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26 바람과불
작성
15.08.10 07:34
조회
1,111


한담란에 담배가 건강에 안 좋고

윤리적으로도 문제있으니

장르문학 작품에 높은 빈도로 흡연장면을 노출하면 안된다는

요지의 글을 읽고 반박하기위해

도박 술 담배와 동일선상에서 게임을 마약류라 규정하는

4대중독법안을 발의한 주체를 확인차 검색하다가

알게된 플래시몹이네요.


작년에 했다는데

돈 되는 거 아니면 관심사가 급격하게 쪼그라든 30대인지라

지금에서야 알았네요.

설마 다들 알고있고 저만 모르고 있는 걸까하는 두려움이 생깁니다.

그래도 영상보며 간만에 뭉클했으니, 뒷북이어도 올립니다.



http://youtu.be/FHcF_RWHamA


Comment ' 10

  • 작성자
    Lv.26 바람과불
    작성일
    15.08.10 07:44
    No. 1

    검색하다가 알게된 사실인데

    4대 중독법안을 주도적으로 발의한 여당의 S의원은
    최근 국제장애인게임관련행사애 참가하며 태세전환중이더근요.

    정신과의사 출신인데, 얼마전 개임은 중립적 도구로 볼 때 유익하다는
    공수전환의 극한을 보여주는 발언을 해서.... EPL같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6 바람과불
    작성일
    15.08.10 07:45
    No. 2

    링크 하나 더 제시합니다.

    작년 광화문에서 게임OST를 오케스트라로 연주한 플래시몹 영상입니다.

    저는 3분에 나오는 스타크래프트 테란테마곡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http://youtu.be/U0ONK7L1fFg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4 카르샤니안
    작성일
    15.08.10 07:48
    No. 3

    한담 글 적으신분은 의미 없이 흡연장면이 나오는 것을 지적하셨다고 전 봤습니다.
    담배 자체가 건강에 좋은 것이 아닌데, 글 내용상 의미있게 등장하는 것이 아닌.. 무의미하게 밥먹고 담배, 술마시고나서 담배, 길가면서 담배.. 이렇게 의미 없이 그냥 담배 피우는 내용이 너무 자주 나오는것을 이야기 하셨다고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4 카르샤니안
    작성일
    15.08.10 07:51
    No. 4

    한담의 글쓰신 분의 내용중에 이렇게 적혀있지요.

    "모 소설에서 처럼 힘들어서 담배피고 밥먹고 식후땡 자고 알어나서 아침땡 길가다가 잠시 피고 즐거워서 피고 숨을 쉬어서 피고 폐가 튼튼해서 피고 살아있으니까 피고.. 하면 과연 저 주인공은 담배를 피기위해 태어난건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분명 영화에서 처럼 멋지고 뭔가 퇴폐적인 분위기를 흡연이라는 요소를 통해 제법 잘 표현한 글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런글들은 거부감이 덜하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26 바람과불
    작성일
    15.08.10 08:35
    No. 5

    장문으로 쓰다가 태블릿 전원이 나가 가급적 간략하게 말씀드립니다.

    1. 작가는 흡연자에 대한 세상의 시선을 알고나 쓰는지 모르겠다는 윤리적/주관적 가치판단을 전제로 한 지양하자는 논조를 담는 부분.

    2. 폐활량 감소 기억력감퇴 의지력(?) 저하 등의 건강상의 문제가 있음에도
    내일을 위해 담배를 산다는 캐릭터 나오면 선작 취소한다는 부분.

    한문장으로 요약하겠습니다.

    [흡연자에 대한 세상의 평가가 부정적이기에
    그리고 건강에 좋지도 않은 담배를
    내일을 바라는 캐릭터가 흡연자로 등장하는 건 내가 선작을 취소할 정도로 말이 안된다.]

    저는 여기에 흡연자가 / 흡연장면이
    장르문학작품에
    세간의 평가와 당신의 호오에 상관없이 등장해도 된다.

    라고 말한 겁니다.

    지금 이후의 대댓글은 저녁에 할 예정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3 소멸한개념
    작성일
    15.08.10 09:12
    No. 6

    한류랍시고 문화컨텐츠로 외국에서 돈번거 계산해보면 게임으로 번게 상당히 액수가 많았죠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6 바람과불
    작성일
    15.08.10 18:13
    No. 7

    통계를 보니 컨텐츠 수출액의 52%를 게임이 차지하고 있다더군요.

    K-POP의 수백배에 해당하는 규모라고 하네요.

    정부 모인사가 대한민국의 높아진 위상을 말할 때
    K-POP을 사골처럼 쓰던데...

    수출액을 기준잡고 말하면 K-Gam[케이겜] 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서
    말하는 게 어울리겠네요.

    여가부 와 복지부 그리고 여당의 모의원주장대로라면
    우리나라는 엄청난 마약수출국이겠네요 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8 콤마쓰리
    작성일
    15.08.10 09:39
    No. 8

    게임산업의 규제는 시작은 바다이야기 덕택에 관심을 끌게 되서 불똥이 튄 경우입니다.
    게임 아이템거래가 1조가 가까울때까지 국가에선 무관심으로 대응하다가
    07년인가 08년인가 쯤에 바다이야기 덕택에 이쪽까지 관심이 몰리면서 소득있는곳에 세금있다라는 말로 세무청이 달려들었죠.그러면서 중독성 문제도 덩달아 나오기 시작한거구요.
    11년도에 여성부.문화관광부쪽에서 먼저 게입업계측에 게임중독치료 명목으로
    매출의 1% 세금을 제시하고 이게 받아들여지지 않자 바로 뒤에 나온 규제가 몇개 있는데 그중에 한가지가 셧다운제입니다.

    셧다운제가 청소년 (~16세)만 강제 셧다운이다보니
    국내게임업계측에선 셧다운이 실행되자마자 그주에 바로 엔씨소프트를 필두로
    주민등록번호가 필요없이 아이핀만 있으면 회원가입이 가능하게 해서
    청소년인지 성인인지 알지 못하게 하는식으로 버텼습니다.
    이 정책의 결과로 그때까지 지지부진하던 아이핀의 갑작스러운 대중화,넥슨의 일본이탈 가속화를 일으킵니다.
    엔씨소프트도 독일에서 세금의 40~60%인가 감면한다고 해서 넘어갈뻔 하다가 말았지요.
    넥슨은 2002년에 일본에 설립된 넥슨 일본기업(넥슨 재팬)과 넥슨 본사(한국)가
    2011년을 기점으로 넥슨 재팬-> 넥슨으로 승격, 넥슨 -> 넥슨 코리아 으로 격하되면서
    자연스럽게 2011년 12월 도쿄증권거래소 1부에 상장되면서 일본으로 넘어갔습니다.
    11년 11월에 셧다운 시작하고 한달만에 쿨하게 일본으로 돌아섬.
    또 2012년 6월을 기점으로 넥슨이 엔씨소프트의 최대주주가 되면서 여차하면
    엔씨도 위험하게 되었다가 년 초부터 경영권 참여한다고 하면서 두 회사의 밀월관계가 끝납니다.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6 바람과불
    작성일
    15.08.10 18:24
    No. 9

    얼마전 술자리에서 지인들에게 하던 얘기입니다.

    뛰어난 인적자원만 있으면 성장가능한 게임산업을
    정부가 뭣도 모르고 규제하니
    옮길 여력이 있는 게임회사들은 이미 타국으로 나갔거나
    나갈 생각을 하고 있다는 얘기였죠.

    게임을 비롯한 소프트웨어 그리고 더 나아가서 IT분야를 제껴놓고
    뭘로 창조경제하겠다는 건지..

    집권 3년차에 접어들어서야 자가당착을 인지하고 노선수정중인
    현정부가 너무 아마추어스럽습니다.

    게다가 7청까지 있게된 건설업계 카피캣스러운 IT업계구조와
    실력에 상응하는 보수체계가 확립되지 않고
    사람을 갈아넣어 납기만 맟추면 된다는 착취적 경영마인드에

    여력이 있는 개발자는 이미 타국으로 갔거나 갈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원청급에 해당하는 업체에 근무하는 분들 제외입니다.
    제 지인들중에 원청급 회사에 다니시던 분도
    자녀교육을 위해 수년전 타국으로 가신 분도 있긴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로맨틱
    작성일
    15.08.11 02:17
    No. 10

    이 영상 말고도 더 오래전에 스타1 테란 주제곡과 카트라이더 주제곡 등을 연주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래도 씨알 안먹히지만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4942 좀 지났지만 복거일의 <역사속의 나그네>가 완간되... +4 Lv.48 벼이삭 15.08.10 808
224941 기가 막히네요. +15 Lv.68 바리사 15.08.10 1,524
224940 현질헌터의 아쉬움.. +15 Lv.84 카르샤니안 15.08.10 1,414
224939 8월3일날 결제했는데 +2 Lv.77 faint 15.08.10 816
224938 1+1 골드 안들어왔다고 썻더니 글 지우네? +2 Lv.34 스로르 15.08.10 996
224937 검사가 주인공인데 제목이 뭔지 아시는분 +2 Lv.99 말하고싶어 15.08.10 947
224936 브라보 마이 라이프 -작가(어진바람) +30 Lv.41 홍당무1212 15.08.10 1,327
224935 원래 아이폰은 유료 못보나요? +5 Lv.42 전학생 15.08.10 903
224934 골드충전도 답답하네요 +1 Lv.60 카힌 15.08.10 802
224933 1+1이 설마 한번결제당 1+1인가요 +3 Lv.59 폭열 15.08.10 887
224932 글이 엇나가는 걸 볼 때마다 참으로 안타깝습니다. +7 Lv.28 호뿌2호 15.08.10 1,321
224931 골드 충전이 안되네요? 왜 그러죠? +2 Lv.81 칼슘듬뿍 15.08.10 904
224930 전자레인지에 관하여. +5 Personacon 그늘바람 15.08.10 883
» 여성가족부앞에서 롤드컵 OST 부르는 플래시몹영상 +10 Lv.26 바람과불 15.08.10 1,112
224928 일요일부터 지금까지 글 읽을수 없어요 +3 Lv.97 shon 15.08.10 1,013
224927 전 지금 이 시대에 태어난걸 다행으로 여깁니다 +4 Lv.12 12시호박 15.08.10 1,080
224926 문피아에 예의 없는 사람들 많네요 +29 Lv.96 아리수맨 15.08.10 1,500
224925 친한 회사 동료가 먼 길을 갔습니다 +4 Personacon 가디록™ 15.08.10 1,068
224924 문피아 정알 아닙니다 +2 Lv.73 武植 15.08.10 1,182
224923 외국어 잘하시는 분께 질문드려요 +8 Lv.45 매일글쓰기 15.08.10 944
224922 처음 이용해봅니다. +2 Lv.1 [탈퇴계정] 15.08.10 827
224921 유료소설 연재주기는 규정이 없나요...? +8 Lv.74 카마슈트 15.08.09 992
224920 이젠 자기가 돈 주고 산 작품글 몇줄 올리는 것도 문제가... +1 Lv.16 무명의낭인 15.08.09 1,127
224919 유료소설 중에 괜찮은 것 없나요 +16 Lv.46 흉갑기병 15.08.09 1,400
224918 기분 전환을 위해 이 노래를... Lv.57 사는이야기 15.08.09 862
224917 제가 선작 한 작품 중 하나 가 댓글 폭발이네요 ㅎㅎㅎ +8 Lv.67 사랑해달곰 15.08.09 1,309
224916 히오스 재미있는데 인기를 끌지 못하는 건 왜일까요. +10 Lv.39 청청루 15.08.09 1,532
224915 1+1 이벤트 마감이 다가왔습니다. +4 Lv.57 사는이야기 15.08.09 897
224914 한화에대한 뜬금없는 망상 +1 Lv.99 이통천 15.08.09 873
224913 (네타주의)보리밭의 기사 작가분은 드래곤만 연관되면 진... +37 Lv.96 강림주의 15.08.09 1,501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