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제목이 주는 아쉬움 '아수라'

작성자
Lv.5 阿修羅
작성
03.11.25 03:12
조회
1,415

바로 반말 들어갑니다.(^^ 표절이라 묻지 마시길...)

인도 신화에서 선신(善神)들의 적(敵)에 대한 총칭.

아소라(阿素羅) ·아소락(阿素洛) ·아수륜(阿須倫) 등으로 음사(音寫)하며 수라(修羅)라고 약칭하기도 한다. 비천(非天) ·비류(非類) ·부단정(不端正) 등으로 의역하는데, 천룡팔부중(天龍八部衆)의 하나로서, 귀신의 한 동아리로 친다.

그러나 어원적(語源的)으로는 페르시아어의 아후라(ahura)와 같은 말로 신격(神格)을 뜻하며(예:아후라 마즈다), 인도의 여러 신들 중 바루나나 미트라는 옛날부터 아수라라고 불리었다.

아마도 인도 아리아인(人)이 신앙하는 신격 가운데 아수라의 일군(一群)과 데바[天]의 일군이 있어 인드라를 비롯한 데바의 무리가 제사의 대상으로서 우세해짐에 따라, 아수라가 마신(魔神)으로 취급된 것으로 추측한다(페르시아에서는 다에바스가 마신이다).

불교에서는 육도(六道)의 하나에 아수라도(阿修羅道)를 꼽고, 전쟁이 끊이지 않는 세계로서 설명한다(예:수라장 등). 조각에서는 삼면육비(三面六臂)를 하고 있고 세 쌍의 손 가운데 하나는 합장을 하고 있으며 다른 둘은 각각 수정(水晶)과 도장(刀杖)을 든 모습으로 표현된다.

이상이 검색으로 찾아 낸 아수라에 대한 설명이다. 그리고 이런 설명은 저의 별호가 아수라인 관계로 이미 알고 있던 내용들이기도 하다. 조금 더 추가한다면 제석천과의 전투에서 항상 패하지만 거기에 굴하지 않고 계속해서 전투를 벌인다는 것과,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것처럼 악신(惡神)만 있는 게 아니라, 선신(善神)도 있다는 것이다.  

허나 아수라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은 선신의 어감은 아닐 것이다. 아수라의 이미지로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바로 만화 마징가 제트의 아수라 백작일 것이다. 양면성을 가진 인물...! 파괴적이고 처절하고 비장미가 넘치는 이미지가 바로 아수라 인 것이다. 결코 착하지도 않고, 또 착해서도 안 되는 인물, 바로 그게 아수라 인 것이다.

필자가 한수오의 '아수라' 라는 작품을 처음 대면했을 때도 바로 그런 이미지를 떠 올렸었다. 그리고 반드시 아수라인 내가 읽어야 할 작품이라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조금의 기다림에 이어 며칠전에서야 비로서 5권까지 입수하였고, 기대감으로 첫 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작가가 서문에서 밝히기를 주인공 단엽강이 왜 아수라가 되어야만 했는지를 표현하고자 한다고 했다. 그렇게 알고 시작했다.

초반부분은 그런대로 비장미가 흐르고 있었다. 단엽강의 고난이 제대로 그려졌다. 아버지의 억울한 죽음,누이의 자결,배신과 음모속에 쫓기는 주인공 단엽강...! 그리고 복수를 다짐한다. 세상이 나를 속이기 전에 내가 먼저 속이겠다고 다짐한다. 아무도 믿지 않을테니까 속을 일도 없다고 한다. 그리고 무조건 살아남기로 한다. 그러고 나서 신권과의 만남...! 녹림행...! 지산칠호의 제자가 되어서 본격적인 무공수련 과정...! 또한 남천궁과 장강십팔타의 추격을 뿌리치고 도주하는 과정 등등이 나름대로 재미가 있었다. 그렇게 초반은 무리 없이 흘러 갔다. 그러나 중후반부...즉 4권부터 뭔가 알 수 없는 실망감이 젖어 들기 시작했다.

그 실망감은 이 작품의 제목에서부터 기인하는 것이다. 알다시피 이 작품의 제목은 '아수라'이다. 작가는 주인공 단엽강이 아수라로 변해가는 과정을 그리고 싶어했다. 허나 그 과정은 너무나도 천편일률적인...어쩌면 여타 다른 무협소설과도 같은 과정으로 흘러가고 있었다. '아수라'라는 제목만 빼고 본다면 다를게 전혀 없다. 그렇다면 왜 '아수라' 라는 제목을 붙였을까? '아수라'의 이미지는 전혀 그렇지가 않다. 오히려 주인공은 '아수라'의 이미지에 절반도 못 미치게 표현되고 있었다. 4권 부분은 단엽강이 비천문이라는 문파를 세우고 자신의 힘을 키워 나가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5권까지 이어진다. 과연 이 작품은 몇 권을 예정하고 있을까? 이런 식으로 간다면 10권이 아니라 15권도 모자라다.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되지 않는 한 제가 생각하고 범인들이 생가하는 '아수라'의 이미지는 실패 할 것이라는 생각도 드는 건 사실이다.        

누군가가 처절하게 죽어야만 하는 것일까? 아니면 단엽강에게 처음의 고통과 시련보다 더한 시련이 기다리고 있는 것일까?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면 단엽강은 결코 '아수라'가 될 수 없는 인물이다. 오히려 그는 건방지고 안하무인이며 자신밖에 모르는 비정한 인간인 척 하지만 알고 보면 누구보다도 정에 굶주린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 것은 자신의 직전사부라 할 수 있는 지산칠호 반조의 죽음에서 잘 나타난다. 반조가 일행의 퇴로를 확보하기 위해 살신성인의 행동을 할 때 단엽강은 너무나도 괴로워 한다. 표면적으로는 힘이 없어서 사부를 구하지 못 하는 자신을 원망하지만 실은 그게 아니라 사부와의 정 때문이다. 정(情)...! 이 것이야 말로 '아수라'가 가지는 제목의 느낌을 일장에 부셔버리는 게 아닐까?  후반부에 누군가가 말한다.

" 단엽강...저 아이는 겉으로는 냉정해 보이지만 사실 속은 무척 여린 아이다.그래서 쉽게 거절을 못 하지..."

속이 여린 아수라...?

물론 '아수라'는 선신도 있지만...여기서는 아니 것 같다. 이 작품에서 '아수라' 철저한 악신이어야만 한다. 허나 아쉽게도 단엽강은 그 악신은 못 되는 것 같다. 이 점이 너무나도 아쉬운 부분이다.  과연 작가가 후반에 어떻게 풀어 나갈지는 모른다. 아직 결말은 나지 않았다. 고대 신화속의 '아수라'는 '제석천'에게 연신 패하면서도 도전한다. 그러면서 증오와 한을 품는다. 이 작품에서 '제석천'은 과연 남천궁인가..북정련인가...? 아직도 그들 사이에는 이렇다 할 충돌이 없다.

'아수라'....철저한 악신으로 태어나길 기대면서 두서없는 글 마치려 한다.  

피에수: 1권에서 나타나는 적지 않은 수의 오타 탈자 틀린 맞춤법이 눈에 거슬리긴 하지만 뒤로 갈수록 나아졌다. 허나 그런 부분이 나올 때마다 정독의 호흡이 끊어지는 아쉬움만은 어쩔수가 없었다.  


Comment ' 4

  • 작성자
    Lv.99 Sevensta..
    작성일
    03.11.25 04:03
    No. 1

    글쎄요... 아수라를 꼭 비정한 악신으로 생각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요..
    제가 아는 아수라는.. 악신이라기 보다는 전신이라는 의미가 더 좋더군요.. 전신 혹은 투신 이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悲天舞
    작성일
    03.11.25 14:19
    No. 2

    그 책 뒤에보면 구구절절 얘기하고 그는 절대 정을 버릴수 없다...따위의 말이 나오죠. 아마 작가님은 그냥 겉은 차갑지만 속은 따뜻한 우리가 많이보는 무협의 주인공을 또 다른 모습으로 그리고 싶었던게 아닐까요.
    나름대로 글이 흘러가면서 주인공 성격이 크게 변한거도 아니고요. 첨부터 말투만 싸가지 없을 뿐 주인공은 정에 약한 모습을 보이죠. 그리고 아수라란 제목이라고 꼭 잔혹할 필요는 없죠.
    주인공의 정에 약한 성격을 더 부각시키는 제목이 아닌가 싶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素40166
    작성일
    03.11.27 04:15
    No. 3

    제가 읽은 아수라는 행동도 적당히 잔인해서 잔인한 인간도 내면에 흐르고 있는 정도 있다라는 제목상의 작가의 의도를 살리지 못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앙왕
    작성일
    04.05.21 14:07
    No. 4

    제목에 대한 아쉬움이 남긴합니다.
    글은 재미있고 수작이라고 생각되지만,제목이 주는 아쉬움은 어쩔수가
    없는듯 싶네요.
    '아수라'라는 제목때문에 선뜻 손이 안가는것은 제목에서 풍기는 암흑,어두움,칙칙함등이 연상되기 때문인데,내용을 살펴보면 아수라라는 제목과는 다른 부분들이 많은게 사실이니까요.
    오히려 극중 단엽강의 '옥면수라'라는 제목이 훨씬 나을것 같군요.
    '아수라'는 한마디로 악귀중에 악귀를 말하는것이라면 '옥면수라'는 한사람의 일대기를 그런것이라는 암시를 줄수 있기 때문이겠죠.
    글내용도 내용이지만 좀더 사람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자면 그 이름이 더 낫지 않았을까 다시한번 생각해봅니다.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033 무협 2% 부족한 大作.... 설봉의 '사신' +8 Lv.8 김휘현 03.11.26 2,847 0
2032 기타장르 군림천하 11권을 읽고.. +6 염혼묵비 03.11.26 3,984 0
2031 무협 GO퓨전란의 '21세기무인'을 추천합니다. +2 Lv.69 흑색 03.11.26 1,654 0
2030 무협 진산의 데뷔작. 광검유정. +11 Lv.33 로르샤흐 03.11.26 1,836 0
2029 무협 원제-지옥도 재간제목-붉은나비혈접인 +1 Lv.81 늙은피터팬 03.11.25 1,162 0
2028 무협 일검쌍륜 1,2권을보고... +2 Lv.4 퐁풍퓽 03.11.25 1,123 0
2027 무협 김도진님의 <창천무한>을 읽고. +8 Personacon 검우(劒友) 03.11.25 1,851 0
2026 무협 정상수님의 <청천백일>을 읽고. +1 Personacon 검우(劒友) 03.11.25 1,476 0
2025 무협 군림천하 11권 +6 Lv.2 광한지 03.11.25 2,313 0
2024 무협 [감상/추천] 고검님의 구대마인. +6 설월화조 03.11.25 1,397 0
2023 무협 천도비화수1,2권을 보고... +4 Lv.4 퐁풍퓽 03.11.25 956 0
2022 무협 군림천하 11권을보고... +9 Lv.4 퐁풍퓽 03.11.25 2,200 0
2021 무협 또다시 학사검전 +7 Lv.1 이길조 03.11.25 1,505 0
2020 무협 정말 좋은 작품인데 추천하고 싶습니다. Lv.91 범도 03.11.25 2,322 0
2019 무협 유운지천하에 관해서 +2 Lv.99 에이스 03.11.25 1,226 0
» 무협 제목이 주는 아쉬움 '아수라' +4 Lv.5 阿修羅 03.11.25 1,416 0
2017 무협 삭제 +5 둔저 03.11.24 1,429 0
2016 무협 보표무적 +3 Lv.1 검모수 03.11.24 1,089 0
2015 무협 종린의 [용백전기]를 읽고... +3 Lv.5 짱똘망 03.11.24 1,529 0
2014 무협 검선봉황 - 추천 그러나 주의... +2 Lv.2 도시와별 03.11.24 1,556 0
2013 무협 '산동악가'이것이 용두사미라 할 수 있지않... +6 Lv.1 悲天舞 03.11.24 1,936 0
2012 무협 보표무적 - 강하지만 강하지 않다 +1 『GUIN』 03.11.24 1,144 0
2011 무협 쩝..청천백일.... +5 화화[畵華] 03.11.24 1,614 0
2010 무협 학사검전 1,2권 +7 外在 03.11.23 1,810 0
2009 무협 내공이 높은 몇몇 분들이 무협평론을 해주... +6 Lv.1 이길조 03.11.22 1,645 0
2008 무협 [강추]패왕초이 +2 Lv.58 허공 03.11.22 1,860 0
2007 무협 진룡강신검을 읽고.. +5 Lv.1 달에게묻다 03.11.22 2,281 0
2006 무협 천도비화수에 두번 놀랐다. +12 Lv.23 어린쥐 03.11.21 2,714 0
2005 기타장르 무상검에 대한 소견... +1 Lv.1 박정현 03.11.21 1,187 0
2004 무협 요재지이-중국지괴소설 +6 류하연 03.11.20 1,497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