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작성자
Lv.79 남양군
작성
04.03.10 00:08
조회
1,808

1. 들어가며

   조진행님의 기문둔갑은 분명 근래 발간된 무협소설중 매니아의 눈길을 끌만한 작품으로, 기문둔갑이란 쉽지 않은 소재를 모자라지도 넘치지도 않는 사건과 버무려 나가는 솜씨가 일품입니다.

기문둔갑은 그의 전작인 천사지인과 칠정검칠살도(조금 처지죠)에 이어 이제 독자로 하여금 완연한 조진행류의 흐름을 거의 완성해 나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지게 하며 그만의 매니아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이른듯합니다.

< 기문둔갑의 뛰어난 점은 무엇인가 ? >

2. 작가의 노력이 돋보이는 작품

  후천의 술과 선천의 도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작가의 탁월한 설정은 그가 많은 공부를 했음을 알수 있다.

기환술 부분에서는 묘사가 부족한감이 있으나 앞으로 계속 이야기가 풀어질것으로 보이며 지나친 비약을 하지 않으면서도 무림맹주 이정갑과  13태상의 갈등, 시체털이 화선지와 도독 황보현의 등장, 흑점인 상선반점등의 등장은 에피소드적인 재미를 더해준다.

3. 수월하게 스토리를 진행시킨다.

  기문둔갑을 읽으면서 독자로서는 내내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었던바 2권을 일독하고 느낀것이 작가가 의도적으로 글을 쉽게 쓰 나갔다는 것이다.

이는 매니아에게는 일견 부족감을 느끼도록 할지 모르나 대다수의 독자가 쉽게 작품을 접하고 재미를 느끼게 하는 강력한 작용을 한 것으로 보인다.

얕은 지식과 일천한 필력으로 인한 쉬운 글과 작가의 의도적인 쉬운글은 훈련된 독자라면 충분히 파악할수 있다.

4. 작중 캐릭터의 면면이 살아 있고 사건과 스무드한 매칭이 이루어진다.

  작중 캐릭터의 고유속성 부여실패와 캐릭터의 사건매칭부분은 일반적으로 완성도가 떨어지는 무협소설의 대다수가 가장 극명하게 보이는 부분이다.

독자는 이점에서 몰입이 어렵고 참지 못하게 된다.

기문둔갑은 주인공인 왕소단은 물론 그의 주변인물들과 상대역, 심지어는 흑점주인 고중량까지 캐릭터의 고유속성을 부여하는데 비교적 성공했고 이들을 사건과 연결시키는데 큰무리가 없다.

캐릭터의 집중과 분산이 비교적 잘 이루어져 있어 독자는 쉽게 스토리에 몰입하고 주인공과 행보를 같이할수 있다.

< 아쉬운 점은 무엇인가? >

5. 갈등의 부족한 처리

   유서깊은 재상가인 청선부의 장자가 과거를 통한 관리로 진출하지 못했다고 해서 가문과의 연을 끊고 축출돼야 할 정도라면 이는 엄청난 갈등이 발생하는 사건이다.

작가는 여기서 청선부와 그에 속한 구성원이라는 환경 갈등은 물론 아비인 가주와의 인물 갈등도 크게 묘사함이 없이 밋밋하게 지나가 버린다.

또한 약혼년인 백리소저와의 갈등부분도 마찬가지다.

  이부분은 작가가 의도적으로 소설작법상의 생략과 건너뛰기의 한수를 썼는지도 모르나 스토리 진행상 부족한 감을 주는것은 분명하다.

6. 수련과정의 묘사 부족

  기문둔갑의 홍연36결 주해는 현대의 작은 활자체로 풀어도 수천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양이된다.

1권에서 왕소단은 홍연진결에 심취해 차기가주직까지 박탈당하고 가문에서 축출되는 지경에까지 이르는데 1권 어디에도 그가 미친듯이 홍연진결을 파고드는 내용이나 수련하는 장면이 없다.

단순히 수천장의 부적을 그린다는 언급만 있다.

  예를 들어 기문둔갑을 행하기 위한 부적을 그리는 것은 인간사 길흉화복을 다루는 역술인 육임의 부적을 그리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다.

기문둔갑은 천둔,지둔,인둔을 모두 아우르는 학문이자 술법으로 한장의 부적으로 영적,물리적 효과를 낼수 있다.

따라서 최소한 왕소단이 부적을 그리는 장면을 충분히 묘사하고, 제대로 된 부적재료인 괴황지와 경면주사 술법붓등을 만들거나 구하는 장면을 묘사함으로써 기문둔갑의 어려움이나 신비성을 보다 독자에게 강하고 쉽게 어필할수 있었을 것이다.

수련과정을 에피소드식의 가벼운 터치로 독자에게 좀더 친근히 다다갈수도 있을것이다.

7. 몇몇 장면에서 설정의 정교함이 떨어진다.

  대표적인 경우가 한천산장에서 모산노모의 기환술에 당한 태허가 무림맹에 돌아왔을때 진법의 달인인 총군사가 아무것도 모르고 신입 군사인 왕소단에게만 의지하여 묻는 장면이다. 진법역시 기환술에 통달하지 않고는 경지에 이를수 없다.

이는 작가의 잘못된 설정으로 보이며

백화평에서 이정갑이 모산노모의 진법에 당하여 도망친후에도 진법에 달통한 총군사가 백화평에 대한 사소한 조사도 없이 막무가내로 결전에 응한것도 스토리의 흐름을 어색하게 하는 부분이다.

1권에서 여자 손목도 잡아 보지 못한 왕소단이 단지 기원에 보낸 요령부득의 연서로 인해 파락호로 소문이 퍼졌다는 설정역시 정교함이 떨어지는 어색한 설정으로 아쉬

운 부분이다.

8. 주인공의 내면갈등의 묘사 부족

  왕소단은 대현은 대우라는 말처럼 1권에서 멍청한듯 그려지고 있다.

그는 확고한 신념이 있어 가주직을 포기한 것도 아니고 부친끼리 혼약한 백리소저에 대한 관심이 없는것도 아니다.

그는 실제 멍청한 사람으로 설정된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그는 어떤 내면의 갈등도 별로 없이 상황이 되어가는 대로 그냥 가주직을 포기하고 백리소저의 눈밖에 벗어나는 행태를 보인다.

그후 2권에서도 확고한 어떤 생각도 없이 그냥 맹하게 무림맹으로 들어가는 행태를 보인다.

주인공의 내면 갈등 고찰 부족이 기무둔갑의 가장 취약한 점이 아닌가 여겨진다.

9. 나가며

  기문둔갑은 위에서 논한바의 장점과 아쉬운 부분을 아울러 가지고 있으나 누구나 쉬이 읽을수 있고 몰입할수 있는 충분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어 일독을 권합니다.  

에구구 늦은밤이 되어 제가 제대로 썼는지 저도 헷갈립니다.

아무래도 내일 좀 글을 다듬어야 할듯합니다.

부족하더라도 읽으시는 동도님들 이해해 주세요.


Comment ' 6

  • 작성자
    Lv.87 공구중니
    작성일
    04.03.10 02:29
    No. 1

    5번 \'갈등의 부족한 처리\' 에 대해서는 조금은 수긍은 하지만, 음... 남양군님이 썼다 시피 의도적으로 갈등 묘사를 대폭 줄인 것이 아닌가 보여집니다. 어차피 이 갈등이 글의 주된 흐름으로 보여지는 바, 계속해서 나올 것 같기에 초반 도입부에서 그 비중을 줄인 것이 아닌 가 생각 됩니다.

    그리고 \'8번 의 주인공의 내면갈등의 묘사 부족\'... 이것은 전적으로 공감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9 남양군
    작성일
    04.03.10 09:02
    No. 2

    공구중니님의 말씀처럼 5번의 갈등구조의 부족한 처리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줄인듯하죠. 13태상과 무림맹주의 갈등부분도 심각한 묘사없이 넘어가는 부분을 보면 그러한 듯 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나라네
    작성일
    04.03.10 13:54
    No. 3

    음.저는 6번에 대해서는,신비성이나 어필을 위해서 썼다가...흔히 접해보지 않은 분야(기문둔갑)의 묘사에 대해 독자가 지루함을 느낄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여타의 무공수련기와는 달리 묘사의 수위를 조절하기도 쉽지 않고....아니면 자료부족일수도(조진행님정도라면 설득력이 없지요?^^*)
    그리고 8번에 대해서는...제게는 내면적갈등의 상세 묘사보다 중간중간
    던지는 한마디 한마디가 더 찐하게 와닿더라는~~억누르는(주인공 자신의 내면적 갈등까지도 억제하는) 느낌이랄까요? \"아~저때 마음이 어떨까? \"
    나머지는 저도 공감..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제왕도
    작성일
    04.03.10 20:42
    No. 4

    6번에 전적으로 공감입니다. 사실 기문둔갑에 대한 자료를 제대로 조사하여 이를 무협소설로 표현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저도 잔뜩 기대를 하고 보다가 이 부분에서는 좀 실망을 했지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남훈
    작성일
    04.03.13 01:04
    No. 5

    정말 오랜만에 들어왔습니다..^^;; 남양군형님..여전히 왕성하게 활동하고 계시는군요..아아 반갑습니다.ㅋㅋ 제왕도님이랑 공구중니님도 있네..ㅋㅋㅋㅋ
    기문둔갑 잼있나요? 하긴..조진행작품이니..일단 무조건 보긴 봐야겠군요.
    역시 남양군님의 글은..^^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밑에 글들도 읽어봤는데..오우 굿~!! ㅎㅎ 근데 정말 너무 바빠서..ㅡ.ㅜ 빨리 방학했으면 좋겠어요..
    왠놈의 레포트가 이리도 많은지..-_-;;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9 남양군
    작성일
    04.03.18 14:47
    No. 6

    남훈님이 돌아오시니 무지 반갑습니다.
    그냥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2권분량을 위에서 제가 지적한 부분을 첨가하여 3권분량으로 늘였다면 더욱 충실한 작품이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하긴 조진행님이 다음권에서 고려하리라 생각합니다만.....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903 무협 이런 작가만 있다면--- +12 Lv.1 담사 04.03.10 2,498 0
2902 무협 저도 부족하지만 추천과 감상평 +1 Lv.1 연심표 04.03.10 1,268 0
2901 무협 좌백 <비적 유성탄> +15 bible-THOM 04.03.10 1,580 0
2900 무협 박준서 님의 \' 화산군도 \' 를 보고. +2 Lv.3 비진립 04.03.10 1,067 0
2899 무협 [추천] 한상운님의 부자유친 +1 Lv.51 미스터H 04.03.10 1,596 0
2898 무협 무협 걸작선 제 1편 +2 Lv.14 백면서생.. 04.03.10 2,628 0
2897 무협 나의 베스트 무협소설 +15 천풍운 04.03.10 4,226 0
2896 무협 수국을 읽고. +1 Lv.92 삼두표 04.03.10 1,014 0
2895 기타장르 삼대명작이라... +6 Lv.88 한달은유 04.03.10 2,017 0
2894 무협 불사조에대한 단상 +9 Lv.1 [탈퇴계정] 04.03.10 957 0
» 무협 [기문둔갑] 근래 보기드문 읽을 거리입니다. +6 Lv.79 남양군 04.03.10 1,809 0
2892 무협 한국무협의 삼대명작 +16 정팔 04.03.09 3,089 0
2891 무협 검궁인작가의 글들의 공통점 +7 Lv.1 冬月 04.03.09 1,504 0
2890 무협 괴선을 읽고.. +4 Lv.66 푸른놀 04.03.09 1,000 0
2889 무협 보보노노에 대하여 +6 Lv.1 연심표 04.03.09 1,183 0
2888 무협 [부적] 내공기르기 제2탄, 기문둔갑의 부적... +13 Lv.79 남양군 04.03.09 1,316 0
2887 무협 보보노노, 학사검전. 기문둔갑, 보표무적 .... +4 bible-THOM 04.03.08 1,578 0
2886 무협 [기문둔갑] 내공기르기 제 1탄, 기문둔갑의... +9 Lv.79 남양군 04.03.08 2,306 0
2885 무협 금강님의 '발해의 혼' +22 Lv.1 心魔 04.03.08 1,427 0
2884 무협 길을 걸으면서도 머리 속에 떠오르는 글... +1 천애(天涯) 04.03.08 1,267 0
2883 기타장르 군협지에 대한 쓰디쓴 추억(?) +1 Lv.5 전고 04.03.08 1,115 0
2882 기타장르 감히 추천드립니다. +14 韶流 04.03.08 3,516 0
2881 무협 새로운 사조영웅전을 보고 +5 Lv.5 전고 04.03.08 1,445 0
2880 무협 풍운제일보, 괴선, 망자의 검, 탈 2/3, 도... +9 Lv.1 서태수 04.03.07 2,726 0
2879 무협 이현/수국1,2권을 읽고나서 +8 Lv.18 정파vs사파 04.03.07 1,288 0
2878 무협 한상운의 비정강호 +3 Lv.1 stargate 04.03.07 1,139 0
2877 무협 한상운 '독비객' 을 읽고 +1 Lv.4 지느러미 04.03.07 1,275 0
2876 기타장르 표절도읽고~~ +4 Lv.61 응큼한갱구 04.03.07 1,786 0
2875 무협 일반란의 녹목목목님의 신투 원츄!^^ +1 Lv.15 千金笑묵혼 04.03.06 826 0
2874 무협 가람검님의 시검서생이 자연란에서 드뎌 달... +2 용마 04.03.06 1,032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