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묵향 17권

작성자
Lv.1 안창우
작성
04.04.15 15:37
조회
1,279

음..묵향 16권보단 우선 잼있다구 말씀드릴수있겠네요

17권을 보면 대략...전쟁이나 세외고수들이.아마 들어올 분위기이네요

항상 묵향을 보면서느끼지만...

시대배경은 송나라인데...음...무공이나..역사적사건은.. 항상 뒤죽박죽되어서

혼란이되네요....송나라시대가 배경이라면..그시대에 맞는 문파들도 있을건데..

음..송나라시대이면...아직..대리 단씨가..힘이 없을때가 아니니...대리족에 살아있는

후예라던지...역사책을 뒤지면..좀 잼있는 인물들두 나올듯싶은데...

악비가 살아있는것을보면...홍칠공이 살아있던시기보다..전의 시기이니..

잼있는 도사들두 많을듯싶은디...음...그런데..

음...우리집에 구처기도사님이 쓰신 시가 한편있는데..정말 멋있더군요...

전진교가그리워..ㅠㅠ 음..횡설수설입니다 역시..무협은..명나라를

시대배경으로해야지..구대문파도 나오고...이야기 거리가되네요..ㅎㅎ

잼있으면...장땡이라는 생각을 하고 보구있지만..가끔너무 혼란스럽다는...

하여간...17권 재미는.. 있습니다....지금달려가보세요..ㅎㅎㅎ


Comment ' 7

  • 작성자
    Lv.8 moa
    작성일
    04.04.15 16:29
    No. 1

    역사적사건이 뒤죽박죽?
    왜새삼스럽게 그런걸 따집니까 -_-;
    어디 무협보면서 중국역사 공부하는것도 아니고
    그런걸 따를 필요가 머 있습니까 -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안창우
    작성일
    04.04.15 16:38
    No. 2

    음..저같은경우는..무협소설를 보는 재미중에서..

    사실성을 많이 따져요..ㅈㅅ하네요..

    그래서 중국무협소설..김용,양우생소설을 많이좋아하죠..

    음..그리구 역사를 않따지면 몰라두 묵향이라는 소설이..

    중국 역사를 많이 언급하죠..이왕 언급하는거라면...역사적인사실을

    토대로..조금더..독자들에게..사실적인걸 가르쳐주는게좋다구생각해요

    저같은경우는...중국무협소설을 보면서..역사공부를 많이 했더랬죠..ㅎㅎ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6 梅花원조임
    작성일
    04.04.15 16:39
    No. 3

    빨리보고싶네요,,ㅡㅡ;;;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55 日越
    작성일
    04.04.15 18:10
    No. 4

    역사에 충실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묵향의 경우 2권에서 나중에 징키스칸의 부모(?)가 되는 사람을
    묵향이 도와주죠..
    그게 당시 역사적사실, 연대에 맞지 않지만
    그렇게 쓰고 싶어서 썼다 라고 작가가 밝힌바도 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外在
    작성일
    04.04.15 18:26
    No. 5

    김용도 영웅문 2부에서 몽케칸을 죽이는 장면을 넣었다고 욕먹었죠. 역사소설이라고 이름 붙인 영웅문도 그런데 ... 한국 무협에서 중국 역사를 오려 붙일 필요가 있을까요? 그냥 양념 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되네요.

    찬성: 0 | 반대: 0 삭제

  • 작성자
    Lv.1 무림비탄
    작성일
    04.04.16 17:54
    No. 6

    소설이 아무리 허구라지만 어디까지나 그 시대 배경을 무대로 할때

    사실적인 사실에 근간을 두고 써나갑니다. 무협지도 엄연한 소설입니다.

    전 무협소설을 소설보다 떠러지는 하류소설이라고 생각하지 않기때문에

    무협지도 어느정도의 테두리를 잡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송, 원, 명 어느 시대를 쓰더라고 완벽하게 그 시대를 알수는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허구성 정도와 양념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광신마존님의 말씀처럼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면 그시대에

    대한 공부를 하고 사실적인 사건이나 인물, 단체에 대한것은

    사실적으로 나타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김용의 소설에도

    많은 허구가 있습니다. 하지만 김용이나 여러 무협소설을 쓰는 사람도

    그 시대배경을 공부하고 거기에 감쳐진듯한 이야기, 바꿔 생각해볼수

    있는 이야기를 넣지 그 사실 자체를 바꾸지는 않습니다.

    무협소설이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글의 토대가 되는 시대나 역사적 사건

    에 대해서는 작가들이 공부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무협소설의 발전을 바라는 마음에서 한말씀 드렸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산월이제자
    작성일
    04.04.20 23:56
    No. 7

    무협소설의 발전을 위한다면 무협지라는 말부터 자제해 주세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3202 무협 여러분 장강 추천글에 대하여 ... Lv.1 武情 04.04.15 1,007 0
3201 무협 괴선을 읽고... Lv.1 여의무심 04.04.15 993 0
3200 기타장르 비평할땐 확실히 비평하자. +4 Lv.1 여강 04.04.15 953 0
3199 무협 혈기린외전 +7 Lv.1 안창우 04.04.15 1,236 0
3198 무협 건곤 불이기 +5 Lv.1 안창우 04.04.15 1,083 0
» 무협 묵향 17권 +7 Lv.1 안창우 04.04.15 1,280 0
3196 무협 북두칠성 Lv.1 무림비탄 04.04.15 676 0
3195 무협 태극문 +1 Lv.1 무림비탄 04.04.15 827 0
3194 무협 우리가 무협을 쓰는 것은... 월하강호 추천... +4 Lv.78 수아뜨 04.04.15 1,271 0
3193 무협 용대운 작품에 대한 사소한 불평 세가지... +20 Lv.99 대설 04.04.15 1,751 0
3192 무협 go.....사조영웅전.. +7 Lv.1 혈반사접 04.04.15 961 0
3191 무협 대단한 소설, 혼돈! +13 Lv.14 취검取劒 04.04.15 2,320 0
3190 기타장르 무협문단에서의 대중성과 매니아~~ +16 Lv.15 금세유 04.04.14 1,044 0
3189 무협 울 장문인 칼차고 문을 나서면 비단보자기... +5 Lv.3 비진립 04.04.14 1,213 0
3188 무협 묵향 17권 확실한 재미 보장!! +20 한성욱 04.04.14 2,391 0
3187 기타장르 아.!!! 드디어 영웅문(사조영웅전)을!!! +8 Lv.1 연심표 04.04.14 1,185 0
3186 기타장르 무협소설 발전에 대한 짧은 단상 +14 Lv.1 기협 04.04.14 1,309 0
3185 무협 괴선.... +9 Lv.1 감여가 04.04.14 1,219 0
3184 무협 현 무협세계는 어떠한가? +22 유무상동 04.04.14 1,398 0
3183 무협 묵향 17권 +28 外在 04.04.14 2,740 0
3182 무협 귀면탈 +2 둔저 04.04.14 1,293 0
3181 기타장르 구무협 분석....2 +7 Lv.1 루빈 04.04.13 1,082 0
3180 무협 혈리표 3,4권과 천도비화수 2권을 읽고... +7 둔저 04.04.13 1,263 0
3179 무협 집에서도 당당하게 읽을 수 있는 무협, 보... +11 Lv.1 潛雨 04.04.13 1,730 0
3178 무협 아수라 5권까지 읽고... +3 파천검선 04.04.13 1,212 0
3177 무협 [장삼]의 표사 사군명 +5 Lv.1 서태수 04.04.13 1,793 0
3176 무협 보표무적! 진정한 주인공은? +23 Lv.1 여수류 04.04.13 2,027 0
3175 무협 추천합니다!장강 - +1 Lv.1 혈혼대제 04.04.13 1,411 0
3174 무협 사조영웅전에 대한 실망감 +15 Lv.46 스칼렛2024 04.04.13 2,238 0
3173 무협 야광충에서 생사박으로 거꾸로~ +13 Lv.8 장중보옥 04.04.13 1,445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