현각허이세(縣脚虛餌勢)를 한다.

15.왼손으로 얼굴을 가리우고 오른 주먹을 겨드랑이에 끼고

16. 인하여 하삽세를 하되 왼쪽으로 한번돌아 오른손으로 왼발을 한번 치고

17.왼손 어르며 왼발로 한번 차고 이때 오른 주먹은 낭심을 보호하고

18. 즉시 당두포세(當頭砲勢)를 하되 왼손으로 앞을 막고 오른손으로 이마를 가리운다.

19. 인하여 기고세(旗鼓勢)를 하되 좌우편을 감고

20. 인하여 중사평세(中四平勢)를 하되 왼발 왼손으로 뒤를 한번 지르고(이때 왼발 물러 서면서 왼손 팔굽으로 지른다)

21.인하여 도삽세를 하고 앞을 돌아보고

22. 몸을 돌려 도기룡세(倒騎龍勢)를 하되 좌우수를 열어 버린다.

23. 요단편세를 하여 앞으로 나가며 차고

24. 현각허이세를 하고, 인하여 매복세를 하되 一자로 나가며 앉고

25. 일어서서 현각허이세를 하고

26. 인하여 하삽세와 당두포세를 하고

27. 또 기고세로 좌우를 감고

28. 고사평세를 하고

29. 인하여 도삽세를 하고

30. 즉시 일삽보세를 하고

31.현각허이세를 하되 왼손으로 어르고, 오른발 차고 동시에 오른주먹을 지르고

32. 요단편세를 하여 한 걸음 뛰어 차되 먼저 오른손으로 오른편 엉덩이를 딱 치고, 이어 오른발을 찰때는 양손 주먹도 동시에 지른다.

33.먼저 왼발로 오른쪽을 돌아차고 즉시 오화전시세를 하고 오른손 오른발로 오른쪽으로 돌아찬다.

34. 두사람이 마주 서서 안시측신세(雁翅側身勢)와 과호세(跨虎勢)를하되 두손을 개합(開闔:손뼉을 쳐서 닫았다가 편다) 하고 서로 엿본다.(서로 왼발이 앞서 있다)

35. 갑이 현각허이세로 오른발로 왼편으로 차면 을은 구류세(丘劉勢)를 하되 왼발 한 걸음 물러서면서 오른손으로 차는 발을 받고, 이어서 질러 오는 주먹을 손등으로 쳐낸다.

36. 이어서 갑이 왼발로 오른쪽을 차오면 으은 오른발 무르면서 왼손으로 차는 발을 받고, 이어서 질러 오는 주먹을 손등으로 쳐낸다.

37. 갑이 즉시 쫒아가며 뛰어차고, 이때 을은 물러나면서 이를 피하고, 이어서 복호세를 하면 을이 금나세를 하여 뛰어 넘는다.

38. 양인이 서로 돌아서서 안시측신세(갑)와 과호세(을)를 하고 서로 엿보다가

39. 을이 즉시 현각허이세를 하고 오른발로 왼쪽으로 차오면 갑은 구류세를 하되 왼발 물러나면서 오른손으로 차오는 발을 받고 즉시 질러 오는 주먹을 손등으로 쳐낸다.

40. 을이 이어서 왼발을 오른쪽으로 차오면 갑은 오른발 물러서면서 왼손으로 차오는 발을 받고, 이어서 질러오는 주먹을손등으로 쳐낸다.

41.을이 계속하여 쫒아가며 뛰어차고, 이에 갑은 물러나면서 이를 피하고, 이어서 복호세를 하면 갑은 금나세를 하여 이를 뛰어 넘는다.

42. 양인이 즉시 포가세(포가세)르 하되 을이 오른발로 낭심을 차오면 갑이 왼손으로 발목을 잡고 왼손으로 힘껏쳐서 이를 막아낸다.

43. 다시 갑이 오른발로 낭심을 차오면 을이 점주세(점주세), 즉 양손 팔굽을 교차시키면서 이를 막아낸다.

44. 갑이 오른손으로 왼편 어깨를 잡거든 을이 오른손으로서 겨드랑이 아래를 좇아 갑의 목을 꼬아 지나 갑의 왼편 어깨를 잡고 각각 등 뒤로 왼손을 걸어잡고 갑이 을을 업고 빗기듯이 거꾸로 던지거든 을이 물러 도는 듯 하여 얼른 땅에 사뿐히 내려선다.

45. 을이 또 갑을 업어 전번과 같이 하여 마친다.

----------------------------------------------------------------------

기창[旗槍]

기창(旗檜)보

1. 정립. 용약재연-오른발 나가며 우일권

2. 거극세-왼발 들며 우하단 내려막고, 야차탐해- 감아돌려 기마세 우장

3. 중평일자-왼발 나가며 창 감아돌려 손 바꿔 찌르기

4. 상보벽창-오른발 꼬아 상보(반소도), 왼발 나가며 일자

5. 진왕기마세(2회반복)-오른발 나가며 왼편에 끼웠다가 왼발 나가며 전기, 좌장

6. 한신점기세-좌나찰 중평일자, 창 돌려 손바꿔 우나찰 중평일자

7. 창 돌려 손바꿔 좌나찰 중평일자, 창 돌려 손바꿔 우나찰 중평일자

8. 좌로 뒤돌아 오른발 나가며 좌평무화곤

9. 퇴안색해세-왼발 나가며 일자, 왼발 다시 끌며 장상일자

10. 은교출해세-오른편으로 전기, 왼 다리 들고 좌나찰, 중평일자(3회 반복)

11. 복호세- 540。 좌회신, 손 바꿔 오른발 중평일자

12. 복호세- 180。 우회신, 손 바꿔 왼발 중평일자

13. 복호세- 540。 좌회신, 손 바꿔 오른발 중평일자

14. 복호세- 180。 우회신, 손 바꿔 왼발 중평일자

15. 용약일자- 왼발 끌며 찌르고, 도약 전진하며 찌르기

16. 야차탐해세-창 돌려 왼편에 세우고 우장

17. 수세-오른발 당겨 왼발에 붙이며 정립

----------------------------------------------------------------------

쌍수도[雙手刀]

쌍수도보

1. 기세-검을 오른 어깨에 메고 선다.

2. 견적출검(見賊出劍)-검을 한바퀴 돌려 쌍수로 검을 잡아 검끝을 땅을 향하게 하여 왼발을 든다.

3. 지검대적(持劍對賊)

4. 향좌방적(向左防賊)-왼쪽 하단을 쳐내어 막는다(左脚右手).

5. 향우방적(向右防賊)-오른쪽 상단으로 쳐내어 막는다(右脚右手).

6. 향상방적(向上防賊)-왼손바닥으로 검등을 받아 상단 방어(左脚右手).

7. 향전격적(向前擊賊) / 향좌일격(向左一擊) / 향우일격(向右一擊)

8. 초퇴방적(初退防賊)-왼발 한걸음 물러나 왼쪽으로 돌아 뒤로 뛰어 물러선다.(右脚右手)

9. 진전살적(進前殺賊)

10. 지검진좌(持劍進坐)-한걸음 뛰어나가 오른손 외수로 검을 잡고 검을 땅에 세워 앉는다(右脚右手).

11. 식검사적(拭劍伺賊)-일어서며 검을 씻는 동작을 한다(右脚右手).

12. 섬검퇴좌(閃劍退坐)-오른발 뒤로 빠지며(左脚右手) 검을 뒤로 숨겨, 왼손을 민다.

13. 진전살적(進前殺賊) / 향상방적(向上防賊) / 진전살적(進前殺賊)

14. 휘검향적(揮劍向賊)-내략세, 외략세, 내략세를 세 번 하며 나간다.

15. 진전살적(進前殺賊) / 향상방적(向上防賊) / 진전살적(進前殺賊) / 일자(一刺)

16. 재퇴방적(再退防賊)-우측으로 돌아(오른발을 뒤로 빼어 돈다), 검을 어깨에 메고 세 번 후방으로.

17. 향상방적(向上防賊)-왼발 진보, 검을 오른 어깨위로 앞을 보며 받았다가 오른발이 뒤로 한걸음 물러서면서(左脚右手) 向上防賊勢를 한다.

18. 향전격적(向前擊賊) / 지검진좌(持劍進坐)

19. 식검사적(拭劍伺賊) / 향좌방적(向左防賊)-일어나며 오른발 뒤로 빠지고(左脚右手)

20. 拭劍伺賊勢로 검을 씻으며 한바퀴 돌리고, 두 번 되었을 때 쌍수로 다시 잡아 向左防賊勢(左脚右手)를 한다.

21. 향우방적 / 향상방적 / 향전격적

22. 향좌일격(向左一擊) / 향우일격(向右一擊)

23. 삼퇴방적(三退防賊)-初退防賊勢와 같은 방법으로 물러서되 우측으로 돌아온다(右脚右手).

24. 향전살적(向前殺賊)-右手右脚 나아가 들어치기를 두 번한다.

25. 지검진좌(持劍進坐) / 26. 식검사적(拭劍伺賊) / 27. 장검가용(藏劍賈勇)

----------------------------------------------------------------------

월도[月刀]

월도보(月刀譜]

1. 왼 손으로 자루를 잡고 오른 손은 오른편에 끼고 칼을 세워 바로서서 처음에 용약재연세를 하되 오른 주먹으로 앞을 한번 치고

2. 즉시 신월상천세를 하되 앞으로 나아가 오른주먹으로 앞을 한번 치고 한걸음 뛰어 뒤를 돌아보고

3. 그대로 맹호장조세를 하여 오른편으로 세번돌아 물러나 제자리에 이르러

4. 그대로 지조염익세를 하여 앞을 향하라.

5. 금용전신세를 하되 칼을 들어 왼편으로 휘둘러 나가서

6. 오관참장세를 하되 오른편을 향해 돌려치고 쓸어서 왼편을 한번치고 오른편을 향해 돌려치고 쓸어서 왼편을 한번치고

7. 앞을 향해 오른편으로 한번 돌아 오른발을 들고 안으로 스쳐

8. 향전격적세로 앞을 한번 치고

9. 그대로 용광사우두세를 하되 왼편으로 세번 끌어 돌아서 제자리로 물러나서

10. 창룡귀동세를 하고 뒤를 향해 한번 치고 몸을 둘러 앞을 향하여

11. 월야참선세를 하되 오른손과 오른다리로 두번 쫓고

12. 그대로 뒤를 향하여 칼을 들어 상골분익세가 되어 앞을 향하여

13. 분정주공번신세를 하고 앞으로 나아가

14. 개마참량세를 하여 오른손과 오른다리로 한번 찌르고 진적살적세를 하되 오른발을 들고 밖으로 스쳐 좌우로 씻고 한번치고 오른다리를 들어 한걸음 물러와서 그대로 용광사우두세를 하되 왼편으로 두번돌아 물러나서 제자리로 가라.

15. 앞을 향하여 검안슬상세를 하고 오른손 및 왼쪽 무릎을 들어 한번 소리치며 한걸음 뛰어 앞으로 나아가

16. 장교출해세를 하여 왼편으로 한번치고 왼손과 왼다리로 한번 치고 한걸음 뛰어 뒤를 돌아보고 그대로 맹호장조세를 하되 오른편으로 한번돌아

17. 장검수광세를 하고 오른편에 칼을 끼고 왼 주먹으로 앞을 한번 치고 그대로 향전상적세를 하되 앞으로 한번 치고

18. 수검고용세를 하고 마쳐라.

----------------------------------------------------------------------

협도[挾刀]

협도보[挾刀譜]

1. 용약재연세(龍躍在淵勢)

오른손으로 칼을 세워 잡고, 왼손은 왼쪽 허리에서 주먹으로 앞을 한번 친다.

2. 중평일자세(中平一刺勢)

앞으로 한발 나가는 동시에 오른손으로 자루의 앞을 잡고 왼손으로 뒤를 잡


Comment ' 8

  • 작성자
    Lv.1 49908♥
    작성일
    04.01.02 07:52
    No. 1

    우음 -ㅅ-;;; 다 읽긴 읽었는데 ;; 무슨 소린지 .. 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천애무룡
    작성일
    04.01.24 11:13
    No. 2

    왠지 글이 24반무예를 이해하고 쓰신 것이 아니라 그냥 글을 옮기신 것 같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지존천마님
    작성일
    04.03.31 17:33
    No. 3

    기본 동작중에 빠진게 좀 있군요
    지하세와 조천세 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하노이의별
    작성일
    05.04.27 17:47
    No. 4

    ㅡㅡㅋ 굉장히 길군요 한 두세번은ㅇ ㅣㄺ어야할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무동(无動)
    작성일
    05.05.03 06:31
    No. 5

    후하...다른분들이 이상하다 해도

    저는 그냥 좋게만 보인다는 ㅎㅎ 어서 읽어봐야지 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취룡(取龍)
    작성일
    07.07.02 18:26
    No. 6

    제가 검도를 하기에 잠시 하나 보충하겠습니다.
    금계독립세의 원 명칭은 금계독립팔상세 입니다.ㅎ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한배질풍검
    작성일
    07.12.27 12:34
    No. 7

    취룡님께서 뭔가 잘못알고계신거같은데 금계독립세와

    팔상세는 독립된 자세였지만 지금에 와서야 현 해동검도에서

    두 자세를 복합시켜 금계독립팔상세로 정해놓은 것입니다.

    현 해동검도에서는 아직도 많은 발전중으로 쌍수검법

    예도검법 본국검법 외수검법 태백검법등 다수의 많은

    검법들이 존재하나 아직까지 이런 검법들이 일체화 되지

    않아 많은 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LunaticK
    작성일
    09.10.07 01:00
    No. 8

    제가 검도를 좀 배워봤는데...

    본국검법이 이렇게 유서깊은 검법이라는 게 참 신기하네요..

    처음 배울때는 그냥 아무 생각없이 동작을 규칙없이 늘어놓은 건 줄 알았는데...

    암튼 이거 대한검도류로 배우러 가면 9급인가 8급인가에서 배웁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무협백과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12 기타상식 지나(중국)의 건국신화 삼황 Lv.1 휘수(輝手) 03.12.01 1,131
511 기타상식 지나(중국)의 창조신화 Lv.1 휘수(輝手) 03.12.01 1,077
510 기타상식 동이족의 기원 +2 Lv.1 휘수(輝手) 03.12.01 1,321
509 기타상식 사대주의 Lv.1 휘수(輝手) 03.12.01 901
508 기타상식 백제의 영토 +2 Lv.1 휘수(輝手) 03.12.01 1,571
507 기타상식 한사군은 없었다. Lv.1 휘수(輝手) 03.12.01 1,097
506 기타상식 규염객전(원문포함) Lv.1 桃李不言 03.11.20 2,613
505 무공일반 환웅이 천계에서 가지고 내려온 천부경(天符經) +11 Lv.1 각형 03.11.18 2,640
» 무공일반 우리나라의 검법, 본국검법(本國劍法) +8 Lv.1 각형 03.11.18 3,097
503 무공일반 천단기공 이래요... ^^ +5 Lv.11 진마초 03.11.13 2,665
502 무공일반 유수(중국무술)에 관하여 Lv.23 바둑 03.11.09 1,929
501 병기기타 추(錘) 柳韓 03.10.26 1,667
500 병기기타 저(杵) 柳韓 03.10.26 1,552
499 중국지리 무협용 중국지도 ver 2.1 +193 낙방수재 03.10.20 28,235
498 무공일반 중국무술(유수)의 정의&명칭&종류 Lv.23 바둑 03.10.19 2,962
497 중국문화 백거이의 비파행(琵琶行) Lv.74 소닉 03.10.17 1,763
496 중국문화 백거이(白居易) 의 장한가(長恨歌) Lv.74 소닉 03.10.17 3,605
495 중국지리 수나라의 운하 개요도 Lv.74 소닉 03.10.17 1,665
494 중국지리 한무제가 설치한 13자사부의 명칭과 그 강역 Lv.74 소닉 03.10.17 1,520
493 중국지리 구주(九州) +3 Lv.74 소닉 03.10.17 2,818
492 중국역사 원의 멸망과 백련교(1) +1 Lv.74 소닉 03.10.13 1,594
491 중국지리 무협용 중국지도 이차수정본. +69 낙방수재 03.10.12 7,506
490 중국역사 중국의 역사 요약-고대부터 근대까지- +7 Lv.74 소닉 03.10.10 3,797
489 무공일반 [무공] 양가창법 +3 Lv.1 소녀로리 03.10.01 3,349
488 기타상식 상세 무협 용어 +4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5,395
487 중국지리 중국지명의 유래 +4 柳韓 03.09.30 3,343
486 기타상식 변검 +1 柳韓 03.09.30 1,708
485 병기기타 창(槍)에 대해서 +9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2,880
484 기타상식 용(龍)에 대해서 +2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1,945
483 중국지리 팔황 구주 및 중국 역대수도 Personacon 검우(劒友) 03.09.30 3,216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