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작성자
Lv.10 狂風
작성
04.04.01 01:28
조회
1,222

예의에 관하여 말하겠습니다.

장추삼은 자신 나름대로의 예의를 지킵니다.

다만 익숙함으로 인해(그전까지 받아온 예의와 다르기에) 그걸 예의로 안보고 건방지다 라고 보는게

오히려 편협한 사고가 아닐까요?

무당오송이나 장추삼의 그러한 예의에도 호감을 보인이들은 어느정도 그 편협한 사고에서 벗어났다고 할수 있곘네요.

소림사건은 대의라? 그게 누구의 대의입니까?

그건 장추삼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 시점에서 장추삼은 강호인인지 아닌지 확실하게 말 할수 없었으니까요.  그 신비세력이 어떤 세력인지는 알수 없습니다.

다만 그 신비세력이 기학이라는 존재와 연관이 됐고

기학이라는 존재와 연관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충분히 보일 수 있는

반응입니다. 무룡숙 관계자가 찾아가기전에 장추삼의 행동을

보면 능히 장추삼의 심리를 알수 있었을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의 행동도

어느정도는 이해할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장추삼은 정파사람을 묶지 않습니다.

자신의 생각과 반하는 사람을 묶죠. 무조건 정파라고 해서

그런식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단 말입니다.

그리고 기영제 건에 관한 예를 공감이 가질 않네요.

님이 처음 접하는 연장자가 잠시 와보라고 했을떄

그게 싫다면 어떻게든 표현해야 하지 않습니까?

싫습니다? 바빠요? 뭐가 다릅니까?

어떻게 대답하든 그건 사람마다의 차이가 있는겁니다.

장추삼은 그 자리를 피하고 싶었기에 그런식으로 표현한 거죠.

거기에 기영제의 아들의 안좋은꼴도 보았고 피하고싶었으니

그럴수도 있지 않겠습니까?

무당오송에게 말한건 무당으로 가기전 상황이 어떘습니까?

객잔에서 그들에게서 무당장문인이 폐관한다는 말을 듣고

무당으로 가지 않습니까? 그건 무당장문인에게만 급히 해야 할

이야기가 있어 바로 길을 떠난거죠. 그랬기에 그러한 말이 나온거죠.

팔파공동문하를 만난것은 장추삼의 행보를 위한 개연성을 부과하기

위한 것이라고도 볼수 있겠네요. 아닐수도 있겠지만 거기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기에 피하겠습니다.

교장선생님과의 예는 정말 이해할수가 없네요.

도저히 연관이 없는 내용이라는 생각이 안드십니까?

학생이 학교를 가서 교장과 무슨 이야기를 하려고 그리 말하는겁니까?

만약 삼류무사의 상황과 같이 긴히 할말이 있다는 용납이 되겠죠.

물론 학교와 관련이 있는 이야기고

꼭 학교를 대표해야만 하는 사람과 해야할 이야기라면요.

장추삼이 무당산을 오른 이유는 무당장문인과 만나기 위한 것이었고

장추삼의 성격으로 보아 그리 내키지 않았을 담까지 타는 그러한

중대한 이야기 이기 때문이었기에 그리 한것이고 무당오송과는

할 이야기가 없는 (만약 무당오송이 무당을 대표할수 있는 자들이라면

그들과 이야기 했겠죠.) 것이었기에 그러한 것입니다.

-------------------------------------------------------

2  단예^^ 2004-04-01 00:35:33    

장추삼이 급한 일이라 그럼 거기 점소이 되리고 간건 어떻게

설명 할까요? 무당에는 통보할 시간도 없이 야밤에 들어 와서

장문이 이야기 해야 할정도 급한 일을 점소이 하고 노닫 거리며

오던 것이랑 연관이 잘 안돼내요. 저만 그런 걸까요?

그리고 제가 하는 말은 기영제의 말을 작가가 표현한 글있니다.

한쪽에서 예의를 다하고 성심 성의 것 예기 하는데 그것을 간단

하게 무시한다면 어는 누가 화가 안나겟습니까?

이것도 비유하자면 아버지가 왔는데 아들이 누구랑 싸우다가

맞았다고 합시다, 이때 아버지는 상황을 잘몰라서 같이 싸웠던

사람에게 정중하게 부탁합니다. 그런데 같이 싸웠던 놈이 바쁘

다고 그냥 가버립니다. 그럼 아버지는 아 바쁜가보다 내용은 들

을필요 없구 그냥 가라 이렇게 말해야겟네요...

그리고 진짜 기영제가 한 행동이 이해가 되는게 자기 아들에

말을 들었으면서 장추삼에게 화를 안내고 2번씩이나 부탁을

정중하게 하는 부분입니다. 성품이 안좋은 사람이람녀 아들

말만 믿고 자기 무력도 있으니 다짜고짜 반말에 주먹부터 나

갔을 겁니다. 하지만 기영제는 정중하게 부탁하죠.

그리고 저의 비유가 이상 하다면 사람마다 느끼는게 다룰수 있

으니 머라고 하지 않겟습니다.

3  단예^^ 2004-04-01 00:47:08    

그리고 말을 할때 아 다르고 어 다른 법입니다. 무당오송에게

장문이 아니면 안될 중요한 말을 전하러 왔다는 것과

아 노인장 무당 대표하실수 있나요? 라고 하는 말은 차이가

없을까요?

지나가는 노인한테 길 물을때 할아버지 서울역 갈려면 어떻게

가요?라고 묻는거와 노인장 서울역 가는길은 알고 있나요?라고

묻는거는 차이가 없을까요?

------------------------------------------------------------

기영제가 나쁘단 이야기는 안했습니다.

장추삼은 기영제의 부탁이 싫어 거절했을뿐입니다.

그건 장추삼 본인의 마음이죠. 정중하게 부탁했는데

그게 싫어 거절한가 뭐가 편협하다는거죠?

님은 편협하다는 단어를 사용했습니다.

그런식으로 말하는게 편협한건가요?

장추삼은 그런식으로 이야기하는게 오직 정파에게만 해당하나요?

정중하게 부탁했는데 상대방이 간결하게 거절한다고 화를 내야 옳습니까?

화를 내는게 이상하죠.

좋은 대인관계를 위해서는 지양되어야 할테지만 그렇지 않다면

거절하는거야 자유아닙니까?

그리고 점소이를 데려가 부분요?

글에 분명히 언급됩니다.

'후회는 아무리 빨라도 늦는다'.    라고요.


Comment ' 6

  • 작성자
    Lv.1 석류
    작성일
    04.04.01 02:09
    No. 1

    ㅋㅋㅋㅋ 다른건 몰라도 기영제 건은 진짜 확 깨지 않을까요?

    작품은 작가의 창작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그점에선 진짜 삼류무사가 제가 좋아 하는 소설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기영제 편을보면 2번인가 3번인가 기영제가 자기의 위신을 살리면서 장추삼을 존중하면서 부탁조로 말하죠.

    여기서 우리의 장추삼은 싫다라고 말합니다..

    누가 여기서 싫다라고 할수 있을까요? 그 앞뒤의 내용을 안다면?

    아마도 장추삼 이기에 그리고 삼류 무사 이기에 가능 하리라 생각 합니다. 이전까지의 권위와 허위를 모두 벗어 버린소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 나라네
    작성일
    04.04.01 09:06
    No. 2

    흠~ oo바람님.무슨 말씀 하시고 싶은지는 대강 알겠는데...

    "장추삼은 자신 나름대로의 예의를 지킵니다.
    다만 익숙함으로 인해(그전까지 받아온 예의와 다르기에) 그걸 예의로 안보고 건방지다 라고 보는게오히려 편협한 사고가 아닐까요"
    무서운 말씀을..."자신 나름대로의?" 이건 독단입니다. 우리 추삼이 주관이 좀 과하게 뚜렷한면이 있긴 하지만 독단적이진 않습니다.통념상의 "예"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봅니다.표현이 좀 거칠어서 그렇지...

    "소림사건은 대의라? 그게 누구의 대의입니까?
    그건 장추삼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볼수 있습니다."
    "대의" 전 다수의 뜻이라 이해하고 있습니다. 바람님께서는 있는자의 대의라 전제하시고 말씀하신듯한데..?. 맞습니다.어떤 경우든 대의란 말 함부로 쓰는게 아니지요...무조건 따라야 하는것도 아니고요..하지만 아무련 관련이 없다고 말할수는 없겠지요..그들이 주장하는 대의에 반하는 행동을 할려면 알고나 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파악하지도 않은채 반한다면 또 이것도 독단입니다.

    "장추삼은 정파사람을 묶지 않습니다.
    자신의 생각과 반하는 사람을 묶죠."
    독단에 독선이지요..절대. 추삼이와는 다릅니다.

    글로만 표현하는거 쉽지 않죠? 저도 그렇고 누구나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바람님이 말하고자 하는바 대충 알겠습니다만,,,또 괜히 말꼬리 잡는거 같아서 민망스럽기도 합니다만, 오히려 바람님 글에서 추삼이가 이상하게 변하는거 같아서^^;;;...(나만 그런가? 내가 좀 꼬여서 이상하게 생각하는건 아닌가?)라는 생각도 해보고, 그래서 조심스럽긴 합니다만
    그래도 한번 남겨 봅니다. 저장하기 누르려니 똑 걱정되네..나만 그런가?
    언짢아 하진 마시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단예36555
    작성일
    04.04.01 10:48
    No. 3

    서로 이해가 안돼내요 토론이란것은 서로 인정해줄꺼는
    인정 해야 될 것인데 저나 광풍님이나 서로 자기 주장만 하니
    의견 교류가 될 수 없겟네요. 제가 쓰고 싶은 내용은 다
    썼고 이것을 동의 하던 안하던 것은 읽는 사람의 마음이
    겟죠. 저도 제주장이 100% 옳다라고 생각하며 쓴 글이 아니
    며 그냥 제 생각을 적을 글입니다.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니 같을 수는 없겟지만 저 한테는 분
    명 잠추삼이 호쾌함보다는 아무렇게나 행동하는 것으로 보
    이네요. 저렇게 행동하는게 권위와 허위를 벗은 행동일가요?
    그럼 장추삼처럼 행동하면 권위와 허위를 벗을 수 있겟네요.
    몰랐습니다.......... 장추삼처럼 하면 돼는줄................
    더 하고 싶은 말이 많지만 더 쓰지 않겟습니다.
    그럼 모두 즐거운 하루 되시길.......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88골드
    작성일
    04.04.01 16:10
    No. 4

    작가님은 분명히 일반독자들이 狂風 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느끼게끔 삼류를 집필하셨을겁니다.
    하지만 독자들 100인이 100 다 같을순 없겠죠.

    단예님같은 경우엔 작품을 읽으면서 감정이입이 너무 충실히 되셨나 봅니다.
    나였으면 이랬을텐데... or
    나로서는 도저히 납득할수 없는 사고방식이야! 등등.
    충분히 공감합니다.

    저같은 경우엔 그냥 있는 그대로 봅니다.
    감정이입이 거의 없는 편이죠.

    제가 작가라고 가정을 해보죠.
    기영제가 장추삼 불렀을 때 저는 수많은 방향으로 작품을 꾸릴 수 있습니다.
    1번
    약간 시큰둥한 말투로 만날 수도 있고,
    2번
    그냥 포권만 하고 자러 갈수도 있습니다.
    3번
    기영제의 대인의 풍모에 호감을 느껴 정중하게 만날수도 있겠고
    4번
    작중의 서술처럼 건방지게 거절할 수 도 있겠죠.

    단지 작가님은 저 위의 예중에서 4번을 택하였을 뿐입니다.
    그게 아마 가장 작품에 잘 맞는 방향이라 선택을 하였을테고요.

    나중에 땅을 치고 이 방식이 더 좋은데 왜 다르게 전개하지 못했나 후회할수도 있겠지만..
    이미 책은 출간되었습니다.
    작가도 신이 아니니깐 그 부분은 어쩔수 없다고 봅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10 狂風
    작성일
    04.04.01 22:56
    No. 5

    추삼이가 독단이라?
    그렇게 생각지 않습니다.
    제 글이 미흡해 그렇게 느끼쎴나보군요.
    아직 내공이 딸리니 그 부분은 이해하세요.

    그리고 단예님? 추삼이가 어찌보면 아무렇게나 행동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런면도 없잖아 있죠.
    무당파에서만 해도 그런 행동을 보인다고 생각할 수도 있죠.
    제가 애초에 댓글을 단건 바로 '편협' 이라는 단어 때문이었습니다.

    찬성: 0 | 반대: 0

  • 작성자
    Lv.9 단예36555
    작성일
    04.04.02 02:39
    No. 6

    편협이란 말이 좀 심하게 쓴 단어 이긴 합니다. 솔직히
    신문기사 제목처럼 약간 과장해서 쓴 단어인게 사실이죠^^;;

    제가 편협이라고 말한 이유가 자기는 맘대로 하면서 남은
    올바르게 행동해라 하고 주장하는 것이 좀 그렇다는 것입
    니다. 차라리 자기도 맘대로 하니 너도 맘대로 해라라고
    하면 별로 좋은 것은 아니지만 수긍은 할 수 있겟지만 난 맘
    대로해 넌 똑바로해 이부분이라는 것입니다. 제가 젤 싫어
    하는 것입니다. 자기는 안하면서 남에게 강요하는 것요.

    tv에 유머로도 나오져 엄마가 아들 손잡고 무단행단 하면서
    아들보고는 넌 무단 행단 하면 안돼라고 말할때 그말이 아들
    에게 어떠한 가치로 다가 갈까요? 아 정말 무단 행단 안해야지
    이런 생각이 들까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3083 무협 시대적 사회적 국가적 배경에 관한 논지 +3 Lv.1 신쥬니어 04.04.01 930 0
3082 무협 윤극사전기 5권까지 읽고 +6 Lv.99 불멸의망치 04.04.01 1,693 0
3081 무협 군림천하등장인물(11권까지) -퍼온글- +20 Lv.23 인의예지 04.04.01 3,955 0
3080 무협 만우절..기념.........도시정벌에 대해....... +14 Lv.1 독행1 04.04.01 1,367 0
3079 무협 와룡선생.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13 Lv.99 불멸의망치 04.04.01 1,550 0
3078 무협 삼류무사---여백의 미~~~! +16 Lv.14 백면서생.. 04.04.01 1,641 0
3077 무협 태극문을 추천하며.......... +6 Lv.1 독행1 04.04.01 1,395 0
» 기타장르 삼류무사의 편협함? 저완 생각이 다르네요. +6 Lv.10 狂風 04.04.01 1,223 0
3075 기타장르 영웅 추천.. Lv.87 마이뉴 04.04.01 899 0
3074 무협 "군림천하" 무언가 2% 부족하다 . 1부를 다... +32 비천사 04.03.31 2,687 0
3073 무협 어제 글 하나를 지웠습니다. +2 Personacon 금강 04.03.31 1,819 0
3072 기타장르 신무협과 구무협...그 차이에 대해... +2 Lv.1 떠도는별 04.03.31 1,121 0
3071 무협 삼류무사 그 편협함에 관하여... +16 Lv.9 단예36555 04.03.31 2,113 0
3070 기타장르 나는 아직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보지 못했다. +6 Personacon 양마루 04.03.31 1,287 0
3069 기타장르 구무협과 신무협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해서 +6 Lv.50 레드제플린 04.03.30 1,737 0
3068 무협 괴선...그리고 임준욱의 작품들... +8 Lv.1 떠도는별 04.03.30 1,724 0
3067 기타장르 무협과 함께한 20년 +12 Lv.81 늙은피터팬 04.03.30 1,568 0
3066 무협 [태극문] 용대운! 그가 조자건과 함께 돌아... +25 Lv.79 남양군 04.03.30 3,134 0
3065 무협 경혼기-지존록-을 읽고...(풍작가예찬론) +6 Lv.49 풍류30대 04.03.30 2,216 0
3064 무협 신마겁을 다시 읽고. +2 Lv.1 환주루주 04.03.30 1,258 0
3063 무협 이제는 비추할란다!!삼류무사... +15 Lv.10 무곡성 04.03.29 2,615 0
3062 무협 검궁인님의 영웅호가행을 다시읽고서 +4 Lv.99 성성성성 04.03.29 1,481 0
3061 무협 신승... 드디어 말아먹기 시작하다. +26 Lv.42 사라미르 04.03.29 3,079 0
3060 무협 해와달...남자이야기 그리고 권가야 +8 하루사메 04.03.29 2,925 0
3059 무협 [무당마검]을 읽고나서....... +13 Lv.14 백면서생.. 04.03.29 1,762 0
3058 무협 과거 세로판 무협 중 다시 보고 싶은 것들... +3 Lv.84 검대검 04.03.29 1,829 0
3057 무협 천하제일신군만마제일마왕운외고독인! 장천... +19 Lv.1 서태수 04.03.29 2,429 0
3056 무협 무협초보의 감상기.... +10 Lv.1 행복과불행 04.03.29 1,449 0
3055 기타장르 삼류무사 와 문장에 대한 이야기. +7 Lv.9 88골드 04.03.29 1,379 0
3054 무협 장경(長鯨) - 황금인형(黃金人形) +7 Lv.1 예양(芮陽) 04.03.29 2,329 0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