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작성자
윤무(允武)
작성
07.08.11 00:31
조회
3,219

작가명 : 한상운

작품명 :

출판사 : 무림사계

이런 용어가 적당할지 모르겠지만, 대강 의미는 통할 것 같아서 써 본다. '미시적 쓰기'와 '거시적 쓰기'. 정립된 용어가 아닌 '내멋대로' 용어이니 응당 설명이 필요할 터이다. (문학에서 이를 칭하는 명칭이 따로 있을 듯하지만 공학계열자라 몰라서 이렇게 써 봤다)

주인공이 작은 방에 들어갔다고 생각해 보자. 이 순간 작가의 설명/묘사가 시작된다. 관객은 주인공이 그것을 인지하든 못하든 작가의 설명/묘사를 통해 방 내부의 모습을 알게 된다. 이것이 내멋대로 '거시적 쓰기'이다.

마찬가지 조건에서, 이번에는 작가가 방 내부의 모습을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주인공이 어떤 것을 인지하고 그것에 주의를 기울이면 작가도 함께 설명/묘사를 시작한다. 즉, 관객은 작가와 더불어 마냥 전지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주인공에 의지한, 절름발이 전지자이다. 이것이 내멋대로 '미시적 쓰기'이다.

무림사계의 초반, 독자는 주인공의 이름을 알 방법도 알지 못하고 읽기를 시작한다. 제법 긴 시간동안 그 '무지'는 계속 이어진다. 왜냐면, 무림사계라는 글이 '미시적 쓰기'로 쓰여진 글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등장인물들이 주인공의 이름을 말할 일이 없으니 알 기회조차 없는 셈이다.

그러다가 작 중 '양수전(아마도)'이라는 자가 주인공의 이름을 묻고서야 독자도 함께 그 이름을 얻어 듣게 된다. 아하! 이 작자의 이름이 이것이구나!

주인공의 과거 역시 마찬가지다. 굳이 작가의 의도가 끼어들어 그것을 장막 뒤에 숨겨 놓은 것이 아니다. 다만, 등장인물들이 주인공의 과거에 대해 깊게 파고드는 일이 적었고, 주인공의 사고과정 자체도 자신의 과거를 되새기기 꺼려하니 그렇게 되었다. 숨기지 않았으나 숨겨진 셈이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독자는 괴이한 압박감을 받는다.

거시적 쓰기로 쓰여진 글이야 편한 마음으로 지켜볼 수 있다. 주인공이 그것을 미처 보지 못하고 지나쳐도, 등장인물들이 제 입으로 말해 주지 않아도 작가가 친절하게 설명과 묘사를 곁들인다. 진정한 전능자로서 '내려다볼' 수 있다. 심지어는 '쯧쯧, 저녀석은 모르는군.' 라 비웃을 수도 있다.

하지만 미시적 쓰기로 쓰여졌기에 독자는 등장인물이 바라보는 것 하나, 말하는 것 하나에 집중해야만 한다. 놓친다면 다시 읽는 수밖에 남지 않는다. 주인공이 그것을 모르고 지나쳐 버린다면 독자도 모르고 지나치게 된다. 독자가 느끼는 긴박감은 높아진다.

이 미시적 쓰기라는 말은 얼핏 1인칭 시점에 대해 말하는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3인칭 시점에서도 미시적 쓰기는 얼마든지 가능하다. 대표적 예가 '추리소설'들이다. 하긴, 작가가 하나하나 다 까발린다면 추리소설의 어느 구석에 긴장감이 곁들여질 수 있을까.

게다가 거시적/미시적 쓰기를 번갈아 사용하며 현을 조율하듯 당겼다가 놓는 수도 있다. 독자는 작가에게 좋은 의미의 농락을 당하게 되는 것이다.

어라? 이상한 이야기를 너무 오래 했다. 무림사계를 보자.

'공학계열자 글 무지렁이'일 뿐인 내가 보기에 무림사계는 미시적 쓰기가 가능한 최대의 선까지 쓰인 글이다. 1권 반이 지나서야 주인공 이름을 처음 들었다는 것만 봐도 충분히 그런 듯하다. 대체 등장인물들의 과거가 어찌 얽혔고, 그들 배후에 누가 있는지, 등장인물들이 수상하다고 말해 주지 않으면 수상한 줄도 모른다.

그러니 가뭄에 콩 나듯 등장인물들이 던져 주는 말 한마디 행동 한 조각은 진정 가뭄의 단비가 된다. 어렴풋 알쏭달쏭 어리버리 안개 속에 나타난 등대다. "오오오! 그랬군!"

그런 패턴(?)을 깨닫게 된 독자는 몰두라는 늪으로 빠져 든다. 왜? 놓치면 안 되니까. 놓치면 기회가 없으니까. 작가는 설명해 주지 않으니까.

그래. 빠져 든다, 빠져 들어. 감이 온다. 감이 와.

이 위에 이야기가 얽혀들기 시작한다. 독자는 당황스럽기까지 하다. 등장인물들에 대해서도 아직 다 모르겠는데, 이야기의 한 치 앞이 짐작도 안 된다. 단편적인 과거와 조각난 현재가 얽히니 이 실이 저 고리에 꿰이는지, 저 실이 이 고리에 꿰이는지 알 길이 없다. 그런 혼란 속에서 의지할 것은 등장인물들 뿐이다. (작가는 더 못 믿는다. 낄낄)

결과적으로 독자는 등장인물과 함께 작 중 세상을 헤쳐 나가게 된다. 마치 괴상한 안경을 쓴 채 3D 입체 영화를 볼 때처럼 자신이 등장인물이라도 된 듯 느낀다.

그렇게 해서 마침내 '그해 여름'이 다 지났을 때에야 한 시름 놓게 된다. "드디어 일단락 되었구나."

..라고 생각했는데 '그해 가을'에서 뒤통수를 맞고 만다. "이건 뭔가? 끝나지 않았잖아?" 맞추어진 줄 알았던 조각은 여전히 제각각이고, 등장인물의 과거는 더욱 호기심을 끈다.

이쯤 되면 이건 중독이다. 어찌 벗어날 길을 찾지 못하겠다. 감이 온다. 감이 와.

...괴팍한 감상문이었지만, 요는 읽어 보시라는 것.

한상운 님의 '무림사계'다.


Comment ' 10

  • 작성자
    Lv.20 인의검사
    작성일
    07.08.11 00:41
    No. 1

    멋진 감상글이시군요. 언제 저는 이렇게 멋진 감상을 써볼 수 있으려나... ^^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77 나르사스
    작성일
    07.08.11 00:46
    No. 2

    글 잘 쓰시는 작가분들도 많지만..
    한상운님의 글을 보면 뭔가 범상치 않은 느낌이 듭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담진현
    작성일
    07.08.11 03:18
    No. 3

    피곤한 하루라 잠시 들렀다 가려고 했는데 <무림사계>의 감상문이 떳길래 로그인했습니다^^;; 정말 재미있습니다. 일독을 권합니다. 감상 잘 봤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낮게나는새
    작성일
    07.08.11 11:24
    No. 4

    이제 겨울과 봄이 나오면 끝나는건가... 5권이면 끝날듯;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Dr.소
    작성일
    07.08.11 13:45
    No. 5

    천재작가임 ㄷㄷ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39 da****
    작성일
    07.08.11 15:27
    No. 6

    내용이 좀 단순하지 않은 것 같아서 완결나면 읽어야겠다 생각했는데 좋은 감상문들이 올라오니 보고싶네요. 요즘은 건망증이 심해져서 며칠전에 본것도 잘 기억이 나지않아 앞권뒷쪽 한번 보고 다시 보는 경우가 많아서 단순한 내용아니면 보기가 힘드네요.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바람소
    작성일
    07.08.12 02:07
    No. 7

    한상운님 글이야 물론 말할 나위가 없지만, 이 감상글도 상당하군요. 잘 읽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잊어보세
    작성일
    07.08.12 07:40
    No. 8

    한 번 보기 시작하면 눈을 뗄 수 없습니다. 감상글 잘 읽고 갑니다. 이 글로 더욱 많은 분들이 무림 사계를 읽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silentse..
    작성일
    07.08.13 04:56
    No. 9

    좋은 작품이라 생각합니다. 일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불안감을 고조시키기도 하면서도, 정작 궁금한 기본적인 배경의 설명에서는 전지적 작가시점에서 쓰면서도 시점에서 오는 혼란이나 거부감이 전혀없을 정도로 잘쓴 작품이라 생각듭니다.
    너무 리얼러티해서 거부감이 드시는 분도 있겠지만..하드보일한 쪽에 심한 거부감만 없는 분이라면 모두 재밌게 읽을 만한 소설이라 생각합니다.
    계절의 특성을 볼때 겨울이 꽤나 혹독할듯 하네요. 기대합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88 귀영자
    작성일
    07.08.13 15:02
    No. 10

    한상운님 소설이 좀 하드보일드해서 손이 잘 안가는
    편이었는데 무림사계에서는 하드하면서도 감칠 맛 나는 글 솜씨를 보여 주시네요.
    어쨌거나 담진현 지지리도 운도 없네요.
    계속 고생만 죽도록 한다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4927 무협 무림사계, 편집자가 아쉽다. +1 Lv.9 원조음냐리 07.08.15 1,915 2
14926 기타장르 인페르노, 고통의 장소에서 화염을 뿜어내다 +4 풍류성 07.08.15 1,699 8
14925 판타지 정말 대단한 세븐메이지! +10 Lv.1 일검관천 07.08.14 3,255 5
14924 판타지 시연님의 [미래 전쟁]을 읽은 후 감상. +4 Lv.6 CCC 07.08.14 1,279 3
14923 무협 군림천하 19권을 읽고...[까발림있음] +5 Lv.1 劍定中原 07.08.14 2,896 2
14922 공지 8월 신간 최다 감상을 시작합니다. 책선물 ... +12 Personacon 문피아 07.08.14 3,479 2
14921 판타지 재생을 읽고 궁금한점들... +17 Lv.1 이계의백곰 07.08.14 3,177 1
14920 무협 과외선생3권.. (스포있어용) +4 Lv.26 이오스 07.08.14 1,357 2
14919 무협 설태희 작가님의 "몽환서생" 추천합니다 +8 Lv.1 폐월수화 07.08.14 2,541 1
14918 기타장르 "몽환서생" 시작부터가 참 재미있습니다 +1 Lv.1 폐월수화 07.08.14 1,587 1
14917 무협 일신우일신하는 작가를 보는 즐거움... +2 Lv.18 che 07.08.14 1,496 1
14916 무협 금룡진천하, 작가는 천재여~ +11 나상실팬 07.08.14 3,833 5
14915 무협 '무림사계', 세시간 들여 쓰다.. -_- +13 SanSan 07.08.14 3,428 13
14914 판타지 강철의 열제 16권을 읽고 +4 Lv.32 비풍(飛風) 07.08.13 2,320 3
14913 판타지 [감상]스틱스, 잘쓴책 그러나 팔리지는 않을책 +12 Lv.3 박성철 07.08.13 3,638 3
14912 판타지 강철의 열제 16권을 읽고 +13 Lv.79 Madangso.. 07.08.13 2,472 3
14911 무협 비뢰도.. 금단의 비급을 보고야 말았다.. (... +59 Lv.54 하루살이 07.08.13 5,060 1
14910 무협 이것이 한상운의 진정한 이야기이다. '무림... +4 진명(震鳴) 07.08.13 3,809 4
14909 판타지 나산님의 '엘핀솔저' +7 SanSan 07.08.13 1,833 1
14908 무협 1년에 한권씩 연재되는 무협소설? <지존... +23 유무상동 07.08.13 4,823 1
14907 무협 장천무한 3권을 읽고 +9 Lv.79 Madangso.. 07.08.12 2,141 1
14906 무협 대풍운연의를 읽고... +3 민족 07.08.12 1,894 1
14905 판타지 바람의 칼날 읽다가 이상한 점 두어가지.. +6 Lv.69 하늘의땅 07.08.12 2,739 1
14904 무협 무창살귀 한(恨)의 행로는 참으로 서글프구... +4 Lv.6 검도천신마 07.08.12 1,358 1
14903 무협 [백준]초일-송백 무공 서열 +15 Lv.15 전설(傳說) 07.08.11 13,381 1
14902 무협 '북해일도', 읽고 눈물을 흘리다.. +21 SanSan 07.08.11 5,156 16
14901 무협 각자의 사랑(?)을 찾기 시작(?)한 흑룡의 ... +6 Lv.13 얼음꽃 07.08.11 2,390 1
» 무협 '무림사계(한상운)' 2권까지 읽고. +10 윤무(允武) 07.08.11 3,219 7
14899 무협 창판협기를 읽고 +3 Lv.1 건곤파멸식 07.08.10 2,184 1
14898 판타지 달빛조각사에서 6권 논란...뒷북이지만 잠... +10 오크황제 07.08.10 3,119 1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