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바


감상

추천에 관련된 감상을 쓰는 곳입니다.



작성자
ether
작성
07.02.25 17:28
조회
975

작가명 : 미야자와 켄지

작품명 : 은하철도의 밤

출판사 :

비에도 지지 않을 영혼의 고독한 열차.

<아마 그다지 관심 있어 하지 않을 것이 뻔한 내용입니다만, 이 글 역시 환상이란 말로 표현하기에 부족함이 없기에 짧은 소개와 감평을 넣습니다. 바다출판사의 은하철도의 밤과 제이엔씨에서 나온 연구 서적을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은하철도의 밤, 켄지, 토시, 조반니, 캄파넬라.

어쩌면 그것은 내 취향의 극단적인 모순 중 하나일 것이다.

더럽고 추한 이성에 혹은 비판과 고통과 공포와 지식의 탐독을 위해 읽는 것들과 반대되는 순수함의 집착이라고 해야 하나? 아마 그런 의식화된 감정이 바로 프랭크 바움이나 미야자와 켄지라는 작가들의 글을 읽어야 한다는 탈출구를 낳았다고, 나는 판단했다. 어쨌거나 섬나라의 인명이다 보니 일본에 대해 배타적인 국내에는 많이 알려져 있지는 않다. 그렇기에 은하철도999란 에니메이션에는 익숙하지만 원작 소설인 은하철도의 밤에 대한 것이라면 무척이나 생소할 것이다. 그와 그의 작품에 대해 평가를 하자면, 은하 철도의 밤은 어떤 인격적 순수함이 극에 달하는 미야자와 켄지라는 인간에 의해 제조된 하나의 행위예술의 결과물이며, 동시에 여동생 토시에 대한 애정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그럴 것이 그의 인생에 대한 전기를 풀이하면 더욱더 두드러진다.

조병렬 문학박사의 켄지에 대한 작품해설을 참고 하자면 일본 근대문학의 한 축인 미야자와 켄지는 리얼리즘에 뿌리를 두고 자신만의 독특한 문학세상을 펼쳤는데, 그가 살았던 다이쇼 시대에는 기존의 관습에서 벗어난 작품을 용납하지는 않았다. 그렇기에 그의 작품은 죽을 때까지도 인정받지 못할 수밖에 없었다. 동시에 그는 고향인 이와테 현을 중심으로 작품 활동을 했을 뿐, 주류 문단과는 전혀 교류를 하지 않아 죽고 난후에도 이색적인 작가로 취급받았다. 켄지는 동화 작가이기 전에 시인이었고, 처음 자비로 출판한 작품역시 봄과 아수라라는 시집이었다. 약 1000부가 출판된 봄과 수라의 시의 형태를 보자면 과학과 청년교육, 농업, 자연과 이와테 현의 풍물, 누이의 사랑 그리고 우주와 은하에 대한 내용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그 외에 주문이 많은 요리점(아래에 짧게 요약설명을 하겠다.)이 자비로 출판되었다.

   *주문이 많은 요리점은 두 명의 사냥꾼이 숲에 서양식 요리점인 들고양이 가게에 들어서면서 시작한다. 요리점을 들어서자마자 '당 요리점은 주문이 많으니 양해를 바랍니다.'라는 푯말이 붙어져 있다. 이에 개의치 않고 하나의 문을 열고 들어서자 사냥꾼에게 어떤 요구를 하는데, 그 요구란 신발을 벗거나, 총을 놔두거나, 옷을 벗고 온몸에 우유크림을 바르는 것, 식초향수를 뿌리라는 주문이었다. 사냥꾼들은 어딘지 이상한 식당의 주문에 의아함을 느끼지만 마지막에 온몸에 소금을 발라라는 식당의 주문까지 그대로 따라한다. 하지만, 문 너머에서 들리는 속삭이는 소리에, 지금껏 식당의 요구가 사냥꾼 자신들을 잡아먹으려는 주문임을 눈치 채고 사냥꾼 두 명은 겁을 집어먹고 쏜살같이 도망친다.

은하철도의 밤은 그의 나이 서른 살에 완성된 이후, 죽기 전까지 수정과 수정을 거듭했던, 유작이자 미완성품 하나이다. 중간에 빠진 문자도 있고, 원고지 한 장이 누락되어 있기도 하다.

짧게 줄거리를 얘기하자면, 병든 어머니와 함께 사는 소극적인 아이인 조반니는 가난한 집안에 친구들에게 놀림감이 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그런 조반니에게 버팀목이 된 것은 부자 집 아들인 캄파넬라가 유일하다.

원양어선을 타고 고기를 잡으러 간 아버지를 기다리며 또 제본소에서 일을 하며 살던 어느 날, 켄타우로스 축제의 밤에 참석하지 못하고 어머니의 약과 우유를 타러가던 길에 놀림을

당한 조반니는, 캄파넬라와 멀리 떠나고 싶은 생각을 하며 어두운 언덕으로 달려가다 은하를 여행하는 열차를 만나 우연히 탑승하게 된다. 열차는 친구 캄파넬라도 함께 탑승하는데, 두 사람이 탄 은하를 여행하는 열차는 북십자성과 플라이오세해안을 지나 여러 사람을 만나며 여행을 한다. 열차가 켄타우르스에 위치한 남 십자(서던 크로스라는 어감) 정거장을 지났을 때 조반니는 친구인 캄파넬라가 곁에 없는 것을 확인한다. 조반니는 극심한 슬픔을 느끼며 캄파넬라를 외치다가 꿈에서 깨어난다. 그제야 조반니는 그것이 꿈인 것을 알아챈다. 마을로 내려온 조반니는 마을 아래에 사람들이 몰려 있는 것을 확인하고 가까이 다가가 보니 조반니의 유일한 친구인 캄파넬라가 강에 떨어져 죽은 소식을 듣지만, 조반니는 캄파넬라가 죽은 것이 아닌 은하 속에 아직 살아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확신을 한다. 자신도 캄파넬라가 떠난 그 은하로 가고 싶은 마음을 한편에 숨겨놓고, 죽은 캄파넬라의 아버지가 조반니의 아버지가 곧 돌아온다는 소식을 듣고 어머니에게 그 사실을 알리기 위해 다시 강변 들판으로 달리는 것으로 이야기는 끝이 납니다.

*은하철도의 밤 초기형에는 아버지가 바다에서 밀렵일 을 하다가 감옥에 들어가 있다고 놀림감을 당한다.

*91년에 동쪽나라에서 출판되었던 서적에서는 초기형과 후기형이 조금 뒤섞여 나오기도 했는데, 때에 따라서 9장에 볼카니로 박사가 나오는 에피소드가 있기도 하다. 최근 바다 출판사에 것은 확실히 위와 같은 최종 원고형 이었다.

은하철도의 밤에 대한 작가 내면의 세계의 가장 큰 축은 바로 여동생토시가 아닐까 한다.  1896년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에서 불교를 믿는 독실한 가정에서 태어난 미야자와 켄지와 2살 때 태어난 여동생 토시는, 그녀의 나이 24세의(켄지 26세) 젊은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그의 종교의 후원자와 정신적 지주역할을 해왔다. 살아 있을 당시 문학에 대한 폐쇄성으로 인해 그의 문학과 시들은 주변사람과 그가 살고 있는 지역 외에는 출판되지 않았고, 그를 인정해주는 이 역시 동생이 유일하다 싶을 정도였다. 그런 감정의 표현들은 보살상이라고 이름 지은 동생의 자화상이나 은하철도의 밤의 조반니의 친구이자 조반니를 살리고 자신을 희생하는 캄파넬라를 토시로 투영해서 쓴 캐릭터라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은하 철도의 마지막에 보면 조반니가 캄파넬라가 있는 은하로 자신도 함께 갔으면 했는데, 그것은 작가인 켄지가 동생인 토시코가 떠난 죽음마저 함께 하길 원했음이 아닐까 생각한다.

*일단 위의 것은 일반적인 견해로, 다른 견해는 종교적 문제로 갈라졌던 친구 호사카 카나이가 아닐까 하는 추측도 있다.

여동생인 토시가 죽은 후 켄지는 사할린으로 배를 타고 여행을 떠난다. 여행의 목적은 토시를 잊기 위한일이 아닌 그녀를 다시 찾기 위한 것이라는 얘기도 있지만, 어찌 됐든 그가 여행에서 돌아온 후에 남겨진 작품들은 여동생에 대한 그리움에 대한 시들과 많은 만가가 있다. 동시에 은하철도의 밤은 죽음이란 부정할 수 없는 곳으로 떠난 이에 대한 자신만의  그리움과 삶과 죽음, 그리고 그 뒤에 있을 구원이란 형태의 자신만의 풀이가 아닐까 생각한다.

----------------------------

많이 적으려 했는데 혼자 삽질만 했군요. 미아쟈와 켄지에 대한 삽질은 글쓰기 취미 외에 또 다른 혼자만의 취미생활입니다. 켄지 역시 제 글의 의식적 길잡이라 할 수 있는 인물입니다. 과학의 탐구를 기초로 한 환상의 표현방법은 코스미코미케의 칼비노와 닮았으면서도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치원 이상이 보면 분명 맹맹함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그의 동화적 표현의 형태에 대해서만큼은 인상 깊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야자와 켄지에 관한 것은. 류주환님이 출판한 두 가지 연구 저서가 가장 좋으며 그 외에 바다출판사에서 2001년에 나온 은하철도의 밤을(최근에 양장으로 나온 개정판을 사보니 은하철도의 밤 하나만 있고, 그 외의 다른 많은 이야기들이 빠져 있더군요.)추천합니다. 시집 '봄과 아수라'는 국내에 출판된 것이 전설로만 존재합니다만 류주환님의 연구저서에 그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표지만 스크린샷으로 봤고, 실물로는 본적조차 없음.)


Comment ' 1

  • 작성자
    Lv.56 Eclipse
    작성일
    07.02.26 00:35
    No. 1

    아... 잘 봤습니다.
    은하철도 999는 봤으면서도 '은하철도의 밤'이란 소설은 그 존재조차 몰랐다가 우연히 라이트노벨 '반쪽달이 떠오르는 하늘'에 언급된 것을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한번 읽어볼려고 도서관에 찾아갔다가 건진건 유아용 서적 하나 뿐이여서 어찌어찌 그것만이라도 읽었습니다만... 다시 읽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바다 출판사의 은하철도의 밤. 잘 기억해두겠습니다.
    은하철도의 밤의 작가 미야자와의 이야기라거나 그의 동생에 관한 이야기, 은하철도의 밤이 미완작이란 이야기는 처음 듣는 이야기여서 굉장히 유익했습니다, 감사드려요-

    찬성: 0 | 반대: 0


댓글쓰기
0 / 3000
회원가입

감상란 게시판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857 기타장르 Adun님의 삼국무쌍을 읽고. +7 Personacon 네임즈 07.06.14 1,100 0
2856 기타장르 제가 본 가을의노래는 +4 Personacon 네임즈 07.06.14 756 0
2855 기타장르 월명성희, 그 재해석의 세계..... +14 Personacon 네임즈 07.06.09 2,135 1
2854 기타장르 천룡전기... +9 Lv.38 생즉필사 07.05.25 1,878 1
2853 기타장르 (감상)더 보스 +19 김환지 07.05.19 2,131 0
2852 기타장르 10만개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환상. 카자르 ... ether 07.05.15 2,077 0
2851 기타장르 므깃도, 모처럼의 SF. +2 Lv.33 첫솜씨 07.05.12 1,657 0
2850 기타장르 [가족]어째서 우린 가족인가? 브로드웨이 ... +2 ether 07.05.12 1,061 0
2849 기타장르 뒤늦게 천룡전기 7권을 보고.. +10 Lv.92 심검 07.05.11 2,613 0
2848 기타장르 정말 만나긴 만났다. ‘누군가를 만났어.’ ether 07.05.08 1,311 0
2847 기타장르 나이프-왕따,집단따돌림의이야기. +1 Lv.1 우주토끼 07.05.04 996 0
2846 기타장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쓰레기 같은 세상 +3 ether 07.05.02 1,896 0
2845 기타장르 이 넓고 넓은 원형의 품이여. 콘택트. +8 ether 07.04.23 1,711 4
2844 기타장르 강산들. 역시 김대산. (미리니름) +12 Lv.77 나르사스 07.04.22 4,237 2
2843 기타장르 어디에도 있고. 또, 어디에도 기다리는. ‘... +1 ether 07.04.21 1,138 0
2842 기타장르 이제는 보이지 않는 욕심쟁이. 책벌래 +2 ether 07.04.14 1,506 1
2841 기타장르 워터십 다운의 토끼. +6 소울언더 07.04.06 1,890 1
2840 기타장르 이등분된 선과 악. 반쪼가리 자작. +1 ether 07.04.05 1,775 0
2839 기타장르 기호와 상징으로 이루어진 도시, 보이지 않... ether 07.04.01 1,380 0
2838 기타장르 천룡전기! +6 Lv.38 생즉필사 07.03.31 1,745 2
2837 기타장르 대체역사물의 부동의제왕 <한제국건국사... +9 창공의섬 07.03.29 4,735 0
2836 기타장르 렐름온라인 정말 강력추천합니다. +3 Lv.1 yousHT 07.03.27 1,308 0
2835 기타장르 절반의성공 <천룡전기> +32 창공의섬 07.03.26 3,007 2
2834 기타장르 오랜만에 느낀 희열.... +1 Lv.3 飛客 07.03.25 1,966 0
2833 기타장르 무림해결사고봉팔,천하제일협객전,메모라이즈 +6 Lv.1 야큐 07.03.20 2,306 0
2832 기타장르 여러가지 등등,,, 창염의불꽃 07.03.02 1,070 0
2831 기타장르 거의 모든 것들에 관한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 ether 07.02.28 1,140 0
2830 기타장르 [진산] 마님이 되는 법 +4 Lv.63 신마기협 07.02.26 1,771 1
2829 기타장르 크라우프를 읽으며.. +12 포더 07.02.25 3,508 1
» 기타장르 비에도 지지 않을 영혼의 고독한 열차 +1 ether 07.02.25 976 2

신고 사유를 선택하세요.
장난 또는 허위 신고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며,
작품 신고의 경우 저작권자에게 익명으로 신고 내용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신고
@genre @title
> @subject @time