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Personacon 윈드윙
작성
15.10.12 13:08
조회
797

프로농구 전주 KCC가 위기에 빠졌다. KCC는 지난 10일 잠실학생체육관서 열린 2015-2016 KCC 프로농구 2라운드 경기에서 서울 SK에 92-86으로 패했다. 1쿼터에서만 접전이 벌어졌을 뿐 이후 SK에게 일방적으로 끌려 다닌 끝에 무너졌다. SK가 막판 주전들을 대거 빼며 느슨하게 플레이하지 않았다면 점수 차는 더 벌어졌을 것이다.

부산 kt에 대패를 당한 데 이어 SK에게까지 패배를 기록. KCC의 행보에 빨간불이 켜졌다. 두 팀 다 기본적인 전력에서 KCC보다 강한 팀임은 분명하지만, 이전까지 5연승의 상승세를 탔다는 점을 참작한다면 아쉽기 그지없다.

SK는 막강한 전력을 활용해 시종일관 KCC를 맹폭격했다. 삼성 소속 리카르도 라틀리프(26·199.2cm)와 함께 올 시즌 최고 외국인 센터로 꼽히는 데이비드 사이먼(33·203cm)은 공수 양면에서 KCC 포스트를 유린했으며 드웨릭 스펜서(33·187.2cm) 역시 강력한 돌파에 정교한 슈팅능력까지 선보이며 빼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거기에 김민수, 박승리, 이승준 등 '혼혈군단'도 좋은 활약을 펼쳤다. 특히 KCC만 만나면 펄펄 나는 김민수는 이날도 19득점(3점 슛 3개), 8리바운드로 맹위를 떨쳤으며 박승리 역시 16득점(3점 슛 3개), 5리바운드를 선보이며 뒤를 받쳤다. 이렇듯 선수 구성만 놓고 보면 SK 역시 올 시즌 우승후보로 손색이 없다는 평가다.

계륵이 되어버린 고연봉-저효율의 김태술, 하승진

기사 관련 사진
 현재의 하승진은 과거의 하승진이 아니다. 공수에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 전주 KCC

 

KCC의 연패는 1라운드에 패배를 기록했던 팀들에게 또다시 당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대비책을 세워서 경기에 나섰을 것이 분명하지만 2경기 모두 변변한 반격 한 번 펼쳐 보이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고배를 마셨다. 전력 차이는 고려한다 해도, 팀 전술과 밸런스 부분에서의 문제점은 짚어야 한다.

공교롭게도 KCC는 하승진(30·221cm)과 김태술(31·180cm)이라는 두 빅 네임이 돌아오면서부터 상승세가 끊겼다. 두 선수에게 모든 책임을 전과할 수는 없겠지만, 이 둘의 저조했던 활약과 그로 인해 무너진 팀 조직력을 고려해야 한다. 하승진, 김태술이 복귀한 후 KCC는 1승 2패에 그치고 있다.

이전까지 잘 나갈 때의 KCC는 전태풍(35·178cm), 안드레 에밋(33·191cm), 리카르도 포웰(32·196.2cm)을 중심으로 신명호(32·183cm), 김태홍(27·193cm), 정희재(24·195cm), 김효범(32·195cm) 등이 알토란같은 활약을 해줬다. 특히 별반 기대하지 않았던 김효범-김태홍-정희재로 이어지는 '김태희 트리오'는 팀 상승세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이런 상황에서 김태술, 하승진이 가세했다는 것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에 충분했다. 하지만 그들은 복귀 첫 경기에서만 어느 정도 역할을 해줬을 뿐, 이후에는 '엑스맨'으로 돌변해 좋았던 분위기까지 흐트리는 주범이 되고 말았다.

KCC에서의 김태술은 KGC 인삼공사 시절 잘 나갈 때의 그가 아니다. 국내 몇 안 되는 정통 포인트가드인 김태술은 노련한 게임 리딩과 속공 전개는 물론 준수한 외곽 슛까지 겸비한 1번이었다. 질풍 같은 속도로 상대 수비를 뚫고 올려놓는 레이업과, 빈틈만 보이면 적중시키는 미들 뱅크슛은 전가의 보도였다.

하지만 최근의 그는 과거의 슈팅력을 잃어버렸다. 터프 샷은커녕 오픈찬스에서도 번번이 슛을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신명호와 함께 상대 팀들에게 '버리는 수비'의 표적이 되고 있다. 그로 인해 좋았던 패싱 능력마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발도 느려져 빠른 상대 가드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전태풍의 부담을 덜어주기는커녕 외려 부담만 가중하고 있다고 보는 게 맞다.

하승진은 더욱 심각하다. 예전처럼 포스트에서의 높이와 힘으로 상대를 압도하기는커녕 구멍이 되어 버린 지 오래다. 골 밑에서 쉬운 득점기회가 나도 제대로 성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한 것을 비롯해, 빅 맨의 주 역할인 리바운드와 박스아웃에서도 큰 역할을 못 해주고 있다. 공격과 수비에서 자기 몫이 안 되는 상황이다.

한창 때의 하승진은 골 밑 근처에서 '잡으면 한 골'이었다. 외국인 선수 포함 최고의 신장에 탄탄한 육체까지 보유하고 있는지라 포스트에서의 높이, 몸싸움에서 압도적인 위력을 발휘했다. 하지만 공익근무 후 살을 빼고 돌아온 하승진은 예전의 위력을 완전히 상실해버렸다.

약점인 느린 발과 취약한 기술은 그대로 가진 채 골 밑 몸싸움에서도 밀리기 일쑤다. 그러다 보니 신장이 작은 선수들이 적극적으로 막으면 중심을 잃고 어찌할 줄을 모른다. 거기에 오랜 시간 농구를 했음에도 그 흔한 페이크 동작마저 하지 못할 정도로 노련미도 없다. 이럴 경우 골 밑에서 공을 잡으면 최대한 안정적인 자세로 정직하게 골밑슛을 넣어야 하지만 상대의 수비를 의식해 불안정하게 공을 던지기 십상인지라 성공률이 매우 낮다.

높은 신장을 활용한 리바운드도 예전 같지 않다. 골 밑 위치선정에서 갈피를 못 잡을 뿐더러 몸싸움도 밀리고 어쩌다 리바운드를 잡더라도 손에 기름을 묻힌 양 그래도 놓쳐버리기 일쑤다. 이는 공격 시에도 마찬가지인지라 동료가 어시스트를 넣어줘도 흘리는 경우가 한 두 번이 아니다.

가장 큰 문제는 수비다. 발이 느린 하승진은 일대일로 자신의 매치 업 상대를 제어하지 못한다. 상대 선수는 하승진의 약점을 너무 잘 알고 있는지라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외곽 슛, 미들 슛을 쏴버린다. 어차피 하승진이 따라 들어오지 않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행여나 하승진이 슛을 방해하러 접근하면 손쉽게 돌파를 하면 된다. 최근의 하승진은 적극성까지 잃은 지라 상대가 슈팅 자세를 잡아도 멍하니 쳐다보거나 무기력하게 손만 들어줄 뿐이다.

이에 추승균 감독은 맨투맨 수비가 아닌 지역방어를 적극적으로 쓰고 있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상대 팀들에게 소나기 외곽 슛을 얻어맞고 있다. 예전에는 신명호, 강병현, 임재현 등 발 빠르고 활동량 많은 선수가 하승진으로 인해 생기는 공간까지 책임져주었지만 현재는 신명호 외에 그런 타입의 선수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 2경기에서 있었던 수비붕괴에는 이러한 이유가 크다.

그래서 팬들은 급하게 김태술-하승진을 쓰려고 하지 말고 우선은 좋았을 때의 라인업 위주로 경기를 풀어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빅 네임에 고액연봉자인 둘을 아예 안 쓰기는 힘들지만, 식스맨으로 기용하며 몸 상태가 돌아올 때까지 준비를 시키는 것도 나쁘지 않다. 더불어 둘의 역할을 대폭 축소해 현시점에서 가능한 플레이만 펼치게 하는 것도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자칫 둘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않고 이름값 위주로 라인업을 짜다가는 잘 만들어놓았던 팀플레이마저 붕괴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문피아 독자 윈드윙-


Comment ' 2

  • 작성자
    Lv.61 르와인
    작성일
    15.10.12 19:14
    No. 1

    전과 -> 전가
    연봉을 5억씩 받는 선수들이 다른 팀 백업만도 못한 플레이를 하고 있으니 보는 입장에서 속터지죠. 5억을 받든 10억을 받든 안쓰는게 나아 보여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Personacon 윈드윙
    작성일
    15.10.13 12:42
    No. 2

    슬픈현실이죠 ㅠ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6058 작가 이름 클릭하면? +4 Personacon 水流花開 15.10.14 662
226057 정치얘기는 아니고.. 근데 정치이야기는 많이 할 수록 좋... +16 Lv.45 호우속안개 15.10.14 735
226056 서민이 힘든 이유 간단 설명 +13 Lv.55 짱구반바지 15.10.14 790
226055 독특한 생각이란 +9 Lv.34 볕들날 15.10.14 590
226054 아무리 생각해도 난 너를. +1 Lv.58 휘동揮動 15.10.14 766
226053 패딩 도착! +2 Lv.55 짱구반바지 15.10.14 679
226052 가계밎 증가, 가까운 미래의 우환 +28 Lv.60 카힌 15.10.14 886
226051 애니와 만화책의 후유증 +10 Lv.61 소요권법 15.10.14 979
226050 요즘 문피아 관리 안하나 보내요 +4 Lv.86 백지 15.10.14 972
226049 학교생활 빠르게 주행 중 입니다.... +8 Lv.19 ForDest 15.10.14 916
226048 역대 최단기간에 갔네요. +13 Lv.92 흑색숫소 15.10.14 886
226047 정치이야기를 정담에서 금하는건 그 결과가 뻔하기 때문... +10 Lv.78 대추토마토 15.10.14 765
226046 소설들에서 경화를 쓰며 교환비율이 고정되어 있는 걸 보면 +8 Lv.18 터베 15.10.14 867
226045 문피아는 돈을 벌기 위한 공간 +25 Lv.51 한혈 15.10.14 1,010
226044 요새 왜 이렇게 정치얘기들이 많이 보이죠? +14 Lv.63 vapori 15.10.14 798
226043 교통법이 너무한듯.. +11 Lv.55 짱구반바지 15.10.14 653
226042 고소왕도 고소를 당했네요. +10 Lv.8 [이후] 15.10.14 1,114
226041 로드FC ‘제2의 권아솔’ 김승연, 최종 검증은 그래플링? Personacon 윈드윙 15.10.14 670
226040 님의 침묵 - 한용운 +9 Lv.44 키르슈 15.10.14 874
226039 SilverLion(slbook3567)님을 불량이용자로 등재합니다. Personacon 정담지기 15.10.14 1,059
226038 내 머리속은 뒤죽박죽,,,, +3 Lv.81 자등명 15.10.14 617
226037 신인최대어 문성곤, '하승진 부활'의 열쇠 될까 Personacon 윈드윙 15.10.14 730
226036 정치 얘기, 어디서 가능할까요? +20 Lv.51 홍시는감 15.10.13 869
226035 질문입니다 +1 Lv.99 OTlL 15.10.13 663
226034 일주일에 하루씩 투자해서 할만한게 뭐가 있을까요? +16 Lv.1 [탈퇴계정] 15.10.13 994
226033 최근 논란이 된 캣맘 사건을 보며 떠오르는 일 +26 Lv.49 미르네 15.10.13 1,358
226032 호루스의 반지 광고에서 '공자로 다시 태어난'이란 문구 ... +6 Lv.96 강림주의 15.10.13 1,080
226031 질문 이쪄욤 !! +3 Lv.99 미에크 15.10.13 872
226030 어제쯤인가 당일가입아이디로 추천글..이거 본인이삭제한... +10 Lv.1 [탈퇴계정] 15.10.13 838
226029 기사 옆에 수종드는 애들을 뭐라고 하지요? +13 Lv.40 자섬풍 15.10.13 976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