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작성자
黑月舞
작성
09.08.06 01:30
조회
3,380

작가명 : 김정훈

작품명 : 파라블럼

출판사 : 골든노블

김정훈 작가님의 파라블럼 완전판이 책방에 있더군요.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유치할 수도 있는 스토리 겸 설정입니다만 옛날에 출판되었을 때 나름 재미있게 봤던 기억이 났습니다. 뽑아들고 잠시 살펴보니 영문제목이 상단에 적혀 있는데 “Parablum" 이라 적혀 있더군요. 집에 돌아와 이전에 출판된 아선미디어의 파라블럼 출판본의 표지를 인터넷에서 찾아봤습니다. ”parabellum"이라 적혀 있었습니다.

책 소개글에도 나와 있듯이 파라블럼이란 말은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을 준비하라. si vis pacem, para bellum." 이라는 로마 속담에서 연유했습니다. 따라서 골든노블 출판본의 영문제목은 완전히 틀린 셈이죠.

그런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장르소설에서 쓰이는 영문 혹은 외국어 중에 참으로 틀린 것들이 많더군요. 그나마 영어라면 조금 틀리게 쓸 확률이 줄어듭니다만 영어가 아닌 언어라면 가관인 것들이 많죠.

제가 그나마 할 줄 아는 언어인 독일어와 관련된 것을 예로 들어보자면

1. 움라우트, 일명 모음 위에 땡땡 표시와 관련된 것들.

1.1. 신들의 황혼, 라그나로크(Ragnarok)

우리나라 모 게임의 로고를 자세히 들여다보시면 분명 o위에 점 두 개가 찍힌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라그나뢰크’가 맞습니다.

1.2. 해골 십자가, 섀델 크로이츠(Schadel Kreuz)

처음에 보고 독일어인줄 몰랐습니다. a위에 점을 두 개 찍어주시던가, 혹은 ae로 쓰는게 옳습니다.

2. 발음들

2.1. ja

‘자’라는 분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jɑ] ‘야’ 가 제대로 된 발음입니다.

2.2. Schlange(뱀)

‘슐란지’가 아닙니다. [ʃlaŋe]  '슐랑에' 로 발음해 주세요.

독일어 말고도 많습니다.

‘역전 앞’과 같은 표현

e.g. 1. 니벨룽겐의 반지 Ring des Niebelungen

사실 이건 장르소설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지만 어떤 소설의 영문제목이 "Sword of the Niebelungen" 이었기에 적습니다. Niebelungen자체가 속격 어미 -en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니벨룽‘의’ 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니벨룽겐의 반지’라 하면 ‘니벨룽의의 반지’가 됩니다.

e.g. 2. 샤를마뉴 대제 Charlesmagne대제

영어식 표현을 보면 Charles the great가 됩니다. 즉 magne 자체에 거대한 이라는 뜻이 있는 거죠. ‘샤를대제 대제’는 아니잖습니까. 만약 외국인이 'Sejongdaewang the great' 라고 하면 거기에 대고 뭐라 그래야 할까요?

N.B. 외국식 작명 중에 비영어권에서는 저런 식으로 수식어구까지 그냥 단어에 붙여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잔다르크’ 같은 경우도 Jeanne d'Arc, 영어식으로 쓰면 John of Arc, 즉 ‘아크 마을의 존이라는 처녀’ 가 되는 것이죠.

어미변화의 몰이해

e.g. 1. 어떤 소설에서 주인공 대사 중에 밤하늘의 별과 관련해서 떠드는 내용 중에 나온 오류입니다. 별에 이름을 붙일 때 별자리를 이용한 방법이 있죠. XX자리 알파별 하는 것들 말입니다. 이 경우 별자리 이름의 ‘라틴어 속격’을 취합니다. 예를 들면 작은곰자리 Ursa minor의 경우 작은곰자리 알파별(북극성이죠)을 쓰고 싶으면 alpha ursae minoris라고 써야 옳습니다. 따라서 알파 켄타우루스alpha centaurus가 아니라 알파 켄타우리alpha centauri가 맞습니다.

e.g. 2. 마찬가지로 작가가 라틴어 사전을 가지고 뒤적여서 조합한 문장이겠습니다만 목적어로 쓰인 단어에 제대로 된 대격을 취하지 않았던 경우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꼭 장르소설에 국한해서가 아니라 살면서 본 외국어들의 오용사례 중에 일단 머리에 떠오르는 것만 적어봤습니다. 사실 이러는 저조차도 살면서 어떤 실수를 저지르고 있을지 모릅니다만 그래도 최대한 알아보려는 노력들은 게을리 하시지 않기를 바랍니다.


Comment ' 9

  • 작성자
    지문
    작성일
    09.08.06 02:37
    No. 1

    비평란에 올리시는게 더 좋지않을까 하는생각이 드네요 ㅎ
    저 중에선 샤를마뉴 대제는 어디서 나오는지 모르겠지만; 카롤루스 대제로 세계사교과서에서 배웠던 기억이 납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머나먼고향
    작성일
    09.08.06 03:05
    No. 2

    무협소설에서 흔히 나오는게 천축인데 천축이라면 인도를 말하는 것인데 달마가 벽안이니... 아니면 벽안의 천축인이니 이런말이 굉장히 많이 나옵니다.10여년전 인도에 직접 가보기전까지는 인도인이 푸른눈인가? 하고 생각도 했었습니다. 웬걸 인도인들이 갈색이나 검은 눈이더군요.
    특히 구무협에는 상당히 심한 오류가 많습니다.진시황이나 제갈량이나 달마나 장삼봉이나 양귀비나 무조건 천년전의 인물로 나왔습니다.좀 오래 되었다 싶으면 대충 천년전의 인물이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黑月舞
    작성일
    09.08.06 11:46
    No. 3

    카롤루스 대제 혹은 샤를 대제가 옳은 표현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31 자쿠
    작성일
    09.08.06 14:09
    No. 4

    너무신경쓰면 안되용 ㅋㅋㅋ 발음에 대해서 신경쓰면 쓸수록 바보가 되어버릴수 있습니다. 가령 영어로 타이거가 독일어로 티거가 되고 우리가 아는 다윗대왕의 이름 역시 다비드, 데이빗으로 발음되어 집니다. 즉 라틴어를 바탕으로 하는 수많은 언어가 각은 철자라도 다른 언어로 쓰여질수 있다는 것이지요. 우리가 헤라클레스라고 발음하는 그리스 영웅도 미국에서는 허큘리스라고 말하지요. 알렉산드로스, 알렉산더 등등 이러한 변화는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러니 너무 구별하지 마세요. 따지다 보면 한계가 없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1 자쿠
    작성일
    09.08.06 14:18
    No. 5

    라틴어로만 따지면 틀렸지만 영어로 보면 맞을수도 있는 것입니다. 같은 예로 카이사르라는 고대 라틴어가 르네상스시기 이탈리아어로는 체사르, 독일어로는 카이저, 영어로 시저가 되어 버립니다. 그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징벌자
    작성일
    09.08.07 00:09
    No. 6

    별생각없이 글과 댓글을 읽으며..
    옳은지 그른지는 모르겟지만, 참 똑똑한분들 많구나..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Personacon HAWX
    작성일
    09.08.07 12:04
    No. 7

    별자리 어미 변화는 저도 몰랐던 거네요 -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면피용
    작성일
    09.08.07 18:27
    No. 8

    와~ 좋은 것 배웠습니다. 작가분들이 좀 더 신경써주시면 좋겠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별작
    작성일
    09.08.07 18:51
    No. 9

    작가들이 이런 거 신경써서 써주면 좋겠네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1051 판타지 샤펜의 유희 +3 Lv.81 신기한사람 09.08.06 1,200 0
21050 게임 van반 과 낙원의서 +5 Lv.4 자칭애독자 09.08.06 3,584 2
21049 판타지 제이코플래닛 작가의 몇 가지 이야기 +13 Lv.25 판탄 09.08.06 3,194 7
» 판타지 파라블럼 완전판 그리고 외국어 오용 +9 黑月舞 09.08.06 3,381 4
21047 무협 환희밀공을 완결까지 읽고 +7 Lv.1 백미겸 09.08.05 4,941 3
21046 무협 상왕 진우몽 완결까지 읽고 +3 Lv.1 백미겸 09.08.05 4,297 3
21045 판타지 환수의 소원 +7 Lv.1 예스크 09.08.05 2,025 0
21044 판타지 오랜만에 페이지가 아쉬워지는 글, 머큐리! +10 Lv.47 세하라자드 09.08.05 2,332 4
21043 판타지 와이어풀러 +47 키로프 09.08.05 4,160 0
21042 판타지 전민희작가의 컴백 +16 Lv.8 목련과수련 09.08.05 4,023 0
21041 무협 천하제일이인자 8 +8 Lv.13 얼음꽃 09.08.04 3,046 1
21040 무협 방수윤님의 허부대공 9권 (미리니름↑) +8 Lv.1 yo**** 09.08.04 3,291 0
21039 무협 광검진천 - 매력이 돌아온 3권 +7 Lv.77 격화가 09.08.04 2,229 1
21038 판타지 하얀제왕 추천해요 (똑똑한 주인공좋아하시... +1 Lv.85 모리나 09.08.04 2,475 3
21037 판타지 영웅&마왕&악당을 읽고 지옥에 빠지다. +30 Lv.50 삼절서생 09.08.04 3,748 9
21036 기타장르 레인보우 파이어 ! +7 Lv.1 예스크 09.08.04 1,200 2
21035 무협 기검신협! 추천합니다. +8 Lv.38 대마21 09.08.04 5,684 2
21034 무협 오랜만에 송백을 다시 읽고 +4 Lv.60 이싸毁毁毁 09.08.03 2,780 0
21033 무협 박찬규 님의 '천리투안' +9 Personacon 취록옥 09.08.03 3,085 0
21032 판타지 나이트 골렘 +12 고추장국 09.08.03 2,932 4
21031 게임 라스트 킹덤 - 삼국지에 대한 오마쥬 +6 NovelHolic 09.08.03 2,369 0
21030 기타장르 (만화) 유리소녀 감상.... +1 Lv.1 제룬 09.08.02 1,155 1
21029 기타장르 기갑물에 대한 감상 +16 Lv.75 밀양박가 09.08.02 3,786 1
21028 게임 대장장이지그 완결읽구 +2 Lv.1 솔잎향기 09.08.02 2,383 0
21027 기타장르 아크 15권을 읽고서(약간의 미리나름) +15 에어(air) 09.08.02 2,462 0
21026 판타지 리사이클(미리니름?) +3 Lv.13 얼음꽃 09.08.02 1,484 4
21025 무협 환영무인6 +5 Lv.6 UrMySRC 09.08.02 2,254 0
21024 게임 달빛 조각사 감상문 ㅡ ! ( 17권 , 미니리름 ) +7 Lv.1 현악(絃樂) 09.08.02 2,079 0
21023 무협 아, 대무천향이여... +16 Lv.8 神劍서생 09.08.02 3,750 8
21022 판타지 다시읽는 월야환담 채월야 +8 Lv.44 風객 09.08.02 2,356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