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너희가 군림천하를 아느냐!!

작성자
Lv.1 풍도연
작성
03.12.10 16:46
조회
2,079

용대운 선생... 그의 전작들을 읽다보면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가 있다.

현재만을 고집하려는 무협이다. 과거와 현재 미래를 마구 뒤섞어 이야기하는

무협이 아닌 오로지 현실만을 고집하며 간결한 문체에 모든 무협을 아우르는

경지까지 올라섰다. 시대가 배출한 직감이 뛰어난 작가임에는 분명하다.

그의 필생의 역작 군림천하에 대해 간소하게 말하고싶다.

한권의 책을 완성하고나면 고심해야 할 문제가 하나 있는데..

이건 반대일 경우도 있다.

재목이 그게 아닐까한다. 재목한가지만 보아도 이미 그 책 내용의 절반은 보았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타이틀을 훌륭하게 달아주는 것이야말로 하나의 존재를 잉태시키는 마지막 작업이 완성되는 것이다.

군림천하... 단순하게.. 주인공이 천하재패를 하는군.. 이렇게 받아들일수도 있고 이해해버릴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일에는 과정이 있는데, 정작 중요한것이 그것이다.

내용의 전개나 개요 의미가 과정에 함축되어 펼처지는 것이다.

그런면에서 군림천하라는 재목은 아주 시사하는 바가 크다. 단순하게 잉태되지 않은 재목이다. 작품의 질을 한껏 고조시킨 재목이라 평한다.

오늘 난 용대운 선생이 군림천하를 집필하면서 의도했을 두가지를 말해보려한다.

저자는 내용을 풀어가는데 있어 두가지의 맹점과 극대화를 끌어왔는데, 하나의 세력과 인물이 그것이다.(이건 순전히 나만의 관념이며 사고이고 생각이다)

첫번째 고민과 극대화...

수많은 세력 중 그가 선택한것은 왜 종남일까?

그것도 몰락하고 별볼일 남아있지 않은 설정을 통한 종남파.

극대화의 필요성이 여기에 있는것은 '나중을 위해' '반전을 위해' 라는 의미를 두고 있다.

구대문파의 한 축으로도 등장하지만 어쩔때는 이미 사라진 문파로도 묘사되는 세력이 종남파이다. 언뜻 떠오르는 비기로는 천하 36검정도인데.. 그것이 훌륭하거나 무섭게 묘사되어 무협에 등장한것을 난 한번도 보지 못했으며 때론 구대문파의 한 기둥이면서 멸시와 무시라는 찬밥신세를 당하고 사마의 무리가 중원을 유린할때 아무렇게나 멸문지화 당하거나 봉문 당하는 곳이 바로 종남이었다.

소림도 있고 화산 무당 곤륜도 있다.

그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쇠퇴한 문파로 설정한다면 좀 더 이해가 쉬웠겠다.

그 문파들은 늘 정도의 기둥이고 천하제일의 힘을 보유하는 것으로 굳혀진 무협계의 통설이니까!

맹점을 이용한 극대화는 우리에게 하나의 가상을 보여줌으로서 이해시킨다.

그게 바로 과거 천하제일 종남 오선이다. 종남의 오신선!!

이미 과거속으로 사라졌으나 그런 설정을 통해 독자들로 하여금 하나의 가능성과 이해성을 강요했는데, 옳은 설정임을 나중에 확인할수 있다.

바로 주인공이 한 말에서 나타난다.

'이제부터 내가 검정중원이다!' 즉, 진산월 그가 곧 중원이라고 외친 말이었는데 그 얼마나 짜릿하고 시원하던지. 난 가슴이 뻥 뚫리는 카타르시스를 느꼈다.

저자는 종남이라는 세력을 통해 무공의 이해력을 한껏 도취시키거나 정리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가능성은 재시했다. 무공은 강한것보다 누가 어떻게 수련하느냐의 척도를 보여줌으로서 기존의 독자들에게 보다 쉽게 어필하게 만들었다.

즉, 삼재검법도 '누군가'가 익히면 대단한 무공으로 둔갑한다는 미묘한 설정이었다.

도대체 종남에 어떤 훌륭한 비기가 알려졌으며 인물이 있고 대환단같은 영세의 보물같은 성약이 있었는지 우리는 아무도 몰랐지만 종남오선같은 불새출의 영웅들이 존재했다는 설정만으로그것을 단번에 뒤집어 버린 것이다.

나는 진산월이 아주 운 좋은 존재로 본다. 그 팔자에 조사들의 비기를 취해 그 자신이 곧 중원이라고 외칠수 있었으니까...

저자의 첫번째 의도는 별볼일 없는 세력을 내용의 중심에 둠으로서 약하디 약한 세력이라는 맹점을 이용하여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극대화 시키려 한것임에는 분명 할것이다.

첫번째 중요한 무엇 죽이기는 이로서 훌륭하게 이루어진 셈이라고 보아야 하겠다.

두번째 고민과 극대화...

이것은 좀 애매한 면이 없지 않아 있는 부분인데...

그동안 저자의 전작들을 보자면 주인공 모두가 강골들만으로 묘사되어왔다.

한예로 독보건곤의 노독행을 보면 처절할 정도로 피의 행보를 딛으며 겪는 그 파란 만장은 이루 표현할수 없을 정도이다.

과묵함, 뒤를 돌아보지 않는 저돌성, 냉정한 마음... 그러면서도 인간의 본성을 버리지 않은 케릭이 대부분이었던 것에 비추어보면 이 진산월은 기형아적인 케릭이 분명한데...

저자의 의도는 분명하다. 진산월의 케릭터를 보자면 훌쩍큰 키, 비대한 몸집에 유순하고 인간적이며 따듯한 마음씀씀이로 도저히 몰락한 사문의 부흥과 어린 사제들을 이끌만한 인물이 아니다.

의도는 시작되었다. 엉망으로 만든 주인공 죽이기가 시작되는 순간이다.

맹점은 그런 주인공의 성품이고 극대화는 그가 나중에 검정중원을 외치는 순간 확연하게 드러나는 것이다.

여기에 우리는 한가지 재미있는 설정을 볼수가 있는데...

아는 사람은 알겠으나 용대운 선생의 요리솜씨는 정말 대단하다 말할수 있겠다.

전작들에서도 자주 발휘되는 그의 음식솜씨는 이미 공인된 바지만 이번 작품의 요리는 다소 다른 성질을 띄고 있다 보여진다.

전작들의 요리를 보자면 투박하며 맛나는 요리지만 생존을 위한 터득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여기서는 정통요리가 등장하고 그 이유가 단지 좋아서..

누군가 부탁하고 해달라고 졸라서... 이게 과연 사내다운 모습일까?

지금에 와서 말이지만 당시에는 도대체 작가의 의도는 뭔지 너무 힘이 들었다.

읽기가 힘들었고 마음으로 머리로 사고로 이해하며 기억하기가 힘이 들었다.

아마도 10귄이나 11권이 나오지 않았으면 진짜 이건 아니다라고 말하고 싶었던 순간도 몇번 있었다. 다만 용대운이라는 작가의 힘에의한 본능이 그것들을 참아내게 했으며 나중에 진산월이 내가 검정중원이다라고 외치는 그 내용을 보고 나의 모든 의문과 불만은 일거에 모두 사라져 버렸다.

무협을 이십년이상 읽으며 그처럼 가슴에 와닿는 외침은 처음이었다.

각설하고..

진산월이라는 인물.. 주위에서 보자면 남에게 퍼주기 좋아하고 자기실속은 제대로 챙기지도 못하며 억울해도 말도 하지 못하는 그런 사람일것이다.

아주 주인공을 엄청나게 못난이로 설정한것은 저자답지 못하다고 생각했으나...

물락한 사문의 대제자... 어린 사제들의 대사형...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은 암울한 현실속에서 진산월은 원치않는 강호행을 통해 인연과 은원을 쌓고 세력간의 다툼과 한을 불태운다. 사부가 유언으로 남긴 중원에 군림하라는 실천의 행보가 시작되는 순간이 온것이다.

그러면서 변화하는 그의 행보는 지루하리라만치 느리고 가엽게 그려진다.

부드럽던 얼굴인상은 칼질로인해 삼엄하게 변하고 사문의 비기를 찾아 수련하는동안 그이 비대했던 몸은 회초리처럼 가벼워지고... 이른바 시련을 딛고 일어서는 참된 사내의 모습이 그려지는 것이다. 와신상담...

시간이 흘러 그가 중원이 곧 자신이다라고 외칠만큼 강한 검을 들고 사문으로 복귀하는 모습을 끝으로 그의 성장기는 끝이난다.

성장이라는 표현이 좀 어색하지만 성장뒤에는 무엇이 있을까라는 것은 각자의 선택일 것이다.

난 개인적으로 그의 나중 행보가 아주 흉폭하고 사납게 그려졌으면 한다.

함부로 사람을 죽인다라는 그런 행태가 아닌 저자의 성격이 잘 드러나는 그런 행위의 모습... 사랑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고독한 절대자로 남기면 어떨까 하지만 저자는 그것을 원하지 않을것이다.

사문의 부흥과 복수 은원 사랑 인연.. 아무것도 할수없는 딜레마에 빠져 허우적 거리는 진산월이었다면 이제부터는 무엇이 남았을까.. 나름대로 오만가지 상상력을 동원하지만 쉬이 정리가 되지 않는다.

이 작품이 전간 21편으로 구상되었다면 아직 남아있는 10권속에 얼마나 많은 사연과 이야기 거리가  존재할런지 생각만으로도 짜릿하다.

난 아마도 용대운 선생이 이미 작품은 모두 써내려 가지 않았나 싶다.

끝없이 손질하고 보완과 수정을 통해 이제는 세상에 나올날을 기다리고 있을거라 생각한다.

사문과 복수의 개념이 아닌 한 인간의 고뇌가 녹아있는 작품이다.

저자의 테마는 인간이었다. 사람간의 삶과 갈등.. 이작품은 주인공에게 너무도 많은 시련과 사명을 남겨놓은 내용이다.

한명의 인간에게 씌어진 굴레.. 도대체 하나의 존재에게 그렇게 많은 책임감과 사연을 주면 그 존재는 어찌 자유를 누리며 살아가라고 그를 그리도 괴롭혔는지 의도가 너무 불쾌했던적이 있었다.

내용을 두번에 걸쳐 읽어 내려가며 가슴을 울리는 비감을 느낀게 한두번이 아니다.

어느새 나와 하나가 되어버린 진산월을 동정하고 응원하며 나머지 내용에 심한 갈증을 느낀다.

작가의 의도가 제대로 반영되어졌는지 나중에 그가 말할테지만 뭐라 말하기는 미묘하지만 조금 미숙하거나 아쉬운 부분이 없지않아 있는데, 그것을 찾지 못하겠다.

혹여 나만의 욕심일지도 모른다.

용대운 선생의 필생의 역작 군림천하. 진정 인간애를 느끼게 해준 작품이다.

더 많이 남아있을 내용을 뒤로하더라도 지금까지의 이야기 만으로도 완성도가 빛나는 작품이다.

오늘도 군림천하를 생각하며 짧은 소견의 글 이것으로 맺는다.


Comment ' 14

  • 작성자
    Lv.1 [탈퇴계정]
    작성일
    03.12.10 18:37
    No. 1

    또 다른 시각이로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9 곽일산
    작성일
    03.12.10 18:38
    No. 2

    감상평을 아주 잘 쓴 것 같네요.
    이글 그대로 복사해서 다음의 군림천하 까페에 올려도
    될까요?
    올릴만한 감상평이라서 그럽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65 禎珠
    작성일
    03.12.10 20:26
    No. 3

    전 읽고 후회했어요.
    빌려읽지말고, 사서 읽을걸......
    호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풍도연
    작성일
    03.12.10 20:40
    No. 4

    마음대로.. 마음이 가는데로..
    군림천하가 빛을 본다면 무엇인들 못하리오~~
    군림천하 화이팅이닷!!!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담적산.
    작성일
    03.12.10 20:49
    No. 5

    음, 전 진산월이 "사부님 외롭습니다" 하고 눈물 흘리는데서

    이게 여섯권전체를 단 한줄로 축약하는 대사구나 라고 전율울 느꼈습니다...
    도저히 흉내내지 못할 것같은...

    진산월이 겪은 초반 여섯권의 고통이 그 단 한마디에 다 나타납니다.
    우리는 그런걸 보기위해 무협을 보는것일지도 모릅니다.

    늘어지네 어쩌네 말이 많아도 그 한마디의 명대사때문에 저는 군림천하를 계속 글쓰려고 하는 아마추어들이 꼭 읽어야할 교과서로 꼽고 싶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풍도연
    작성일
    03.12.10 21:07
    No. 6

    맞습니다... 한시간을 지루한 내용에 몰두하다가..
    명대사 한마디나 가슴을 울리는 그런 찡한 장면에서 우리는
    진정한 무협의 가치를 느낍니다.
    국내무협의 흐름을 정리하신 용대운 선생은 이새대 무협의
    학자입니다.
    지금도 너무 가슴이 아리는 부분들이 기억나네요..
    다시한번 읽어보고 싶습니다.
    군림천하는 언제쯤 완벽해 지려는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타반테무르
    작성일
    03.12.10 22:53
    No. 7

    용선생의 엄청난 광팬이시군요.
    좋은 감상이었습니다.
    요번 11권도 마지막 글줄기가 사람 염장지르더군요.^^

    근데 종남 5선은 구라가 좀 심하지 않았나 생각이 드는데요.
    군림천하로인해 관심을 갖게 되었지 누가 종남파 신경이나 썼습니까?
    항상 7에서 13문파를 왔다 갔다했던 종남파(거의 대부분의 소설에서, 실제로도 그랬을 것임)이기에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풍도연
    작성일
    03.12.10 23:24
    No. 8

    하하~~ 타반테무르님의 말씀은 맞습니다.
    종남이라는것에 알려진것은 별반 없는데도 불구하고 용선생이
    굳이 종남을 선택한데는 엄청난 혼란과 고민이 있었을거고 또,
    결국 종남을 선택한데는 그간 소재에 등장하던 일반 세력의 식상
    함과도 무관치 않을겁니다. 그러면서 언급했듯이 극단적인 반전을
    종남이라는 신진(?) 세력에 그 맹점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보여집니다.
    사실 따지고보면 종남도 그리 호락한 세력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어휘가 지니는 인지도가 낮아서인지 제대로 평가가 되질 않았습니다.
    그래서 어느날 느닷없이 튀어나온 존재가 종남오선인데 아시다시피
    하나의 전례는 말 그대로 선례로 남아 인용되고 도용되기도 합니다.
    이후의 종남은 아마도 새로이 부각되는 힘이 아닐까라고 보여집니다.
    소림이나 무당 화산은 정말 너무도 많은 빛을 보았고 알려졌으며 싯체말로 넌더리가 나는것도 사실입니다. 간혹 신성한 세력 세외 제일 신비문파 곤륜이 설정되는데 그것도 한계더군요. 이미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것입니다.
    그렇다고 구파일방 내지는 오대니 칠대세가 혹은 사마의 유력한 세력이 더이상 신선할수도 없거니와 그래서 남아돌던 구파의 세력중 좀 더 새로이 인지할 필요가 있을 세력중 하나인 종남을 용선생은 택하지 않았나하고 강제적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무당이 영웅문을 통해 도가제일지문이라고 공인되면서 장삼풍진인이니 탁탑진인이니 하며 추켜 세워진것은 국내무협의 처절한 억눌림입니다.
    우리의 무협 혹은 설정이 통설로 굳어진 무협이 필요한 싯점에서 굳이 종남 마저도 중국땅에서 파생되었고 그것마저도 그들에 의해 쓰여졋다고 하지만 변화는 우리가 충분히 새로이 할수 있음에도 아직 시도되지 못하고있습니다.

    용대운 선생은 아시다시피 국내무협의 급격한 변화의 한 주류를 이루어낸 거목입니다. 이번 군림천하의 흐름이 미치는 영향이 신진 작가들에게 얼마나 어필이 될런지는 두고 보아야 하겠지만 전 적어도 이해력은 가질것으로 보입니다.....!!!

    현 무협의 현실은 너무 아픕니다. 아직 더 기다려야 할 듯...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사랑일까..
    작성일
    03.12.10 23:44
    No. 9

    저는 용노사님 소설이 정말 잼있더군요^^
    사건 발생 전개과정.. 마무리 정말 어느하나도
    맛없지가 않습니다!

    첨에 태극문에서부터 잼있네 했는데...
    그담에 독보건곤보고 역시 용노사님이다~ 했어요

    그런이후에 용노사님 소설 다읽었죠
    거의다 잼있었던걸로 기억에 남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 앨류
    작성일
    03.12.11 12:28
    No. 10

    헐헐..앞에는 [감상]이지만 [추천]단것보다 추천의 효과가
    훨씬 뛰어난 글(??)인듯 합니다...지금 빌리러 가야지요 쿠휄휄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6 紫夜之客
    작성일
    03.12.12 18:57
    No. 11

    압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슬램덩크
    작성일
    03.12.15 16:31
    No. 12

    그래서 전 아직까지 보지 못했습니다...
    완결되기전까지...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 콰지모도
    작성일
    03.12.16 15:19
    No. 13

    압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앙왕
    작성일
    03.12.29 07:59
    No. 14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저는 군림천하 읽기까지 용대운님의 글을 그저
    심심풀이 이상으로 생각해본적이 없습니다.
    용대운선생의 이전의 책들을 보면, 천재성이 돗보이지만 쉽게쉽게 글을
    쓴다는 생각을 지울수 없더군요.
    특히 최악의 작품중의 하나인 강호무뢰한을 읽으면서 정말 실망을 많이
    하기도 했으니까요.
    그래서,군림천하가 신문에 연재될때도 제대로 읽지 않았습니다.
    어느덧 연재가 끝나고 책이 나왔더군요.그리고는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큰기대를 하지는 않았습니다.하지만 어느덧 작가의 필생의 역작을 만들려는 노력이 보이더군요.마음으로 와닿은 무협....
    그것이 군림천하를 최고의 작품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아닐까요.
    노력하는 이의 모습은 그 사람이 티를 내지 않아도 남들이 알아봅니다.
    역시 군림천하에는 노력하는 작가님의 모습이 보입니다.
    군림천하가 손꼽아기다리고있네요...언제 다음권이 나오려나....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123 무협 이우형님의 강호기행록을 읽고.. +7 Lv.1 진립 03.12.10 1,434 0
2122 무협 호위무사 1권을 읽고... +20 魔王怪笑 03.12.10 1,569 0
2121 기타장르 검선을 읽은 나의 생각들 +3 Lv.52 아이가넷 03.12.10 1,857 0
» 무협 너희가 군림천하를 아느냐!! +14 Lv.1 풍도연 03.12.10 2,079 0
2119 무협 고독한 검무 저자분께 회답. +1 Lv.68 ptype 03.12.10 947 0
2118 무협 일검쌍륜..~!! Lv.1 쭈니 03.12.10 1,004 0
2117 무협 야설록님의 <신객>입니다. +2 Lv.50 修羅王 03.12.09 1,448 0
2116 무협 별도의 <종횡무진>을 다시 보고.. +1 Lv.1 술취한늑대 03.12.09 1,261 0
2115 무협 천하님의 독패지존. Lv.1 겨울™ 03.12.09 876 0
2114 무협 학사검전... 과 뒤따르는 아쉬움. +13 설국 03.12.09 2,285 0
2113 무협 숨겨진 걸작 소항유사 +6 Lv.1 둠리버 03.12.09 2,693 0
2112 무협 대형설서린 6 권을 읽고 +3 Lv.1 sa**** 03.12.09 1,321 0
2111 무협 명작, 영웅천하를 보고... +3 류민 03.12.08 1,431 0
2110 무협 풍운천하를 읽고.... +4 류민 03.12.08 871 0
2109 무협 조진행님의 칠정검칠살도... +3 Lv.1 문강 03.12.08 1,831 0
2108 기타장르 호접락어수상 을 평할분 계십니까? +7 Lv.1 해동별곡 03.12.08 1,862 0
2107 무협 황제의 검을 읽고... +10 魔王怪笑 03.12.08 1,573 0
2106 무협 자객왕, 이제 시작하는 자객의 이야기 Lv.1 마시로 03.12.08 1,355 0
2105 무협 괴선 1~5권을 보고... +5 Lv.4 퐁풍퓽 03.12.08 1,726 0
2104 무협 신승5권을 보고.... +5 Lv.4 퐁풍퓽 03.12.08 1,476 0
2103 무협 자객왕 - 자객은 몸집에 구애받지 않는다. +4 『GUIN』귄 03.12.08 1,291 0
2102 무협 천도비화수 - 가슴저린여정 +5 『GUIN』귄 03.12.08 1,034 0
2101 무협 황금인형에 대한 단상 +3 Lv.44 천장지구 03.12.08 968 0
2100 무협 천도비화수를 읽다가 +4 Lv.1 쭌이 03.12.08 884 0
2099 무협 기지와 해학의 결정! 풍운만장을 읽고서... +5 류민 03.12.07 1,130 0
2098 무협 미치도록 슬픈 소설........이우형님의 검... +13 Lv.11 현람 03.12.07 2,305 0
2097 무협 대형 설서린을 읽고나서. +4 Lv.3 비진립 03.12.07 1,080 0
2096 무협 움.. 일검쌍륜2권 까지 읽고.. 二天 03.12.07 805 0
2095 무협 군림천하를 8권까지 읽고.. +14 二天 03.12.07 1,613 0
2094 무협 '비적 유성탄'과 '천마군림'...쓰고 싶은 ... +5 Lv.1 悲天舞 03.12.06 1,583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