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한담

연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합시다.



대리만족이란게 참 미묘해요

작성자
Lv.27 Bibleray
작성
14.06.29 01:39
조회
999

옛날에 드라마 작가분한테 글을 약간 배웠던 적이 있었는데, 그분이 하시는 말씀이

“글을 쓸 땐 항상 공감할 독자층을 선정해 놓고 시작하라”

고 하시더라고요.

예를 들면 연령층이라던가, 경제적 계층이라던가, 정신병질적인 공감층이라던가.

특히나 요즘 사회에서는 히스테릭성 성경장애라고 해야 하나요? 자기 주장이 강하고 반항심 충만하고 피해 망상적인 사람들이 많다 보니까(일단 저도 그렇고요), 그들을 위로하고 대리만족을 시켜줄 수 있는 글이 유행할수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어떤 계층을 비난한다던가, 우스꽝스럽게 표현한다던가 해서 말이죠.

장르소설도 이에 예외일 수 없는게 장르 소설들도 한국 드라마들과 같이 주인공 중심적인, 주인공의 가치관과 사상을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영웅적으로 표현해야 독자들한테 카타르시스를 줄 수 있습니다. 카타르시스란게 의외로 중요해요. 그건 사람의 배설욕과도 연관돼 있거든요.

그래서 글이란게 그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읽어야 한다는 겁니다. 요즘 세월호니 후임 총리 지명이니 해서 나라 안팍이 시끄럽죠? 이런 정치적 상황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은 그것과 관련된 글을 읽고 싶은게 당연한 거예요. 사람이란게 원래 다 자기는 옳다고 생각하고 그렇게 믿고 싶어 하니까, 자기 생각을 긍정해 줄 수 있는 어떤 스토리 텔링이 필요한것도 당연한거죠. 그런게 ‘대리만족' 이라는 겁니다.

이 ‘대리만족'이란 걸 부정할수가 없는 게 이건 일제시대니 군사독재 시대니 하는 한국 문학의 전성기를 이끌어갔던 큰 흐름이기도 해요. 현실의 불만족을 극적인 어떤 변화로 충족시킬 수 없으니 작가나 독자나 글로라도 자기 사상과 어떤 원망(遠望) 충족시켜야 했던 거예요.

다만 현대의 ‘대리만족’과 한국 문학의 전성기 시절의 ‘대리만족'에 수준차이가 좀 있을 뿐이죠. 그 수준차이라는 것은 글을 쓰는 사람과 대중의 인격적 성숙과도 관련돼 있어요.

그때는 시대가 어려웠죠. 속된 ‘철'이라는 게 빨리 들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땐 생존에 관련된 문제, 먹고 사는것에 관련된 문제가 정말 복잡했기 때문이죠.

그에 반해 지금은 어떤가요? 너무 편해서 탈이지 않아요? 집에서 인터넷이나 하면서 솔직히 별 도움도 안되는 채팅이나 게임같은걸 하고 있잖아요. 한강의 기적 세대의 경제적 여유에 일부 니트족들이 얹혀살수 있는 세상이잖아요. 게임하다가 죽는 사람도 있고 불법 성매매 하다가 죽는 사람도 있고... 삶이 편하고 공허하니까 자기 목적의식을 충분히 배설하고 살수가 없어요. 한강의 기적 세대는 유능한데다 악독하고, 지금 저희 세대는 재능이 있어도 자기 아버지 세대의 어떤 가치관적인 신념 때문에 그 재능을 펼칠 기회가 완전히 가로막혀 있는 상황이기도 하고요.

또한 요즘 세대는 영상세대라고 해서 유혹도 많고 유흥도 많은 세대에요. 그런 세대에게 대리만족이랄게 뭐 별게 있을까요? 그건 다만 화끈하게 연애하고 인생 역전해서 자기가 남들과는 다른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 뿐이에요. 남들보다 좀 더 유능하고 내세울게 많은 사람이었다는 것을요.

장르소설이 그런 사회적 가치를 대변하는 문학의 한 갈래라고 한다면 그것이 혹 유치하거나 철이 없어 보이는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그런 흐름이 있다는 것은 당연한 거예요. 성인 여성들이 보는 드라마들도 정말 유치하고 철이 없는데 좀 더 어린 계층이 이용하는 컨텐츠가 그렇게 성숙할리가 없잖아요. 심지어 고급 계층이 보는 연극과 영화도 시나리오가 그리 성숙하지 못햇는데요...

게다가 어떤 성숙한 컨텐츠가 만들어 지려면 상당히 많은 경험과 우울이 필요해요. 부정적인 감정을 많이 경험해야 그걸 표현하는것도 가능하니까요.


그러니까 이런 문화적 흐름은 사회가 편안하고 안이하고 이기적이기에 이럴수밖에 없는 거에요. 문화는 대부분 ‘대리만족'에서 부터 시작합니다. 제가 아무리 수준높은 글을 쓰려고 한다고 해도 저 역시도 문학의 그런 특징을 부정할수가 없어요. 하지만 현대의 대리만족이란 성숙하지 못해요. 그건 작가도 그렇고 독자도 마찬가집니다. 어쩔 수 없는거예요.


Comment ' 4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14.06.29 01:49
    No. 1

    높은 명예를 인정받은 후에 아주 높은 탑에 오른 후에-꼭 사다리는 치워버리고- 엣헴하고 진중하고 무겁고 수준 높은 글을 쓰시면 됩니다. 그럼 그 높은 탑을 유지하고 싶은 사람들이 멋진 비평을 써 줄 것이고, 누군가 사다리를 치워버린 탑을 손가락으로 오르며 고통을 받겠죠.

    동감합니다. 하지만, 이미 높이 오른 자들에 대해선 충분히 비판할 여지가 있다고 봅니다. 이미 충분히 생계수단이 확보된 분들이 절필을 하거나 계속 양판을 찍어내는 건 좀 화가 나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7 Bibleray
    작성일
    14.06.29 01:57
    No. 2

    저는 좀 다르게 생각하는게, 책을 찍어내 줄 수 있는 작가들의 등단용 기업들이 '상업성'이라는 것의 가능성을 가진 작가들을 우선 선발해서 이런 상황이 된 거 같습니다.
    사실 글을 쓰는 사람들 한테도 서로 다른 재능이 있어요. 어떤 사람은 비판하는 글을 잘 쓰고, 어떤 사람은 위로하는 글을 잘 쓰고, 또 어떤 사람은 현실적인 글을 잘 쓰죠. 그런 측면에서 다양성을 둬야 하지만 시장경제가 어려운 만큼 컨텐츠 사업은 모험을 하기가 어려운 사업이에요. 순수문학은 '비판적인 글'에 무게를 두기도 하고, 장르문학은 '위로하는 글'에 지나치게 무게를 두기도 하죠.
    그래서 천편 일률적인 글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거에요. 사업이란걸 하다 보면 돈은 필요한데 그에 따른 아이디어나 아이템들이 부족할 때가 있죠. 유지하고 이어가려면 도리가 없어요. 이미 그런쪽에 재능을 가진 사람을 뽑아놨으니 그런 글을 잘 쓰는건 당연한거구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우울한인생
    작성일
    14.06.29 02:13
    No. 3

    좋은 글이네요. 어쨌거나 그런 다수의 수요를 충족하는 글의 원형이 '대리만족'이고, 수요와 공급에 따라 작가는 어쩔 수 없이, 혹은 자의로 '대리만족'을 찍어내야 하는 것이겠죠. 이게 나쁘다는 것도 아니고 그저 사실이 그런거니 어쩔수 없는 것도 동의합니다. 기본적으로 출판사들은 상업성을 의식해야 하니까...뭐, 그런거겠죠.
    그렇게 보자니, 갑자기 초기 판타지 작가들의 글이 그립네요. 홍정훈 작가님도 요즘은 라이트노벨을 쓰고 있고...이래저래 생각이 많아지네요.

    찬성: 0 | 반대: 0

  • 답글
    작성자
    Lv.27 Bibleray
    작성일
    14.06.29 02:24
    No. 4

    저도 상업적인 글을 못쓰는 사람이라 요즘같은 흐름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심지어 좋아하는 작가가 우로부치 겐이니 테오필 고티에니 하는 사람들이니까요), 그래도 뭐 그럼에도 사업은 사업이니까요.
    자선사업이 아닌 이상 '다양승을 키우겠다' 고 나서는 기업은 없겠죠.
    게다가 우리나라 경제의 특징상 문화적 다양성을 양성한다는게 대단히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요. 이상적인 얘기기도 하고...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연재한담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36511 한담 연재된 글 읽을 때 +16 Lv.49 사언 14.06.28 1,565 0
136510 한담 비밀댓글, 여러분은? +12 Lv.33 뎀니 14.06.28 1,273 0
136509 추천 퓨전역사소설-<이순신, 두만강에 서다> 추천... +1 Lv.48 벼이삭 14.06.28 2,366 0
136508 홍보 [일연/현판]세계의 신화, 전설 총집합 멸종위기이... +2 Lv.14 은빛광대 14.06.27 1,190 0
136507 요청 무협에 입문하려고 합니다.. 도움요청! +18 Lv.15 글도망꾼 14.06.27 1,833 0
136506 요청 답글 Re: 무협에 입문하려고 합니다.. 도움요청! +8 Personacon 금강 14.06.28 1,252 0
136505 홍보 [일연/퓨젼]판타지 세상에서 펼쳐지는 삼국지! 위... +3 Lv.23 초뚜기 14.06.27 1,266 0
136504 한담 무협과판타지의 차이. +13 Lv.1 [탈퇴계정] 14.06.27 1,451 0
136503 한담 레전드 특집 같은 이벤트 하나 했으면 좋겠습니다. +5 Lv.21 최지건 14.06.27 1,180 0
136502 추천 풍운사일 '격하게' 추천합니다. +9 Lv.47 산들훈풍 14.06.27 2,611 0
136501 홍보 [일연/현대판타지] 구름도시 이야기. +1 Lv.15 사평 14.06.27 1,032 0
136500 한담 근래 유료 연재 작들의 장르 분포를 보고 느낀 잡상 +8 Lv.59 취룡 14.06.27 1,669 0
136499 한담 환술에 대한 선배 소설을 찾습니다. +13 Lv.33 뎀니 14.06.27 1,338 0
136498 한담 3주전의 한담 '성지글', 그 이후의 행복한 변화 +28 Lv.24 오준환 14.06.27 1,767 0
136497 홍보 [일연/판타지] 父子판타지연대기 : 아빠와 아들의 ... +1 Lv.9 BlackWha.. 14.06.27 1,726 0
136496 한담 글자-쪽수 +4 Lv.58 원스타 14.06.27 976 0
136495 요청 자신의 작품을 볼 때는 조회수가 안올라가게 할 방... +6 Lv.10 폐인인댸스 14.06.27 1,582 0
136494 한담 심심해서 계산해 본 문피아 플래티넘 1달 작가 수익 +34 Lv.41 산호초 14.06.27 4,127 0
136493 추천 간수님의 그 칠 주야 (七 晝夜) 추천합니다. +5 Lv.10 구다라 14.06.27 2,496 2
136492 요청 쪽수와 글자수 그리고 편당 용량 +4 Lv.99 Vivere 14.06.27 3,825 0
136491 추천 개쫑이아빠 님의 시대 3연작 +1 Lv.89 해동삼족오 14.06.26 2,202 0
136490 추천 불멸의시대 추천합니다. +8 Lv.63 草木 14.06.26 2,049 0
136489 한담 인간사료 +10 Lv.22 [탈퇴계정] 14.06.26 1,670 0
136488 홍보 [일연/현대판타지] 축구 소설 - 택틱스(Tactics) +12 Lv.81 필로스 14.06.26 2,157 0
136487 요청 진지한 플래티넘 소설 있을까요? +7 Lv.50 연중은안돼 14.06.26 1,761 0
136486 요청 연재중인 작품의 제목 변경은 어떻게 하나요? +2 Lv.14 화사 14.06.26 1,582 0
136485 한담 앱으로는 연재한담글 볼수없나요? +2 Lv.7 하얀바다길 14.06.26 1,368 0
136484 추천 퍼펙트로드! 강력 추천합니다! +2 Lv.38 철순 14.06.26 1,814 0
136483 한담 슬픕니다. 정말 슬픈 일 +7 Lv.33 뎀니 14.06.26 1,797 0
136482 홍보 [일연/일반] 무궁화의 진실. 원자탄 개발에 얽힌 ... +4 Lv.23 tulip642.. 14.06.26 666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