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강호정담

우리 모두 웃어봐요! 우리들의 이야기로.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
15.02.11 09:27
조회
1,502

아무리 한적한 지방이긴 해도... 그래도 제가 20대였을 땐 이곳에 학원들이 즐비했습니다. 5층 건물에 학원이 7개가 들어앉아 있기도 했으니까요. 우리 집 앞 상가로는 학원과 피시방, 오락실, 문방구, 군것질거리 등이 넘쳐나던 거리였죠. 피시방도 20군대가 넘었고... 그리고 강사들을 위한 술집과 노래방, 치킨집 등 사람들로 북적이던 동네였습니다.

 

인터넷 강의다 뭐니 해도 사실 부모들이 자녀를 학원에 보낼만한 이유는 있었죠. 경쟁력에서 밀리기도 했지만, 가장 큰 요인은 애들이 줄었습니다. 어느 순간부터 아이들이 사라지기 시작하더군요. 학교로 치자면, 제가 고등학교 다닐 때만 해도 한 교실에 50명씩 북적거렸는데 요즘은 30명도 안 된다더군요. 우리 땐 부활동할 교실도 없어서 난리였는데, 이젠 빈 교실도 나오기 시작했구요.

 

학원이 망하고 그 다음 오락실, 피시방이 망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노점과 음식점이 망하죠. 동네 맛집들이 죄다 폰팔이로 대체되더군요. 정부의 청년 창업 유혹에 낚인 청년들이 폰팔이니 치킨집이니 5900피자집이니 뭐니 만들더니 3개월도 채 못 버티고 나가떨어집니다.

(분명 목 좋은 거리였는데, 1년만에 가계가 5번 바뀌는 것도 봤습니다. 떡볶이집->생선집->한의원->치킨집->현재는 맥주집이고요. 그것도 얼마나 갈런지는...)

 

그리고 결국 그 빈 자리에 교회가 다 들어서더군요. 요즘은 10m 단위로 교회가 하나씩 있어요. 저는 그쪽 분파를 잘 몰라서 구별할줄 모르지만, 이름이 다 다르게 쫙 깔려 있는거죠. 어찌보면 교회는 어른들의 학원이 아닐까 생각하네요. 뭐, 확실한 건 적어도 아이들을 위한 공간도 없고 아이들도 없다는 거죠.

 

그리고 그 아이들이 자라나면 국가를 먹여살리는 청년 인구가 됩니다. 청년층이 없다는 것은 가장 구매력이 큰 내수 시장 수요 창출자들이 사라진다는 것이죠. 기업가들이야 외국에 물건 팔면 된다고 생각할 테고 부자들은 상관없다 할지 모르지만, 한국 자본가의 부의 원천은 죄다 부동산이죠. 그 판 자체가 망하게 되기에 결국은 공멸하게 됩니다.

 

 부동산 거품은 실수요와 상관없이 계속 가격이 오르는 현상일 겁니다. 우리 동네 상가들, 희한하게도 땅값은 더럽게 비싸요. 1년만에 5개 가게가 문닫고 나가는데 말이죠. 그리고 땅값이 비싸니까, 조금만 장사가 안 되도 문 닫고 나가야만 하게 됩니다. 그리고 한국의 금융 시스템으론 그 책임을 개인 자영업자가 모조리 떠맡게 되죠. 정작 대기업들은 부도나면 국민 세금으로 메꿔주는데 말입니다.

 

 그렇게 부동산 가격이 오르다보니, 가장 큰 희생을 떠맡게 되는 건 집이나 가게터를 빌려야하는 청년들이죠. 가치에 비해 훨씬 비싼 값을 주고 땅을 얻어야 하니까요. 그리고 실제로 기존에 집을 사둔 장년층은 이 거품의 혜택을 조금 보긴 했습니다. 부동산 거품 아니었으면 어떻게 천만, 억 단위를 그렇게 쉽게 만져보겠습니까. 괜히 그들의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인 게 아니죠.

 

 하지만, 청년들 자체가 줄어들고 있으니 이들의 수요마저 사라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가까운 미국과 일본의 예를 들지 않아도 부동산 거품이 터질거란 것은 쉽게 알 수 있죠. 수요가 없는데 높은 가격이 왜 유지가 되겠습니까. 한번 폭락하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가 없을 겁니다.

 

미국이야 말할 것도 없고 일본은 원체 건실한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이었죠. 그런 일본조차 청년에 대한 투자를 줄이고 건설 경기나 불러일으켜보려다가 노령화 사회를 맞아 철저히 패망했습니다. 사회 간접자본은 이미 포화상태에 이르러 더 투자 효율도 없는데 건설업체들에게 돈만 퍼다 주었던 거죠. 그리고 그 건설업체들은 그 돈으로 미쳤다고 투자를 하겠습니까? 훨씬 효율 좋은 부동산 사업에 뛰어들겠죠. 모 대기업은 5년 사이에 순자산이 122조까지 불어났다고 들었습니다. 6배 이상 늘어난 거죠. 그리고 그렇게 부동산에 투자를 하니 청년들 일자리는 더 줄어들었죠.

 

이미 그런 선례가 있는데, 우리는 똑같은 길을 걷지 못해서 안달이 나 있는 거 같습니다. 결국 각자 자기 집 마당의 작은 이득을 지키기 위해 둑이 무너지는 걸 구경만 하고 있는 셈이죠. 가재도구가 다 쓸려내려가봐야 수해 무서운 지 알게 될까요.

 

그리고 그렇다보니, 사람들이 더욱 정치에 무관심해지는 거 같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성이 후진적이라 뭘 해도 안 바뀔 거란 생각이 팽배해있죠. 이런 악순환을 어떻게 끊어야 할까요...


Comment ' 10

  • 작성자
    Lv.61 정주(丁柱)
    작성일
    15.02.11 09:34
    No. 1
    비밀댓글

    비밀 댓글입니다.

  • 답글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02.11 09:38
    No. 2
    비밀댓글

    비밀 댓글입니다.

  • 답글
    작성자
    Lv.61 정주(丁柱)
    작성일
    15.02.11 11:24
    No. 3
    비밀댓글

    비밀 댓글입니다.

  • 작성자
    Lv.49 미깜
    작성일
    15.02.11 09:44
    No. 4

    부동산에 대한 것은.. 워낙 논란이 많죠..
    길게 보면 거품이 빠질 것은 당연한 것이나..
    지금의 추세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란 것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지요..
    어떤 사람들은 올해부터 당장 거품이 빠질 것이란 주장을 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몇년은 더 지속될꺼다란 말을 하기도 하지요..

    반대로 어떤 사람은 현재 우리나라의 주택증가율이 오히려 감소하고 있어서..
    괜찮다라는 말을 하기도 합니다..
    만들어지는 것보다 없어지는 주택이 많다면서요..

    앞이 명확하지 않는 이상은..
    사람은 최대한 안정적이면서도 수익이 날 수 있는 것을 찾기 마련이고..
    은행 이자가 2%가 될까말까한 이시기에..
    조금이라도 돈이 된다면 부동산에 투자할 수 밖에 없지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9 주판알
    작성일
    15.02.11 10:51
    No. 5

    지금상황에 부동산거품을 걷어낸다면 경제 공황옵니다. 괜히 경제부처 주요과제중하나가 부동산이겠어요. 집사라고 초저금리상품도 나오는 시대에요. 지금 장년층이 가진 부동산의 대부분이 대출끼고 산것일텐데 어느 정권이든 부동산에 대해선 지금 기조로 갈수 밖에 없어요. 아니면 더 혜택을 주던가할뿐이지. 이미 일본의 상황을 봤기때문에 더욱 부동산 대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도 있고 적던 많던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들이 주요 표밭이기에 정책을 그렇게 짜는것도 있다고 봐요.
    괜히 조물주 위에 건물주란 말이 있는게 아니죠.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2 구멍난위장
    작성일
    15.02.11 11:35
    No. 6

    괜찮습니다.

    국산 노예가 줄어들면 외국산 노예를 수입해올겁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41 가글님
    작성일
    15.02.11 12:05
    No. 7

    그래서 외노자들 수입정책 펴고 있습니다
    외노자 백만시대 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管産
    작성일
    15.02.11 12:16
    No. 8

    부동산 거품이 꺼지는 것 맞기는 하지만, 주택 가격 하락은 부동산 담보 대출에 의존하는 가계의 줄파산을 초래할 수 있죠. 가계에 대한 신용할당을 점차 줄여야 피해를 줄일 수 있을텐데, 가계소득이 늘지 않는다면 가계부채의 점진적 감소 자체가 안 되니..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5.02.11 13:12
    No. 9

    자리 안좋은 곳은 계속 망하더라고요. 달마다 바뀌는 것같은 기분도 드네요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2 만베르
    작성일
    15.02.11 21:10
    No. 10

    저도 같은 생각인데 우리 정부는 생각이 다르죠...
    출산율이 1.18명인가? 2명이 결혼해서 1.18명으로 줄어드는건데

    나라에서 가장 관리해야할게 출산율이고. 프랑스? 1.4명?인가 됬을때 비상사태 선포했다는 우리 나라님은 관심이 없으시죠

    기업들도 마찬가지고. 그들에겐 외노자가 있으니까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강호정담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9905 ‘송가연 보다 저돌적’ 박지혜, 유부녀 파이터 돌풍 예고 +10 Personacon 윈드윙 15.02.01 2,898
219904 옛날에는 없어도 잘 살았는데 말이죠 +6 Lv.55 짱구반바지 15.02.01 2,524
219903 아오. Personacon 엔띠 15.02.01 1,873
219902 요즘 작사에 빠져가지고.... +4 Lv.34 고룡생 15.02.01 2,139
219901 복고의 부활를 기다리며.... +7 Lv.34 고룡생 15.02.01 2,395
219900 최근 가장 잘 지른 품목은 제온인듯... +6 Lv.1 [탈퇴계정] 15.02.01 2,177
219899 화장해도 소용없다.. “女 매력포인트는 타고난 얼굴” +12 Lv.9 竹槍 15.02.01 3,289
219898 저만 현재 소설 안봐지는걸까요? +5 Lv.79 카나코 15.02.01 2,259
219897 미리보기 수수료에 대해... +24 Lv.25 다이버스 15.02.01 3,824
219896 3월 연참대전은 공모전의 성질을 띈다네요. +1 Personacon 적안왕 15.02.01 2,633
219895 근데 울나라 축구 선수들은 왤케 일찍 은퇴하나요? +15 Lv.25 시우(始友) 15.01.31 2,690
219894 부모님께 잘해드려야겠습니다. +3 Lv.91 제국의황제 15.01.31 2,119
219893 그래도 행복했습니다 +5 Lv.55 짱구반바지 15.01.31 2,095
219892 금주를 하려고 합니다. +3 Personacon 엔띠 15.01.31 2,465
219891 현재 2:1... +5 Personacon 가디록™ 15.01.31 2,605
219890 고오오오올!! +3 Lv.1 [탈퇴계정] 15.01.31 2,040
219889 조금있으면 연장후반 시작이네요. +11 Lv.61 정주(丁柱) 15.01.31 2,309
219888 유료화 +3 Personacon Azathoth 15.01.31 2,791
219887 없는 작품이 선호작엔 그대로 +5 Lv.83 바이한 15.01.31 2,161
219886 살타는 냄새라는 표현이 있는데요. +8 Lv.10 ISyah 15.01.31 2,891
219885 으으.... 미치겠네요. +4 Lv.25 시우(始友) 15.01.30 2,103
219884 채팅방 열어요. +2 Personacon 적안왕 15.01.30 2,510
219883 가스비가 30만원이 나왔습니다. +17 Lv.15 뷰슴 15.01.30 2,815
219882 원룸에 심야전기세가 72990 적은가요 많은가요? +16 Lv.24 약관준수 15.01.30 5,089
219881 나이가 50대 넘어가면 골다공증을 신경써야 합니다. +2 Lv.99 곽일산 15.01.30 2,257
219880 2015년 최고의 기대작 +7 Personacon 백수77 15.01.30 2,960
219879 재미있는 물건이네요. +14 Personacon 적안왕 15.01.30 2,317
219878 제가 내던 건보료 +4 Lv.60 카힌 15.01.30 2,101
219877 허리 조심하세요. +3 Lv.24 약관준수 15.01.30 1,946
219876 문피아 대여 서비스 있나요? +1 Lv.96 고월조천하 15.01.30 2,772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