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
16.01.01 16:49
조회
1,296

자, 먼저 농산물의 값과 품질은 정비례합니다. 비율이 좀 XX이라 그렇...


거의 전부의 잎채소는 클수록 맛이 덜합니다.

초식동물이 어린 잎새를 찾아다니는 것 처럼, 크면 클수록 쓴맛이 강해져요.

각종 X추류 내지는 X잎류는 그래서 적당히 어린것들이 좋은데, 대체적으로 이런 신선하게 오래 보관하기 힘든 잎채소는 대형유통업이 개입하기보다는 개인사업자가 설비를 갖추고 생산하여 판매하기때문에 값이 비쌉니다.


보통 사람들은 유통단계가 간소화되면 마진율이 높아지기때문에 값이 저렴해진다. 라고 알고계시는데, 일정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농업부분에 있어서는 조금 다릅니다.


설비를 장만할 때, 적확한 용도와 계획서가 있다면 국가지원금이 상당부분 나오긴 합니다만, 그래도 개인에서 소수가 직접 하는 일이기 때문에, 기초자본 부족으로 인한 수익성이 거시기해져서 값은 의외로 별 차이 나지않거나 비쌉니다.

상품성은, 대형유통업체 직원이 일적으로 보는것보다는 확실히 좋구요.


즉, 신선식품은 개인상표를 걸고 사업하는 제품이 더 좋습니다. 공정에 공장설비급이 들어가는것이 아니라면 말이죠.



그리고 과일류.

이건 보통 개인의 취향에 따라 뭐가 더 맛있고 아니고를 결정짓는지라 애매하긴 합니다만, 보통 당도와 산도를 기준으로 보편적인 맛을 잡아내고, 그에따라서 가격대가 형성됩니다.


그런데 저 기준에 따르면, 보통 ‘상품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외형적 결함이 있는 과실은 실제로 그 맛이 상등품에비해 떨어집니다.

사과, 배 등의 과실수의 경우, 고루 볕을 받고 적확한 때 비료 등이 주어져야 하는 등 해 줘야 할 것들이 많은데, 그것이 부족하거나 제때 이뤄지지 않은경우 하품들이 발생합니다.


이것에대한 오해가 많은데, 실제로 완벽하게 가꾸는 과수농가에서는 바람에 떨어진 낙과를 제외하고는 거의 단일등급으로 판매합니다. 즉, 제대로 관리한다면 모두가 상등품이라는 얘기지요.


타원형의 좋은 빛깔을 띈 단단한 것. 당연히 수확하는 사람이나, 구매하는 사람이나 상등품인것을 바로 알 수 있는것은 값이 좋습니다. 이것들은 그저 생산지와 생산자만을 알아두고 입맛에 맞는 품종을 비싸게 파는 제품이 늘 맛이 좋습니다. 백화점이나 행사제품만 아니라면 말이죠.



대체로 농산품의 밭작물들은, 난해합니다.

수박을 고르는 법에 대해 줄무늬가 선명하고 두드리면 좋은 소리가 나는 어쩌고 하는데, 실은 손바닥으로 툭 치면 느껴지는 진동을 잡아낼 경험이 있지 않다면 별무소용이죠. 밭에서 차에 싣기 전에 이미 선별작업은 끝나고, 그렇기에 산지와 생산자가 중요합니다. 품값 아끼기 위해, 혹은 사람을 구하지 못해 선별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가 간혹 존재하는데, 그럴때 비로소 마트에서 사보니 속이 비거나 심이 있는 등 달지 않더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뿌리작물들은 대체로 단단한것이 좋은 상품입니다. 그리고, 모양이 이상하고 혹이 나 있거나 홈이 깊게 패여있는 등 육안으로 보기에 깔끔하지 못한것들은, 자랄 때 돌이나 가뭄, 혹은 너무 많은 씨가 한곳에 몰려 있어 서로 눌리는 등 성장환경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즉, 맛을 잘 분별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그 맛이 떨어집니다. 의외로 감자에서 쓴맛이 나고 쪼개보면 속이 텁텁하다는 등 미묘한 맛의 차이가 있죠.


그래서, 너무 큰 경우는 값이 오히려 없고, 상태가 불량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아, 일부는 세척의 어려움 때문에 값이 떨어지기도 하지만, 그 경우 본인의 확실한 경험이 없다면 값을 이유로 고르는것은 추천하지 못합니다.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비닐봉투에 담아서 계량해 구매하는 상품은 대체로 밭 째 계약하는 계약재배상품입니다. 이 경우 농부는 계약서에 명시된 비료와 관리작업만을 행하게 되므로, 상품성이 좋다고 말하긴 힘들지만, 영양없이도 잘 크는 특이개체는 어디에나 있으므로 잘 고르면 좋은것을 고를 수 있기도 합니다.



보편적으로 아이에게 먹이거나, 좋은것을 먹고자 하는 사람들에겐 소매상품구입을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 산지와 생산자가 명시되어있는 박스제품 구입을 추천하죠.

거기다가 개인사업자가 인터넷 사이트를 열어 택배배송하는 경우에는, 상당히 가격이 짜증날만큼 비쌉니다.


이유를 말씀드린다면, 택배비, 박스값, 인건비 등을 모두 구매자에게 부담시키고, 판매자는 자신이 개별포장, 배송하는 수고비까지 챙기려 하기 때문이죠.

작년, 수미감자가 20kg 들이 상자당 1.8~2.4만원까지 형성되었습니다. 가장 좋은제품 기준으로요. 그런데, 이 가격엔 박스값 1000원, 운송비와 상하차비, 등이 포함된 가격이 됩니다. 거기다 한해 밭을 빌리는 값, 비료값 등을 제하고나면 절반수준에 근접한 값이 실 소득으로 잡힙니다. 그런데, 이것이 개인배송을 하게되면 후자는 따로계산하지 않지만, 전자는 소비자에게 부담시키게 됩니다.

한창때, 왕특, 특, 상, 중, 하, 조림으로 나뉘는 크기분류에서 왕특을 4만원대로 파는것을 봤습니다. 그거, 상자당 이만원 못받는거에요. 가격 -_-...

상등급이 가장 비싸고 맛있는 제품이죠.


같은 상품인데, 내 수고비와 인건비, 배송과 포장비를 본인이 부담하는기준으로 가격이 형성되는데, 이것을 소비자에게 부담시키니 박스당 만원가까이 비싸지는 경우도 흔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비싸면 좋겠지. 하고 사먹는 소비자가 많고, 그렇기 때문에 마트상품이 가격이 착하다는 말이 나오게 되는 이유가 되죠.


대체로 농협이나 대형유통업체와 계약해서 재배하고 선별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꼼꼼하게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일이 많을수록 선별기에 넣고 돌리고, 육안으로 상한상품만 골라내는 정도죠. 분명 개인업자가 개인브랜드를 내 거는경우가 믿을 수 있긴 합니다. 그 가격차이가 XX일 뿐...


여러분들 주변에 보시면, 산지직송이나 아는분들에게 부탁해서 제철에 농산물을 사는분들이 많이 있을겁니다. 그 이유가 저런것에 있어요.

값이 저렴한 상자는 늘 그 선별의 부정확함의 리스크를 담고있기에 쌉니다.


컴퓨터로 치자면, 한성뽑기를 하는것과 같은 의미랄까요.



4인가족 이상이고, 보관할 장소가 충분하다면 여행가다 들리는 곳, 혹은 좋다 소문나서 들러보고싶은 곳 등에서 직접 거래를 트고 제철마다 배송을 받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마트에서 구매하게 된다면, 단가가 일률적이므로 가장 형태가 정갈하고 중간크기의 단단한 제품을 사는것이 좋습니다. 그런것들이 많다면, 때를 잘 맞춰 가신겁니다.


청과상이나 시장을 가신다면 주의하셔야 합니다. 값이 싸다면 7할 이상의 확률로 수입산입니다. 박스나 상인의 말, 혹은 부착된 스티커등은 모두 믿을 수 없습니다. 그것, 인터넷 주문하면 다 옵니다 ㅠㅠ..



품목별로 고르는 방법을 문의하시면 따로 답변 드리겠습니다.


대체적으로 농산물은, 거래후 만족한 개인사업자> 농협> 대형유통> 재래시장 순으로 품질이 좋습니다.


아파트앞 등에 1톤트럭에 상품을 싣고 파는것들은, 농산물을 직접 고를 능력이 되지 않으신다면 눈길 주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그분들은, 본인이 농사지은것을 좀 더 좋은값을 받고 팔기위해 나오는 경우가 반, 판매시기를 놓쳐 상품성이 유지될 기간이 얼마남지않아 나온것이 반입니다. 샀더니 이틀만에 반이 썩었더라<같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무조건 비싸면 그만큼 품질은 좋습니다. 위에 말한대로, 각종 부대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행위, 품질보증기간을 확답할 수 없는 상품을 판매할 떄. 등 비양심적인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싸게 사는것을 더 좋아하고, 비싸게 샀는데도 불만족을 가질 수 있죠. 농산품 실명제를 알고 이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6줄요약

개인사업자=백화점>농협>대형유통마켓>재래시장 순의 품질.

뿌리작물은 단단함, 중간크기, 상처없음, 잘빠진몸매(?)

과일류는 색감, 마르지 않은 꼭지, 상처없음, 포스터에서 봄직한 몸매(?)

잎채소는 되도록 작고 어린것. 반찬류는 식당사이즈를 기준으로 하는것이 적당하고, 늘 크다는 느낌이 들지 않아야 좋은 것.

그밖의 밭작물 단호박, 수박 등의 껍질이 단단한 경우, 껍질의 일부분이 누렇게 변색된것은 신경쓰지 않아도 됨. 중요한것은 역시 꼭지, 무늬, 벌레구멍. (타격이 가장 확실하나,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 ㅠㅠ.)


Comment ' 8

  • 작성자
    Lv.3 si******..
    작성일
    16.01.01 16:55
    No. 1

    한쪽이 썩은 사과 , 까치가 파먹은 사과 ..물러져서 맛없을거같던 복숭아가 실제 훨 맛있던경우가 더많던데요 전..물론 상품성으로 치자면 한없이 0에 수렴하겠지만..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6.01.01 17:00
    No. 2

    예로드신것들은 팔 수 없는것들이고, 이것이 더 맛있다는 주변인의 말이 맛을 느끼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단단한 과일은 물러질수록 달고, 그것이 더 진행되면 썩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썩기직전, 썩는중의 과일의 당도가 높고 더 맛있다고 느끼는겁니다.

    조류가 먹은 과일은 사실 별 의미 없습니다. 먹기좋은 높이의 잘 익은것을 골라먹기때문에, 병충해에 맞먹는 새로인한 피해가 과일농가에선 상당히 큽니다.

    복숭아의 경우도 위와 같은경우죠. 실제로 단단한 과일을 상온에서 2일가량 보관하게되면, 흡사한 맛을 냅니다. 문제는, 구매당시 이미 신선하지 않은것을 구매했을 경우, 냉장보관을 잘 해 단단함과 색감은 유지했으나 신선도가 떨어져 빨리 상해버리기도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피리휘리
    작성일
    16.01.01 20:54
    No. 3

    외형적 결함있는.제품이 상등품보다.맛이.떨어진다시길래 적은.덧글입니다. 제입맛이.그런건진.모르겠지만 우리집이 복숭아.농사를.짓고 이전엔.사과과수원을.햇었거든요.상품으로 못쓰고 버려야될것들은 아까워서 한입.두입.먹고 버리는데 저런것들은 한입 더먹게 되더라고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1 무순
    작성일
    16.01.01 16:57
    No. 4

    작년에는 과일을 N포탈 농수산물 카페에서 사봤는데
    개인사업자라고 가격대비해서 품질이 다 좋은건 아니라는걸 배웠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78 대추토마토
    작성일
    16.01.01 17:03
    No. 5

    신뢰도가 없다는것이 (...)
    특히나 카페 등은 개인의 책임을 묻기 힘들고, 판매자가 시간과 노력을 거의 들이지 않아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이름값을 신경쓰지 않습니다 ;ㅅ;

    포털보다는 개인 사이트가 신뢰도는 소폭 높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청청루
    작성일
    16.01.01 18:40
    No. 6

    와, 엄청 잘 아시네요. 그러고보니 닉네임도 그렇고... 이쪽에 종사하시는 분이싱가 봐요? 역세 글은 잘 쓰시네요.
    근데, 개인사업자는 복불복입니다. 게다가 개인사업자의 경우 사려는 상품이 제철인지도 알아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경우도 쫌 있고요. (산지에서 일해봐서 앎)
    사실 판매자 입장에선 모든 비용을 소비자에게 부담시키지 않으면 모조건 손해라 그렇게 할 수 밖에 없기도 하죠.
    진짜, 소비자는 엄청 비싸게 사는데 판매자는 따져봤을 때 최저시급도 안되는 경우도 수두룩함.
    막막 엄천 따지자면 유기인증이나 농산물이력추적제도 알면 좋지만 매우 귀찮죠.
    음, 보충해서 설명하자면 대기업 브랜드처럼 어떤 인증이나 그런 기준으로 가입 할 수 있는 판매망이 있습니다. 예전에 일해본 농장이 여기 납품도 했는데 농장 관리 잘되는 곳은 상당히 품질이 좋습니다.
    근데, 대추토마토님이 글 쓴 부분이나 제가 좋다고 하는 그런 곳들은 금수저나 사먹을만하지 가격이... 2배는 된다고 봐도 큰 과장은 아닙니다.
    뱀발. 동생이 저번에 마트에서 무를 사오더니 중국산을 한국산이라고 속여 판다고 화를 내더군요. 어떻게 알았냐니까 흙이 위쪽 녹색 부분까지 뿌린 듯 묻어있었답니다. 흙 묻은 부분은 광합성이 안되서 하얗고 녹색이 더 맛있는데!

    개인브랜드의 경우 팬심 같은 게 있기도 해서 품질이 과장될 수도 있습니다.
    진짜 짱짱 좋은 상품은... 공짜입니다. 손님 오면 내주거든요. 물론 손주나 사위나 그런 가족손님.
    그리고 글에 나온 것처럼 뿌리식물은 토질=모양이기때문에 모양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버섯의 경우 특이한데... 송로나 송이 기타 인공재배가 어려운 버섯들을 제외한 다른 버섯들은 육안으로 봤을 때 이상만 없다면 다 품질이 비슷해요.(구별 불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3 유강한
    작성일
    16.01.01 19:33
    No. 7

    저희 집이 버섯 농사를 해서 작게 나마 소심하게 달아봅니다 ㅎㅎ
    버섯 같은 경우에는 경매장에 가시면 품질이 나누어 지는데, 이게 맛과 저장성에 연관이 많이 됩니다. 왜냐하면 버섯을 키울시 그 환기, 습도, 조명, 톱밥, 종균 배양 등 모든 과정에 있어 들인 노력과 성과에 따라 버섯의 품질이 정해지거든요. :)
    그리고 하나 더 말씀드리자면, 겉 포장이 좋고 버섯이 좋은 경우도 많지만 그렇지 않는, 포장은 좋으나 버섯이 좋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개인판매자도 말씀하셨는데, 이 경우도 정말로 좋은 양심적인 분도 있는데, 양심을 속이는 사람도 많습니다. 그래서 영세한 소농인 저희 집은 고민이 많습니다. 광고비나 홍보비는 부족하고 품질로만 승부하려고 하는데, 알려지지가 않아서 쉽지가 않네요.
    지나가다가 공감이 되기도 하고 그래서 댓글 달고 갑니다. :)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39 청청루
    작성일
    16.01.02 03:05
    No. 8

    와, 버섯이다! 버섯 육안으로 품질 구별하기 힘들던데 비결 좀 전수해주세요. 흠 없는거야 당연한 거지만 좀더 잘 보는 방법은 모르겠어서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7521 레이드물 재밌네요... +6 Lv.25 시우(始友) 16.01.02 1,419
227520 문피아 흥해라 +3 Lv.77 wiseinve.. 16.01.02 1,287
227519 [현대물] 다 때려부수는 소설좀 추천해주세요... +5 Lv.61 redNblue 16.01.02 1,255
227518 농산물이야기가 나오는데 과일에 대해서만 알려드릴께요... +18 Lv.65 자이스 16.01.02 1,803
227517 환생좌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8 Lv.65 ovs 16.01.02 1,992
227516 플레티넘 추천 부탁드립니다. +4 Lv.49 미르네 16.01.02 1,030
227515 돌아온 표도르 견적 파악? 이제 시작이라고 전해라 +4 Personacon 윈드윙 16.01.01 1,096
227514 잠이 관리가 안 되네요. +5 Personacon 자공 16.01.01 1,233
227513 1/1일에 병신같은 일이 일어남. +14 Lv.52 사마택 16.01.01 1,486
227512 왜 문피아는 게시판지기를 고용하지 않나요? +5 Lv.51 chonsa 16.01.01 1,275
227511 판타지 영지물 추천해주세요 +6 Lv.70 innovati.. 16.01.01 3,899
227510 얼어붙은 싱 자이딥, 표도르 명성에 주눅? +2 Personacon 윈드윙 16.01.01 917
227509 판무 소설은 왜이렇게 장편이 많나요? +12 Lv.25 필수잼 16.01.01 1,279
227508 이번 이벤트상품 너무귀엽지않나요?허허 +7 Lv.99 낙시하 16.01.01 1,146
227507 일반문학은 접해 보지 못했는데 문장이 아름다운 소설은 ... +11 Lv.1 [탈퇴계정] 16.01.01 1,590
» 좋은 농산물 고르기. 맛과 가격에 대해. +8 Lv.78 대추토마토 16.01.01 1,297
227505 네크로맨서물의 범람 +14 Lv.41 우울할때 16.01.01 1,545
227504 아, 일반소설.... +3 Lv.61 손님온다 16.01.01 772
227503 kt 병신년 '전 LG 트윈스'에 달렸다? +2 Personacon 윈드윙 16.01.01 983
227502 환생좌 필력 괜찮나요? +28 Lv.25 필수잼 16.01.01 1,703
227501 설날부터 병신년 아닌가요? +4 Personacon ANU 16.01.01 1,034
227500 스타워즈7은 조지 루카스 감독의 시나리오가 아니네요 +13 Personacon 二月 16.01.01 1,048
227499 우리동네는 아직도 소위 \"사랑의 매\"가 통해서... +4 Personacon 핫바맨 16.01.01 904
227498 일반화 할 필요가 없습니다. +5 Lv.39 청청루 16.01.01 895
227497 설정오류와 기대치는 다른 문제 +4 Lv.60 카힌 16.01.01 1,083
227496 이상한 선생들 아직도 많아요. +18 Lv.52 영점일 16.01.01 999
227495 새해복많이들받으세요 +1 Lv.63 가출마녀 16.01.01 788
227494 새해입니다. +3 Personacon NaNunDa 16.01.01 725
227493 새로운 2016년 +4 Lv.6 [秀] 15.12.31 732
227492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1 Lv.56 am**** 15.12.31 577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